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344
게시물 검색 폼
  • 조선대설립동지회기념탑(1994)
    동구 필문대로 309, 조선대학교이 기념탑은 지역인재 양성을 위해 조선대설립동지회 박철웅 선생을 중심으로 재단 설립과 기금운동을 전개하여 조선대의 정신적 지주이며 상징으로 10여만 설립동지 회원들의 숭고한 정신을 영원히 기리고 학원의 도덕성 회복을 위해 설립됐다.
    2018-06-26 | NO.74
  • 조철영-민고혁창사적비
    민고혁창사적비(民庫革刱事蹟碑)<광주읍지>에 따르면 주(州)의 서쪽 1리의 거리에 있는 비석으로 졸은(拙隱) 박현(朴絢)의 기문(記文)이 있다.기문(記文)졸은(拙隱) 박현(朴絢) 지음우리 고을에 별다른 민막(民瘼)의 폐단이 없다는 일은 온 나라의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는 분명한 사실일 뿐 아니라 이 고을의 사람들에 있어서 스스로 민막(民瘼)이라는 말을 듣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다. 지난 신축(辛丑)년에 신전(莘田) 조후(趙候) 철영(徹永)이 고을의 목사로 부임 한 후 수십차례 의 민전(緡錢)을 내어 이 고을의 백성을 구제하였다. 이로 인해 여러 사람들이 비로소 이 고을에 이러한 민막(民瘼)의 음지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이는 흡사 강보의 어린 아이가 비록 자신의 기포(飢飽)와 한난(寒暖)에 대한 그의 느낌을 말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의 어머니가 스스로 어린아이의 뜻을 헤아려 그의 몸을 편안하게 하는 일이나 다름없는 매우 자애로운 일임이 분명하다.지난 옛날부터 이 고을의 어려운 백성을 구제하기 위한 민고(民庫)의 시설이 없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의 조후(趙候)가 이 고을의 정사(政事)를 펼치면서 더욱 민고(民庫)의 규모를 확충하여 여러 궁민(窮民)을 보살피는 많은 선정이 있기 때문에 이 고을의 주민들이 더욱 이에 대한 깊은 감동을 가지었다. 이 때문에 서로간의 아낌없는 헌성으로 오늘의 이 비석을 세워 영구보존의 모든 조치를 다하였다.그리고 오늘의 이 비가 비록 조후(趙候)의 공적(功績)을 기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할지라도 이 고을을 비롯한 다른 군현(郡縣)의 여러 수령(首領)들이 모두 조후(趙候)의 이러한 일을 본받아 올바른 선정(善政)을 펼치도록 하려는 또 하나의 소망이 없지 않다.
    2018-06-18 | NO.73
  • 조탑사녀씨명개록지비
    광주시 북구 금곡동 864 원효사1944년이 조탑사녀씨명개록지비(造塔士女氏名開錄之碑)는 《무등산》(1988)에 기록이 있다.
    2018-12-01 | NO.72
  • 조태일 - 풀씨
    광주시 동구 선교동 71, 너릿재공원 유아숲체험장
    2018-11-22 | NO.71
  • 주남마을 위령비
    광주시 동구 월남동 1842010년공수부대가 주남마을에 진을 친지 사흘째 되던 1980년 5월 23일, 11공수부대는 지나가던 버스에 무차별 사격을 가했다.이 발포로 버스에 타고 있던 승객 15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당했다. 마을 주민들과 광주YMCA 그리고 5·18기념재단이 위령비를 세웠다.
    2018-06-26 | NO.70
  • 주남마을 전원범 시비
    광주시 동구 월남동 18420135.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주남마을 주민들이 희생당한 넋을 기리기 위해 전원범 시인의 '우리가 갈망하는 것은'이라는 시비를 세웠다.
    2018-06-26 | NO.69
  • 죽봉 김태원장군 동상(2013)
    광주 서구 농성2동 645-1, 농성광장내의병장 죽봉 김태원 장군의 동상은 화승총을 손에 든 채 한 손으로 어등산 봉우리를 가리키고 있는 굳센 얼굴이다. 1975년 6월에 처음 세웠다. 이후로 많이 훼손되어 김태원의병장기념사업회에서 전병근의 작품으로 1998년 12월에 다시 세웠다.
    2018-06-26 | NO.68
  • 죽헌장동명 · 남파장량환공적비
    광주시 광산구 동산동 산 255-1, 연동마을 입구1979년이 죽헌장동명 · 남파장량환공적비(竹軒張東命 南坡張良煥 功績碑)는 평동저수지를 조금 지나 광산구 동산동 연동마을 입구 도로변에 있다. 1979년 흥성장씨 문중에서 세운 공적비이다. 비문은 국한문혼용체로 쓰여 있다.⽵軒 張東命과 南坡 張良煥은 어렸을 때 효성이 純篤하며 事親之事에는 孟宗 王祥의 본을 받아 適⼝之味를 腹⾏順志하며 敦睦義⽅에 敬直하고 爲先之事에는 都私⾨에 先導者가 되어서 祭閣建⽴과 伐⽯立碑에 最善의 勞⼒을 傾注하여 功績이 顯著하기로 衆⼝稱頌하고 名傳千秋하노라.⻄紀 ⼀九七九年 ⼰未 ⼆⽉ ⾨⼈ ⼀同
    2018-11-10 | NO.67
  • 죽헌최공명구덕의추사비
    광주시 북구 생룡동 125-1(우치공원 주차장 맞은편)1964년이 죽헌최공명구덕의추사비(竹軒崔公命龜德義追思碑)는 최명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광주군 지산면 죽헌농계원 일동이 세웠다.
