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삼연 김창흡공의 〈소쇄원〉에 차운해서 능주 사또 조 정이에게 부치다〔次三淵金公 昌翕 蕭灑園韵 寄竹樹使君趙定而〕-손재집

삼연 김공 창흡 의 〈소쇄원〉에 차운해서 능주 사또 조 정이에게 부치다〔次三淵金公 昌翕 蕭灑園韵 寄竹樹使君趙定而〕- 손재집 제1권 / 시(詩) : 박광일(朴光一, 1655~1723)


중국 땅은 어둡고 악취가 진동해서 / 九有冥蒙腥臭鄙
칠 척의 이 내 몸이 갈 수 없지만 / 七尺身無可往矣
우리나라에도 산수가 있어 / 惟我箕封山水在
명승지 두루두루 모두 기억할 만하여라 / 名區歷歷皆可紀
서석산 우뚝 솟은 걸 보시라 / 須看瑞石高屹屹
그 형세가 우주를 지탱하듯 치솟았는데 / 勢若撑支宇宙峙
옛날 내가 바위 밟고 다 올라가 보니 / 昔我足踏巖蹬盡
방장산과 봉래산이 보이는 곳에 있었지 / 方丈蓬萊指點裏
골 깊고 층층 구름 덮인 남악에서 어떻게 흉금 씻었는지 주부자를 생각하네 / 絶壑層雲南嶽何盪胷緬憶朱夫子
주부자를 내가 어찌 감히 흉내내랴만 높이 올라 멀리 바라보는 건 오히려 할 수 있다오 / 朱夫子吾豈敢登高騁望尙能此
중원을 바라봄에 눈물 흘릴 만하고 / 擧目中原堪下淚
비스듬히 일본 땅 보니 이가 갈릴 뿐 / 橫看日域但切齒
낭랑하게 시 읊조리며 동쪽 소선대로 내려옴에 / 浪吟東下蘇仙臺
적벽의 갠 달이 가을 물을 비추었다오 / 赤壁晴月照秋水
돌고 돌아 또 물염정에 묵다가 / 繚繞且宿勿染亭
흥 다하여 도로 돌아갈 지팡이 매만지는데 / 興盡還復歸筇理
소쇄원이라 애양단의 / 蕭灑園愛陽壇
그윽하고 청절함은 비할 데가 없었다오 / 幽深淸絶無與比
담재 노인 당년에 붓 한번 날렸는데 / 湛老當年一揮灑
옛 담장 여전해서 아직도 무너지지 않았구려 / 古墻依然猶未圮
유묵 어루만지노라니 언뜻 어제 일 같아 / 摩挲遺墨乍如昨
책상 옆에서 모시지 못한 게 한스러워라 / 恨不從傍侍案几
남쪽에는 장군이 칼 주조하던 굴 있어 / 南有將軍鑄劍窟
만 길 되는 노을은 타오르는 불꽃 같은데 / 頳霞萬丈光焰似
연기가 깔린 모래 시내는 비단보다 하얗고 / 煙布沙溪白於錦
서리가 물들인 단풍 숲은 깁보다 붉구려 / 霜染楓林紅勝綺
솔 거문고에 여울 비파 소리가 청량하니 / 松琴澗瑟響冷冷
땅은 상산 아니어도 기리계 생각나도다 / 地非商山想綺里
지금까지도 정감에 이끌려 오히려 꿈속으로 드나니 / 至今猶作牽情夢
시 읊조리며 몇 번이나 옛 절벽 향해 가 기댔던가 / 吟筇幾向古壁倚
바람에 옷깃 날리던 능주 사또여 / 飄灑風襟竹樹宰
벼슬 관두지 못한 걸 부끄럽게 여겼는데 / 未能休官以爲恥
짧은 시와 긴 노래로 화답한 이 누구던가 / 短詠長歌唱酬誰
한 시대에 날 알아주던 이는 삼연 노인뿐이었네 / 一世峩洋淵老耳
신선의 동산에 들어와 품평하는 사이에 / 仙園已入品題間
특별히 맑은 시 지어 준 까닭 있음을 알겠으니 / 特贈淸詞知有以
팔도를 두루 유람하며 끝없이 일던 흥이 / 周游八路不盡興
강남의 명승에 오자 다시 일어나누나 / 又因江南名勝起
연하에 집 짓자던 계책 만약 이루어진다면 / 結構煙霞計若遂
실컷 놀며 명승지 고르다가 이곳에 정하리니 / 窮遊選勝卜於是
이 노인의 가슴 녹록하지 않아서 / 此老胷中不草草
얼음과 서리 보고 청백하며 검소하게 살리라 / 觀象氷霜淸素履
붕새가 나는 하늘 탁 트여 만리가 펼쳐지니 / 鵬天寥廓萬里長
날개 치며 어느 날에나 남명으로 옮겨 올까
/ 擧翼何日南溟徙
혹시 신선과 함께 구름 계곡으로 돌아갈 수 있다면 / 儻携仙侶歸雲壑
나는 거문고만 안고 오솔길에서 기다리리라 / 我抱孤琴蘿逕俟


