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53
게시물 검색 폼
  • 고산 윤선도 '오우가'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1587∼1671)의 '오우가'(五友歌)내 벗이 몇이나 하니 수석과 송죽이라동산에 달오르니 그더욱 반갑고야두어라 이 다섯밖에 또 더하여 무엇하리구름빛이 좋다하나 검기를 자로한다바람소리 맑다하나 그칠적이 하노매라 좋고도 그칠뉘 없기는 물뿐인가 하노라꽃은 무슨일로 피면서 쉬이지고풀은 어이하여 푸르는듯 누르나니아마도 변치않는건 돌뿐인가 하노라더우면 꽃피고 추우면 잎지거늘솔아 너는 어찌 눈서리를 모르는다구천에 뿌리 곧은줄을 그로하여 아노라풀도 아닌것이 나무도 아닌것이 곧기는 뉘 시키며 속은 어이비엇는가저렇고 사시에 푸르니 그를 좋아하노라작은것이 높이 떠서 만물을 다 비치니밤중에 광명이 너만한이 또 있느냐보고도 말 아니하니 내 벗인가 하노라
    2018-06-21 | NO.53
  • 고재춘-삼각산
    광주시 북구 오치동 66북구 오치동 광주노씨 재각 100미터 전 왼편에 세워졌다. 2005년 오치1동 주민자치위원회에서 주민 공모를 거쳐 운봉 고재춘의 '삼각산'이라는 시를 선정해 시비를 세웠다.
    2018-12-07 | NO.52
  • 고정희 시비 '상한 영혼을 위하여'
    해남 출신의 고정희(1948~1991) 시비는 북구 광주문화예술회관 내에 있다.  이 시비는 박홍원, 범대순, 문도채, 손광은, 전원범, 김종, 정윤태, 신동언 등이 건립위원이면에는 그의 흉상과 함께 1983년에 쓴 「상한 영혼을 위하여」 전문이, 뒷면에는 그의 행적이 새겨져 있다. 시인을 소개한 글은 김종이 썼고, 글씨는 정광주,  조각은 박광구가 했다. 1997년 10월 15일 광주광역시 문인협회에서 세웠다.고정희(1948∼1991)는 전남 해남군 삼산면 송정리에서 출생하여 한국신학대학을 졸업하고 1975년 ????현대시학????에 시 「부활 그 이후」,「연가」 등이 추천되어 문단에 나왔다. 1989년부터 ‘목요시’ 창립동인으로, 1984년에는 ‘또 하나의 문화’ 동인으로 활동했다. 또한 1988년에는 <여성신문> 초대 편집주간을 역임했으며, 1991년 6월 9일 취재차 오른 지리산에서 불의의 사고로 타계할 때까지 독신으로 생활하며 시 창작에만 전념했다.시집으로는 ????누가 홀로 술틀을 밟고 있는가????(1979), ????지리산의 봄????(1987), ????광주 눈물비????(1990), ????아름다운 사람 하나????(1991) 등 10여 권이 있다. 그는 시 창작에서 고정 관념적 여성주의를 멀찍이 벗어나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투시력과 비판을 종횡으로 구사한 능력 있는 시인이었다. 그는 또한 분노에 젖었던 시대적 아픔을 힘차고 당당한 서정으로 고양시켜 실천적 의지와 전망을 참신한 표현으로 보여주었다. 상한 영혼을 위하여(고정희, 1983년) 상한 갈대라도 하늘 아래선한 계절 넉넉히 흔들리거니뿌리 깊으면야밑둥 잘리어도 새 순은 돋거니충분히 흔들리자 상한 영혼이여충분히 흔들리며 고통에게로 가자뿌리 없이 흔들리는 부평초 잎이라도물 고이면 꽃은 피거니이 세상 어디서나 개울은 흐르고 이 세상 어디서나 들불은 켜지듯가자 고통이여 살 맞대고 가자외롭기로 작정하면 어딘들 못 가랴가기로 목숨 걸면 지는 해가 문제랴고통과 설움의 당 훨훨 지나서뿌리 깊은 벌판에 서자두 팔로 막아도 바람은 불 듯영원한 눈물이란 없느니라영원한 비탄이란 없느니라캄캄한 밤이라도 하늘 아래선마주잡은 손 하나 오고 있거니