    2018-11-13 | NO.66
  • 죽헌최공명구영세추사비
    광주시 북구 생룡동 125-1(우치공원 주차장 맞은편)1964년이 죽헌최공명구영세추사비(竹軒崔公命龜永世追思碑)는 최명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화순군 동면 죽헌농계원 일동이 세웠다.
    2018-11-13 | NO.65
  • 중앙초등학교 본관(1928)
    동구일제강점기 당시 1907년 광주심상고등소학교로 개교하여 1914년 궁동으로 이전했고 해방후 중앙국민학교로 개교했다. 전형적인 빨간 벽돌 건물로 외부와 내부를 거의 고치지 않고 일제강점기 건축 당시 모습을 원형 그대로 가장 잘 보존하고 있다. 학교와 건축물로서 이 지역이 갖고 있는 훌륭한 문화유산이자 소중한 자원이며 문화도시 광주에 잘 어울리는 문화콘텐츠가 될 수도 있다.
    2018-06-26 | NO.64
  • 지광 김동수 열사 추모비(1992)
    광주시 동구 필문대로 309, 조선대학교김동수(1958~1980)는 5.18 당시 학생수습대책위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5월 27일 도청을 사수하다 계엄군의 총탄에 의해 산화한 후 망월동 묘역에 묻혔다.
    2018-06-19 | NO.63
  • 지응현-붕남 지공응현 덕의기념비
    광주시 동구 서석로7번길 12-14 (수녕경로당)
    2018-12-17 | NO.62
  • 찰방김공붕래구폐영세불망비
    광주시 북구 우산동 514-21854년이는 찰방김공붕래구폐영세불망비(察訪金公朋來捄弊永世不忘碑)이다.  구 호전 인근 향토문화로와 독립로가 만나는 지점의 소공원에 김붕래영세불망비(金朋來永世不忘碑), 송택훈권학청덕거사비(宋宅薰勸學淸德去思碑) 2기가 함께 있다. 김붕래는 1813년(순조 13) 생으로 자는 익보(益甫)이며 본관은 풍산(豊山)이다.철종(哲宗) 3년(1852) 임자(壬子)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4위(34/39)였다. 찰방은 과거 공문서와 관수물자 등을 운송하던 교통·통신시설인 역(驛)의 총책임자를 말하며, 찰방비는 이들의 선정을 기록했다.광주 북구 우산동 주민자치위원회는 2003년 12일 옛 경양역터인 우산동 514-2번지 일대에 경양역 찰방비(察訪碑) 복원을 마무리했다. 이 사업은 북구 향토문화의 거리 입구 120㎡에 지난 57년 광주공원으로 옮겨진 찰방비 6기 가운데 2기(김붕래 불망비, 송택훈 거사비)와 말방 4개, 물확 1개를 설치한 것으로, 조경수를 함께 심어 소공원으로 꾸몄다.김붕래 불망비(不忘碑)는 1854년, 송택훈 거사비(去思碑)는 1860년에 세워진 호패형 석비로 각각 높이 127~148㎝, 너비 53~44㎝에 그들의 행적과 선정 등이 기록돼 있다.주민자치위는 지난 7월 찰방비 복원추진위를 구성, 주민들과 함께 사업비를 마련하고 찰방비 주인의 후손을 찾는 한편, 북구 아름다운마을만들기회에 맡겨 현지조사와 탁본·명문해설·역사고증 등을 거쳤다.
    2018-10-19 | NO.61
  • 찰방박공종형청덕선정비
    광주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 (광주공원內)1876년찰방박공종형청덕선정비(察訪朴公鍾瀅淸德善政碑)는 광주공원 비석군에 있다.찰방(察訪) 박종형(朴鍾瀅)의 선정비로 병자년(丙子年, 1876)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찰방은 조선시대 각 도의 역참(驛站)을 관리하던 종6품의 외관직으로 역리(驛吏)를 포함한 역민(驛民)의 관리, 역마 보급, 사신 접대 등을 총괄하는 직책이다. 비의 앞면에는 역참(驛站)을 은혜로 다스린 것에 대한 송축하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公治幷恩 郵安畜番 戶蠲結布 廩損休畓 莅三課績  蔽一無寃 石壽金秤 追歌銘言
    2018-06-11 | NO.60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