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25건)

화양동 어록〔華陽洞語錄〕 -손재집
화양동 어록〔華陽洞語錄〕 -손재집 제9권 / 어록(語錄) : 박광일(朴光一, 1655~1723)○ 을축년(1685, 숙종11) 2월에 화양정사(華陽精舍)에 가서 선생을 뵈었다. 선생께서 “해를 이어 방문하니 극히 다행이네만, 이번에는 또 무슨 까닭에 궁벽한 산속 적막한 곳을 찾아왔는가?”라고 하고, 이어 부모 모시고 지내기 편한지 물
벽진서원, 서구 향토문화유산 제2호 지정예고
임진왜란 당시 광주에 의병도청을 설치하고 의병 모집과 군수물자 조달 등에 힘쓴 공신인 회재 박광옥(1526~1593) 선생의 벽진서원이 광주광역시 서구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됐다.광주 서구(청장 서대석)는 서구 향토문화유산 발굴 및 보호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서구 풍암동의 벽진서원을 향토문화유산 제2호로 지정키로
삼연 김창흡공의 〈소쇄원〉에 차운해서 능주 사또 조 정이에게 부치다〔次三淵金公 昌翕 蕭灑園韵 寄竹樹使君趙定而〕-손재집
삼연 김공 창흡 의 〈소쇄원〉에 차운해서 능주 사또 조 정이에게 부치다〔次三淵金公 昌翕 蕭灑園韵 寄竹樹使君趙定而〕- 손재집 제1권 / 시(詩) : 박광일(朴光一, 1655~1723)중국 땅은 어둡고 악취가 진동해서 / 九有冥蒙腥臭鄙칠 척의 이 내 몸이 갈 수 없지만 / 七尺身無可往矣우리나라에도 산수가 있어 / 惟我箕封山
문곡 김상국에게 보내는 편지〔與文谷金相國書〕 - 서하집
문곡 김상국에게 보내는 편지〔與文谷金相國書〕 - 서하집 제17권 / 서독(書牘) : 이민서(李敏敍, 1633~1688). 봄날이 아직도 찬데, 삼가 이 시기에 대감의 조섭이 계절에 맞게 편안하시리라 생각하며, 구구한 마음에 지극히 우러러 사모합니다. 저는 집안의 우환이 잇달았는데, 지난달에 또 서매(庶妹)의 상을 당하였습
김덕령 장군 전[金將軍傳]- 서하집
김 장군 전[金將軍傳] - 서하집 제14권 / 전(傳) : 이민서(李敏敍, 1633~1688). 장군의 이름은 덕령(德齡)이고, 자는 경수(景樹)로, 광주(光州) 석저촌(石底村)의 사람이다. 아버지 붕섭(鵬燮)과 조부 익(翊)은 재행(才行)이 있었으나 모두 현달하지 못하였다. 집안이 대대로 유업(儒業)에 종사하였으니, 장군도 어릴 적
벽진서원 의열사 상량문〔義烈祠上梁文〕- 서하집
의열사 상량문〔義烈祠上梁文〕- 서하집 제13권 / 상량문(上梁文) : 이민서(李敏敍, 1633~1688).향선생을 사(社)에 향사하여 오래전부터 정성을 바치는 사당이 있는데, 열장부(烈丈夫)가 때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유독 충(忠)을 나타내는 전례(典禮)가 빠졌도다. 이에 옛 사당을 새롭게 하여 영령(英靈)을 함께 향사하도다
박광옥ㆍ김덕령의 사우에 대하여 사액하는 건 - 서원등록(書院謄錄)
박광옥(朴光玉)ㆍ김덕령(金德齡)의 사우(祠宇)에 대하여 대신들에게 논의하게 하여 사액하는 건 - 숙종(肅宗) 6년(1680) : 서원등록(書院謄錄)윤8월 25일 예조(禮曹)에서 아뢰기를, “이번 윤8월 24일 주강(晝講)에 입시(入侍)하였을 때, 동지사(同知事) 이민서(李敏敍)가 아뢰기를, ‘신이 광주(光州)에서 직책을 수행하고 있
영남과 호남의 인물들, 도협총설 104조항 〔陶峽叢說 一百四則〕 -도곡집
도협총설 104조항 〔陶峽叢說 一百四則〕 -도곡집 제28권 / 잡저(雜著) : 이의현(李宜顯, 1669~1745)102. 조선조에서는 양남(兩南) 지방의 인물이 가장 현달하였으니, 경주(慶州)에는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이고, 안동(安東)에는 충정공(忠定公) 권벌(權橃)과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과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과
김덕령을 잡아가다- 고대일록
김덕령을 잡아가다-고대일록 제2권 / 병신(丙申, 1596) : 정경운(鄭慶雲 : 孤臺, 1556~?)○ 7월 12일 정축(丁丑)전라도(全羅道)에서 전통(傳通)이 군(郡)에 이르렀는데, ‘7월 초이레에 역적(逆賊)들이 무리를 결성하였는데 그 수는 알 수 없다. 홍산현(鴻山縣)으로 돌입하여 군기(軍器)를 모두 빼앗고 창고를 봉하였으며,
충효동-취가정