[주-D001] 삼연(三淵) …… 부치다 : 
김창흡(金昌翕)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익(子益), 호는 삼연이다.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아버지 김수항(金壽恒)이 사사(賜死)되자 영평(永平)에 은거하였다. 소쇄원은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가 기묘사화로 유배된 후 죽임을 당하자, 제자였던 처사 양산보(梁山甫)가 벼슬을 버리고 담양(潭陽)에 조성하고 은거한 곳이다. 죽수(竹樹)는 전라도 능주(綾州)의 옛 이름이다. 조정만(趙正萬, 1656~1739)의 본관은 임천(林泉), 자는 정이, 호는 오재(寤齋)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승정원일기》 숙종 40년 11월 28일 기사에 능주 목사로 제수된 일이 보인다. 박광일이 차운한 김창흡의 원시는 《삼연집습유(三淵集拾遺)》 권10에 수록된 〈북관에서 돌아온 후 조정이에게 부치다.[北關歸後寄趙定而]〉이다.
[주-D002] 서석산(瑞石山) : 
광주(光州) 무등산(無等山)의 별칭이다.
[주-D003] 방장산(方丈山)과 봉래산(蓬萊山) : 
신선이 산다는 동해의 삼신산(三神山)에 속하는 산들의 이름이다. 여기서는 그런 이름을 쓰는 산이 가깝게 보인다는 말로 여겨진다.
[주-D004] 골 깊고 …… 생각하네 : 
남악(南嶽)은 중국 오악(五嶽)의 하나인 형산(衡山)을 말하는데, 송나라의 주희가 남헌(南軒) 장식(張栻)과 함께 이곳에 노닐면서 많은 양의 시를 주고받았다. 《宋子大全隨箚 卷4》
[주-D005] 적벽(赤壁) : 
현재 전남 화순군(和順郡) 이서면(二西面) 창랑천(滄浪川) 일대의 절벽을 말한다. 적벽이란 이름은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동복(同福)으로 귀양 온 최산두(崔山斗)가 중국의 적벽에 버금간다고 하여 이름 붙였다고 한다.
[주-D006] 물염정(勿染亭) : 
창평(昌平)의 남쪽 동복현(同福縣) 방향으로 30리 지점에 위치한 정자의 이름이다.
[주-D007] 담재(湛齋) …… 날렸는데 : 
담재는 김인후(金麟厚, 1510~1560)로, 본관은 울산(蔚山), 자는 후지(厚之), 호는 하서(河西) 또는 담재,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그는 소쇄원의 제월당에 자신이 지은 〈소쇄원48영〉을 친필로 써서 걸어 두기도 하였는데, 그 작품이 《하서전집(河西全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주-D008] 남쪽에는 …… 있어 : 
광주 무등산 입석대(立石臺) 아래에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 김덕령(金德齡, 1567~1596)이 철을 생산하여 무기를 만들었다는 제철유적지 등이 지금도 남아 있다.
[주-D009] 땅은 …… 생각나도다 : 
상산(商山)은 중국 섬서성(陝西省) 상현(商縣) 동쪽에 있는 산인데, 진(秦)나라 말기에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기리계(綺里季)ㆍ녹리선생(甪里先生)이 이곳에 은둔했으므로, 이들을 상산사호(商山四皓)라고 불렀다. 《史記 卷55 留侯世家》
[주-D010] 짧은 …… 노래 : 
짧은 시는 《삼연집습유(三淵集拾遺)》 권10에 수록된 〈광석대에서 조정이의 시에 차운하다[廣石臺次趙定而]〉이고, 긴 노래는 〈북관에서 돌아온 후 조정이에게 부치다[北關歸後寄趙定而]〉를 가리킨다.
[주-D011] 날 알아주던 이 : 
원문의 ‘아양(峨洋)’은 지기(知己)가 서로 만난 것을 비유할 때 쓰는 말이다. 거문고의 명인 백아(伯牙)가 고산(高山)에 뜻을 두고 연주하면 그의 지음(知音)인 종자기(鍾子期)가 “좋구나. 아아(峨峨)하여 태산(泰山)과 같도다.” 하고, 유수(流水)에 뜻을 두고 연주하면 “좋구나. 양양(洋洋)하여 강하(江河)와 같도다.”라고 평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列子 湯問》
[주-D012] 붕새가 …… 올까 :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북명(北溟)에 사는 곤(鯤)이라는 물고기는 길이가 몇천 리나 되는지 알 수 없다. 그 물고기가 붕새로 변화하는데, 그 길이 역시 몇천 리나 되고 날개가 하늘에 드리운 구름과 같다. 그 새가 해풍(海風)이 일어나면 이를 타고 날아올라 단숨에 남명(南冥)으로 날아간다.”라고 하였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