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문곡 김상국에게 보내는 편지〔與文谷金相國書〕 - 서하집

문곡 김상국에게 보내는 편지〔與文谷金相國書〕 - 서하집 제17권 / 서독(書牘) : 이민서(李敏敍, 1633~1688).


봄날이 아직도 찬데, 삼가 이 시기에 대감의 조섭이 계절에 맞게 편안하시리라 생각하며, 구구한 마음에 지극히 우러러 사모합니다. 저는 집안의 우환이 잇달았는데, 지난달에 또 서매(庶妹)의 상을 당하였습니다. 지난해 남쪽으로 온 뒤로 잇달아 기공(朞功)에 해당하는 상이 예닐곱 번이나 났으니, 이 어찌 사람의 도리에 차마 감당할 일이겠습니까. 법성(法聖)에 가려던 일을 또한 실행하지 못하였고, 지나는 길에 인사드리려던 계획도 이루지 못하고 있으니, 삼가 끝없이 탄식할 뿐입니다.


근일에 한양 소식을 대감께서 혹 들으신 것이 있는지요? 주상의 환후는 이제 약을 쓰지 않을 정도로 회복되셨는지요?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아뢸 말씀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지역에서 바야흐로 김덕령(金德齡) 장군의 사우를 영건하여 회재(懷齋) 박광옥(朴光玉)과 함께 배향(配享)하고자 합니다. 이들은 모두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인물로, 비록 문무(文武)의 차이는 있지만 그 풍렬(風烈)은 모두 존경받을 만합니다. 회재는 예전에 지은 원사(院祠)가 있기 때문에 조금 수리하고 넓혀서 함께 모시려고 합니다. 공사를 벌이는 날이 정해진 상황에서, 고을 사람들이 상량문(上樑文)을 얻는 데 기어이 대감의 글 한 편을 청하여 사우(祠宇)를 훌륭하게 꾸미고자 하니, 대감께서 유념하시어 아름다운 은혜를 베풀어 주시기 바랍니다. 기문(記文)은 이미 우암(尤菴) 어른께 청하였으니, 대감의 글을 얻는다면 더욱 유감이 없을 것이기에 감히 청합니다. 저 또한 졸렬함을 헤아리지 않고 고을 사람과 자손들의 청에 못 이겨 대략 사실을 기록한 글을 지었으니, 아울러 이번에 보내드리니 같이 고쳐 주시기 바랍니다.



《남화경(南華經)》 한 건(件)은, 이곳에 옛날 간행본이 있으나 훼손이 심하여 읽을 수가 없어서 근래 겨우 보완하여 간행하였는데, 비록 모두 새로 간행하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읽을 만합니다. 이 책은 비록 외서(外書)이고 명리(名理)에 대한 말이 많지만, 경멸하여 버리기에는 아깝기 때문에 지금 올립니다.