    2018-06-21 | NO.51
  • 김남주 시비
    광주시 북구 운암동 중외공원 어린이공원지구내2000년김남주 시비는 중외공원 광주시립미술관에서 광주비엔날레 가는 방향의 길 중간 오른편에 있다. 시는 김남주(金南柱, 1946~1994)의 '노래'가 새겨져 있으며 오른편에 김남주의 흉상이 있다.노래 / 김남주이 두메는 날라와 더불어 꽃이 되자 하네 꽃이 피어 눈물로 고여 발등에서 갈라지는 녹두꽃이 되자 하네 이 산골은 날라와 더불어 새가 되자 하네 새가 아랫녘 웃녘에서 울어예는 파랑새가 되자 하네 이 들판은 날라와 더불어 불이 되자 하네 불이 타는 들녘 어둠을 사르는 들불이 되자 하네 되자 하네 되고자 하네 다시 한번 이 고을은 반란이 되자 하네 靑松綠竹(청송녹죽) 가슴으로 꽂히는 죽창이 되자 하네 죽창이시비는 2000년 9월에 조성되었으며 그림 홍성민, 초상 김희상, 설계 홍성담 박동준 등이 맡았다.
    2018-05-30 | NO.50
  • 김덕령-춘산에 불이 나니
    광주시 남구 사직공원춘산(春山)에 불이나니 못 다핀 꽃 다 붙는다저 산 저 불은 끌 물이나 있거니와이 몸의 내(川) 없는 불이나니끌 물 없어 하노라-忠壯公 金德齡-
    2020-03-19 | NO.49
  • 김만옥시비
    광주 북구 운암동 중외공원 어린이공원지구 내1998년김만옥 시비는 북구 광주시립미술관에서 광주비엔날레 가는 방향 중간쯤 왼편에 있다. 반대편에 김남주 시비가 보인다. 시는 '딸아이의 능금'을 적었다.봄비가 다녀간 담장 밑 양지쪽에어느 날 딸아이가 능금씨 심는다 봄이 다 가고 여름이 와도싹은 나지 않고 가슴 죄는 데 가을이 다 가고 겨울이 와서까막득 그 일 다 잊어버릴 때 딸아이 마음 속에 능금꽃 필까딸아이 마음 속에 능금이 열릴까 딸아이에게퇴비 한 줌 주지 못한어른이 송구스럽다.비의 뒷면에 "김만옥(金萬玉)은 1946년 3월 전남 완도에서 출생하여 조대부고를 졸업하고 조선대 국문과에서 수학하였다. 1966년 <사상계> 신인문학상에 「아침 장미원 」등이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으며 시향(詩鄕) 동인회를 조직하여 문학에의 집념을 불태웠다.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10여년간 곤고한 생활을 견디며 「흥보집」 「아이들의 잠꼬대」 등 좋은 작품을 발표하여 꾸준히 주목을 받았으나 끝내 자살하고 말았다 그는 소설 창작에도 재능을 보여  1971년 <전남일보>와 <대한일보>의 신춘문예에서 당선되었고  이듬해에는 <서울신문>의 5.16민족상을 받기도 하였다. 시집으로 <슬픈 계절의> (64년) 와 유고 시집 <오늘 죽지않고 오늘 살아있다> (85년)가 있다"글은 김종이 작성하고 글씨는 이무재가 써서 1998년 11월 5일에 광주문인협회에서 세웠다.건립위원은 전원범, 백수인, 이향아, 강만 오재열, 김종, 오건탁, 정광주 등이다.김만옥은 1946년 3월 6일 전남 완도군 청산면 여서리에서 태어났다. 아주 어릴 적에 아버지를 여읜 그는 홀어머니의 슬하에서 곤궁하게 자랐다. 고향 여서리에서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1960년 완도중학교에 진학한다. 그는 당시 전국적으로 널리 읽혀졌던 청소년 잡지 [학원]의 기자로 활동하면서 이 잡지에 시와 수필 등을 발표하여 청소년문단에 알려지게 된다.    일찍이 중학시절부터 문학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것이다. 