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영남과 호남의 인물들, 도협총설 104조항 〔陶峽叢說 一百四則〕 -도곡집

도협총설 104조항 〔陶峽叢說 一百四則〕 -도곡집 제28권 / 잡저(雜著) : 이의현(李宜顯, 1669~1745)


102. 조선조에서는 양남(兩南) 지방의 인물이 가장 현달하였으니, 경주(慶州)에는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이고, 안동(安東)에는 충정공(忠定公) 권벌(權橃)과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과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과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이고, 상주(尙州)에는 소재(蘇齋) 노수신(盧守愼)과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와 창석(蒼石) 이준(李埈)이고, 성주(星州)에는 한강(寒岡) 정구(鄭逑)와 동강(東崗) 김우옹(金宇顒)이고, 진주(晉州)에는 남명(南冥) 조식(曺植), 보덕(輔德) 조지서(趙之瑞)이고, 대구(大丘)에는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이고, 밀양(密陽)에는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고, 선산(善山)에는 하위지(河緯地) 선생과 경은(耕隱) 이맹전(李孟專)과 신당(新堂) 정붕(鄭鵬)과 송당(松堂) 박영(朴英)이고, 인동(仁同)에는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이고, 함양(咸陽)에는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과 옥계(玉溪) 노진(盧禛)이고, 청도(淸道)에는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과 삼족당(三足堂) 김대유(金大有)이고, 합천(陜川)에는 야천(冶川) 박소(朴紹)이고, 영천(永川)에는 사간(司諫) 곽순(郭珣)이고, 함안(咸安)에는 의정(議政) 어세겸(魚世謙)이고, 금산(金山)에는 매계(梅溪) 조위(曺偉)이고, 영천(榮川)에는 화포(花浦) 홍 선생(洪先生 홍익한(洪翼漢))이고, 예천(醴泉)에는 수헌(睡軒) 권오복(權五福)과 의정(議政) 정탁(鄭琢)이고, 용궁(龍宮)에는 참판 문근(文瑾)이고, 함창(咸昌)에는 문광공(文匡公) 홍귀달(洪貴達)과 양정공(襄靖公) 채수(蔡壽)와 교리 권달수(權達手)이고, 고령(高靈)에는 읍취헌(挹翠軒) 박은(朴誾)이고, 현풍(玄風)에는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과 장군 곽재우(郭再祐)이고, 예안(禮安)에는 퇴계(退溪) 이황(李滉)과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와 월천(月川) 조목(趙穆)이고, 안음(安陰)에는 갈천(葛川) 임훈(林薰)과 동계(桐溪) 정온(鄭蘊)이고, 칠원(漆原)에는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이고, 산음(山陰)에는 덕계(德溪) 오건(吳健)이고, 사천(泗川)에는 구암(龜巖) 이정(李楨)이 있다.


전라도 나주(羅州)에는 금남(錦南) 최부(崔溥)와 눌재(訥齋) 박상(朴祥), 사암(思菴) 박순(朴淳)과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 금호(錦湖) 임형수(林亨秀)와 백호(白湖) 임제(林悌)이고, 광주(光州)에는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과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 장군 김덕령(金德齡)과 금남(錦南) 정충신(鄭忠信)이고, 남원(南原)에는 사인(舍人) 정황(丁熿)과 병사 황진(黃進)이고, 장성(長城)에는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이고, 익산(益山)에는 양곡(陽谷) 소세양(蘇世讓)이고, 김제(金堤)에는 찬성 이계맹(李繼孟)이고, 영암(靈巖)에는 소은(素隱) 신천익(愼天翊)이고, 영광(靈光)에는 수은(睡隱) 강항(姜沆)이고, 보성(寶城)에는 우산(牛山) 안방준(安邦俊)이고, 창평(昌平)에는 송강(松江) 정철(鄭澈)과 기옹(畸翁) 정홍명(鄭弘溟)이고, 태인(泰仁)에는 일재(一齋) 이항(李恒)이고, 강진(康津)에는 청련(靑蓮) 이후백(李後白)이고, 해남(海南)에는 석천(石川) 임억령(林億齡)과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과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이니, 이상의 분들은 유현(儒賢)과 절개를 지킨 선비, 문인과 명신, 양장(良將) 아닌 이가 없다.


기타 경재(卿宰)와 시종관과 훌륭한 행실을 닦으면서 스스로 삼간 선비가 매우 성대하게 함께 배출되어 조정에 나열된 자 중에 양남 지방 사람이 거의 절반을 넘었으니, 이 때문에 양남 지방을 칭하여 인재의 창고라고 하였다. 그런데 인조조 이후로는 점차 예전에 미치지 못하더니, 지금에는 더욱 쇠하여 말할 만한 것이 못 된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