취가-정(醉歌亭) 【정】 성안 동쪽에 있는 정자이다. 선조 때 의병장 충장공 김덕령(金德齡)이 술을 마시며 시를 읊던 곳을 기리어 그의 후손 김만식(金晩植)이 지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충효동-충장사
충장-사(忠壯祠) 【사당】 성안에 있는 의병장 충장공 김덕령(金德齡)의 사당이다. 위패를 모셔 두었으며 해마다 제사를 지낸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충효동-충장공비각
충장공-비각(忠壯公碑閣)(충효리비, 표리비) 【비】 성안 앞쪽 길가에 있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 충장공 김덕령(金德齡)의 공적을 기념한 비이다. 1592년 왜란이 나자 그는 장성 현감 이귀(李貴)의 천거로 조정으로부터 종군(從軍)의 명을 받았으며 전주의 광해분조(光海分朝)로부터 호익장군(虎翼將軍)의 호를 받았다. 1594
충효동-석저장군목욕바우
석저장군목욕-바우(石底將軍沐浴一) 【바위】 칠성바우에 있는 바위이다. 옛 석저면(石底面) 충효리에서 선조 때 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이 목욕하였다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박광옥ㆍ김덕령의 사우에 사액하는 데 대한 의〔朴光玉金德齡祠宇賜額議〕 - 노봉집 제5권
박광옥ㆍ김덕령의 사우에 사액하는 데 대한 의〔朴光玉金德齡祠宇賜額議〕 - 노봉집 제5권 : 노봉 민정중(1628~1692)김덕령(金德齡)이 화를 입은 지 이미 거의 백 년이나 되었지만, 지금도 그의 풍도(風度)를 들은 사람들은 비록 아녀자와 어린아이들일지라도 모두 원통하게 여기니, 단지 호남 지역의 인사들만 감개할 뿐만
고대일록 부록 인명록 (광주일기 정리)
고대일록 부록 인명록 (광주일기 정리) : 정경운(鄭慶雲 : 孤臺, 1556~?)고경명(高敬命) : 1533~1592.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이순(而順). 호는 제봉(霽峰)ㆍ태헌(苔軒). 시호는 충렬(忠烈). 임진왜란이 일어나 서울이 함락되고 왕이 의주로 파천하였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그는 각처에서 도망쳐온 관군을 모았다. 두 아들
고대일록 - (광주일기 정리)
고대일록 - (광주일기 정리) : 정경운(鄭慶雲 : 孤臺, 1556~?)1593년 6월  22일 을사(乙巳)왜적의 한 무리가 진주(晉州)로 쳐들어와서는 성의 동북(東北)을 포위했다. 절도사(節度使) 최경회(崔慶會) 등이 힘을 다해 방어하니, 적들은 향교동(鄕校洞)에 모여 진을 쳤다. 왜적의 다른 한 무리가 삼가(三嘉)로 쳐들어가서
김충장유사서(金忠壯遺事序) - 홍재전서 제9권
김충장유사서(金忠壯遺事序) - 홍재전서 제9권 / 서인(序引) 2  : 정조대왕(正祖大王, 1752~1800) 공동산(崆峒山) 북쪽의 차가운 바람 끝, 또는 연(燕), 조(趙)의 비장한 노래 여운처럼 쓸쓸하고 비통하면서도 그래도 그것이 한 개인이나 한 가정의 문헌(文獻)이 되어 버리고 말아서는 안 될 책이 바로 이 책이다. 그러
재조번방지 2(再造藩邦志 二) - 화은(華隱) 신경(申炅1623~1653)
재조번방지 2(再造藩邦志 二) - 화은(華隱) 신경(申炅1623~1653) 이때에 각 도의 군사들이 여기저기에서 벌떼처럼 일어났다. 경기도에서는 본도 감사인 심대(沈岱)ㆍ전 사간 우성전(禹性傳)ㆍ전 정언 정숙하(鄭淑夏)ㆍ수원인(水原人) 최흘(崔屹)ㆍ고양인(高陽人) 이노(李魯)와 이산휘(李山輝)ㆍ전 목사 남언경(南彦經)ㆍ유학
김덕령 - 자해필담(紫海筆談)
김덕령 - 자해필담(紫海筆談) : 하담(荷潭)김시양(金時讓, 1581~1643)<중략>이몽학(李夢鶴)이란 자는 서울의 천한 서얼인데, 몹시 방자하고 건방져서 그의 아비에게 내쫓기었다. 호서와 호남 사이를 왔다 갔다 하다가 한현(韓絢)이 선봉장이 되자 그의 군대에 예속되어 한현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선조 29년 7월에
광주(光州) 서원(書院) - 연려실기술 별집 제4권
광주(光州) 서원(書院) - 연려실기술 별집 제4권 / 사전전고(祀典典故) 월봉서원(月峯書院) 숭정(崇禎) 병술년에 세웠으며 효종 을미년에 사액하였다. : 박상(朴祥)ㆍ박순(朴淳)ㆍ기대승(奇大升)ㆍ김장생(金長生)ㆍ김집(金集)포충사(褒忠祠) 만력 신축년에 세웠으며 신묘년에 사액하였다. : 고경명(高敬命)ㆍ고종후(高從厚)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