중학교를 졸업하고 1963년에 조선대학부속고등학교에 입학하면서 그는 홀어머니와 함께 광주로 이주하게 된다. 그는 고등학교 때에는 전국의 문예백일장을 휩쓸 정도로 문학적 기량을 떨쳤다. 그리하여 1964년 고등학교 2년생인 김만옥은 <슬픈 계절>이라는 시집을 낼 정도로 이 분야에 조숙해 있었다.    그는 당시 광주 시내 각 고등학교의 문학지망생들을 모아 [석류] [시향] 등의 문학동인회를 조직하여 문학 활동을 주도하기도 했다. 그 시절 함께 활동한 [석류] 동인으로는 송기원, 김준태, 김종 등이었고 [시향[ 동인으로는 한옥근, 정중수, 김창완 등이었다.    1965년 전남일보 신춘문예에 고교 3년생인 그의 시가 가작으로 뽑히면서 세인들을 놀라게 하기도 했다. 또한 이듬해 6월에 제5회 신인예술상에 그의 소설이 차석상을 차지함으로써 소설 부문에서도 재능을 인정받았다. 1967년 2월에 시 <아침 장미원> 외 3편이 제8회 [사상계] 신인문학상에 당선됨으로써 그는 약관을 갓 넘긴 젊은 나이에 문단의 주목을 한몸에 받게 되었다.    그는 이해 1967년 3월 조선대학 국문과에 입학하여 창작에 몰두한다. 대학생이 되기도 전에 이미 기성의 문인으로 알려진 그는 대학사절에도 전남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가작, 시조문학 추천 완료 등 각종 현상모집에 응모하여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그가 이미 문단에 등단했으면서도 이렇게 각종 현상모집에 계속 응모한 것은, 원고료와 상금을 생활에 보태야 할 정도로 어려운 생계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68년 9월 29일은 조선대학교 개교 22주년 기념일이었다. 이날을 기념하기 위한 백일장에서 국문과 2년생인 그는 대학부 시 부문에서 장원을 차지했다.   아무데서도 보인다.   젊은 지산동이나 아주 먼 방림동   혹은 유덕동 종점에서도   그의 얼굴은 잘 보인다.   얼굴이 왼통 하이얀   키가 큰 청년   아침에 일어나서 대하는 태양이듯   사람들은 그의 앞에 숙연히 선다.   아무 사람도 그는 알아본다.   골목의 코흘리게들도 저녁 시장의   늙은 상인들도 그는 알아본다.   항상 그의 곁에서   떠나려 하는 사람은 없다.   언제나 친절히 손바닥을 펴들고   학우들을 전송하며 때때로   껄껄 웃어줄 줄도 아는 청년   아무 사람도 그를 칭송한다.   그의 반짝이는 총명의 눈은   세계의 눈처럼   종일 드넓게 가슴 벌려   지혜를 숨쉬는   그의 폐활량은 세계의 목숨처럼   무변(無邊)함을   사람들은 알고 있다. 다 알고 있다.   광망(光芒)이여,   세계는 여기서부터 밝아진다.               - 김만옥: <조선대학교> 전문 -    이 작품에서 보여주듯이 그가 가졌던 조선대학에 대한 애정이 이토록 강렬하였지만, 3학년 2학기에 학업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그 후에도 그는 1971년에 대한일보와 전남일보 신춘문예에, 1972년 5ㆍ16민족상에 각각 그의 소설이 당선되었다. 그는 이처럼 문학의 여러 장릉[ 걸쳐 천재적 재능을 인정받았고, 열정적으로 문학 활동을 하였다. 그러나 어린 식구가 불어나고 생활고의 중압은 날이 갈수록 심해졌다. 그는 결국 이를 이겨내지 못하고 만다. 1975년 9월 4일 홀어머니와 아내, 그리고 어린 세 딸을 남겨둔 채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이다. 