[주-D001] 기공(朞功) : 
기년복과 대공(大功)ㆍ소공(小功)의 상기(喪期)를 말한다. 상기 1년인 경우를 기복(朞服)이라 하는데 조부모ㆍ백숙부모ㆍ형제자매ㆍ처 등의 상이 이에 해당하고, 9개월인 경우를 대공이라 하는데 사촌 형제자매의 상이 이에 해당하며, 5개월인 경우를 소공이라 하는데 증조부모ㆍ재종형제 등의 상이 이에 해당한다.
[주-D002] 김덕령(金德齡) 장군의 사우 : 
1567~1596.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경수(景樹)이다. 이민서의 아들 이관명(李觀命)이 지은 〈선부군행장(先父君行狀)〉에 “정사년(1677, 숙종3) 봄에 광주 목사에 임명되었다.……고을 안에 예전에 향현사(鄕賢祠)가 있었으니, 바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박광옥(朴光玉)의 사당이었다. 공이 이에 옛 규모를 증수하고 또 김덕령 장군과 함께 배향하였다.” 하였다. 김덕령은 전라도 광주(光州) 석저촌(石底村)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다. 1596년(선조29)에 도체찰사 윤근수(尹根壽)의 노복을 장살하여 투옥되었으나 유생들의 상소와 정탁(鄭琢)의 변호로 곧 석방되었다. 그해 7월 홍산(鴻山)에서 이몽학(李夢鶴)이 반란을 일으켰는데, 충청도 체찰사 종사관 신경행(辛景行)과 모속관(募粟官) 한현(韓絢)이 이몽학과 내통했다고 무고하였다. 그리하여 최담년ㆍ곽재우ㆍ고언백(高彦伯)ㆍ홍계남(洪季男) 등과 함께 체포되어, 26일 동안 여섯 차례의 고문으로 옥사하였다. 1661년(현종2)에 신원(伸寃)하고 복관(復官)하였다. 1785년(정조9) 시호를 충장(忠壯)이라고 하였다. 《국역 선조실록 29년 8월 4일》 《국역 선조수정실록 29년 8월 1일》 《국역 현종실록 2년 8월 30일》
[주-D003] 회재(懷齋) 박광옥(朴光玉) : 
1526~1593. 본관은 음성(陰城), 자는 경원(景瑗), 회재는 그의 호이다. 전라도 광주에 세거(世居)하였고, 10세 때 정황(丁潢)의 문하에 들어갔다. 1546년(명종1) 진사시에 입격하였으나, 광주(광산) 선도면(船道面)에 집을 지어 개산송당(蓋山松堂)이라 이름하고 문하생들과 함께 성리학을 연구하였다. 또 향약을 실시하고, 기대승(奇大升)ㆍ박순(朴淳)ㆍ이이(李珥)ㆍ노사신(盧思愼) 등과 교유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는 병으로 관직에서 물러나 있었는데, 고경명(高敬命)ㆍ김천일(金千鎰)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고향의 의병도청(義兵都廳)에서 군대의 장비와 양식을 조달하였다. 1602년 광주 벽진촌(碧津村)에 세워진 벽진서원(碧津書院)에 제향되었는데, 그 사당은 1678년(숙종4) 이민서가 확장하여 김덕령을 병향하였고, 1681년 의열사(義烈祠)라고 사액받았다. 박광옥은 운봉(雲峰)의 용암서원(龍巖書院)에도 제향되었다. 저서에 《회재유집(懷齋遺集)》이 있다.
[주-D004] 고을 …… 바랍니다 : 
이때 김수항이 영암에 귀양 와 있었는데, 상량문은 김수항이 쓰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의열사의 상량문은 나중에 이민서가 썼다. 《西河集 卷13 義烈祠上樑文》
[주-D005] 기문(記文)은 …… 청하였으니 : 
송시열이 기문을 썼는지는 미상이지만, 이민서의 편지를 통해 소식은 듣고 있었다. 이민서가 김덕령의 향사(享祀)를 추진한다는 소식을 듣고 송시열은 곽재우(郭再祐)도 함께 제향할 것을 제안하였다. 《국역 송자대전 제75권 이이중(李彝仲)에게 답함 - 정사년(1677) 12월》
[주-D006] 남화경(南華經) : 
당(唐)나라가 노자(老子) 이담(李聃)을 조상으로 삼아 현원황제(玄元皇帝)로 추존하고 장자(莊子)를 남화진인(南華眞人)으로 높였기 때문에 《장자》를 《남화경》이라고 한다. 박세당(朴世堂)이 《남화경주해산보(南華經註解刪補)》를 저술하여 교서관에서 현종실록자로 간행한 적이 있는데, 본문에서 말하는 《남화경》은 박세당의 저술이 아니라 《장자》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주-D007] 외서(外書) : 
원래 불교도들이 불교 경전 이외의 책을 일컫던 말이었으나, 차츰 뜻이 넓어져 유가 경전 이외의 책을 외서라고 하기도 하였다.

*2023.11.12. 수정 : '나주 선도면'을 '광주(광산) 선도면'으로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