불행히도 우리 문단은 아까운 문사 한 사람을 잃게 되었다.    그가 세상을 하직한 지 10년이 된 1985년 시인 김준태가 주선하여 그의 유고시집 <오늘 죽지 않고 오늘 살아있다>(도서출판 청사)를 내어 그의 문학 업적을 기렸다. 그리고 지난 11월 22일 광주문협 주관으로 광주중외공원에 그의 시비를 세우고 제막식을 가졌다. 이 시비에는 그의 시 <딸아이 능금>이 새겨져 있다.    특유의 비유적 언어와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구성이 그의 시에 드러난 형식적 특성이다. 그는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순수한 동심의 시계, 가난한 이웃에 대한 사랑, 고독과 어두움에 대한 내면의식 등을 아름다운 서정으로 형상화해 내고 있다.   내 빈 도시락 같은 종생(終生)을 내다보고   부끄러워, 부끄러워, 부끄러워   쫓기듯 왔네만 산허리서   달빛 냄새나는 꽃 한송이 들고 와   흙, 돌, 벌레들과   나는 물소리를 베고 짚베개 누워.                       (<자연인> 중에서) 라고 노래한 것처럼 그는 이미 달빛 냄새나는 꽃 한송이에 자족하고 근원적 자연으로 돌아갈 자신을 예견했던 것일까.  (조대신문 699호 1998년 12월 7일)
    2018-06-28 | NO.48
  • 김석겸 -무궁화
    광주시 동구 선교동 71, 너릿재공원 유아숲체험장
    2018-11-22 | NO.47
  • 김영랑 - 모란이 피기까지는
    광주시 동구 선교동 71, 너릿재공원 유아숲체험장
    2018-11-22 | NO.46
  • 김용휴-남광주에 나는 가리
    광주시 동구 제봉로 7(옛 남광주역)2002년설레임으로 여기 서 있다.아쉬움으로 여기 서 있다.기적소리 없는 새벽 누가 열꼬비껴가는 허공의 구름 일지라도스치는 바람이라도기적의 여운이라도돌아오게 할 수 있다면회상시켜 볼 수 있다면광주의 새벽을 여는 남광주역에 나는 가리삶의 질곡을 푸는시골 할매들의먼 숨결소리라도 들으리
    2018-12-11 | NO.45
  • 김인후-어화 버힐시고
    광주 남구 사직공원어화 버힐시고낙락장송(落落長松) 버힐시고져근덧 두던들(잠깐동안 두면은)동량봉(棟樑棒) 되리러니명당(明堂)이 기울거든무서수로(무엇으로) 바치려노-문정공 김인후(文正公 金麟厚)-
    2020-03-19 | NO.44
  • 김재균 - 무등서설
    광주시 동구 선교동 71, 너릿재공원 유아숲체험장
    2018-11-22 | NO.43
  • 김재흔 - 무등연가
    광주시 동구 선교동 71, 너릿재공원 유아숲체험장
    2018-11-22 | NO.42
  • 김종 - 광주가는 길
    광주시 동구 선교동 71, 너릿재공원 유아숲체험장
    2018-11-22 | NO.41
  • 김현승 - 무등차
    광주시 동구 선교동 71, 너릿재공원 유아숲체험장
    2018-11-22 | NO.40
  • 김현승 시비-가을의 기도
    남구 제중로 77 호남신학대2007년호남신학대 교정에 다형 김현승 시인의 시비가 있다. 주 조형물은 3m 높이로 펜촉과 횃불을 상징하며 책 모양의 부 조형물에는 대표작 ‘가을의 기도’가 새겨졌다. 또 하나의 조형물에는 시인이 차를 마시는 모습과 함께 연보와 문학세계·제자 문인 명단 등이 담긴 ‘평설비’로 꾸며졌다.
    2018-06-19 | NO.39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