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82건)

의병을 일으킨 김천일의 포상을 의논하다 - 선조 37년
임진란 때 의병을 일으킨 김천일의 포상을 의논하다 - 선조 37년 갑진(1604) 10월 20일(병인) 전라 감사(全羅監司) 장만(張晩)이 아뢰기를,“도내(道內)의 나주 생원(生員) 강위호(姜渭虎) 등 58인이 정서(呈書)하였는데, 그 대략에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은 호남의 석유(碩儒)로 지난 임진 왜란 때 왕성(王城)이
박광옥의 포장 요청에 문안을 토대로 받아들이다 - 선조 37년
고 나주 목사 박광옥의 포장 요청에 문안을 토대로 포장하기로 하다 - 선조 37년 갑진(1604) 5월 20일(경오)        광주(光州) 진사(進士) 이한용(李翰龍) 등의 소장에,“고(故) 나주 목사(羅州牧使) 박광옥(朴光玉)은 지난 임진년에 고경명(高敬命)ㆍ김천일(金千鎰) 등과 서로 서찰(
최득수를 효자로 표창해 줄 것을 청하다 - 선조 36년
영암의 문익주 등이 상소를 올려 최득수를 효자로 표창해 줄 것을 청하다 - 선조 36년 계묘(1603) 3월 14일(경오)전라 감사 한준겸(韓浚謙)이 아뢰었다.“영암(靈巖)에 사는 전 현감 문익주(文益周) 등 20여 인이 연명(連名)하여 와서 정소(呈訴)하기를 ‘군(郡)에 사는 사인(士人) 최득수(崔得壽)는 고(故) 명현(名賢) 최
요동 도지휘사의 자문 내용을 논하다 - 선조 27년
대신과 비변사 당상, 양사, 옥당 등과 요동 도지휘사의 자문 내용을 논하다 - 선조 27년 갑오(1594) 7월 16일(임진)        상이 대신과 비변사 당상, 양사, 옥당을 인견하고 【영중추부사 심수경(沈守慶), 판중추부사 정곤수(鄭崑壽), 호조 판서 김명원(金命元), 이조 판서 김응남(
참의 고경명 공 신도비명 병서 -월정집
참의 고공 신도비명 병서 〔參議高公神道碑銘 幷序〕 -월정집 제6권 / 비명(碑銘) : 월정(月汀) 윤근수(尹根壽, 1537~1616)만력(萬曆) 임진년(1592, 선조25)에 왜란이 일어나 참의 고공(高公)이 목숨을 바쳐 큰 절개를 드러내었는데, 그 후 십여 년이 지나도록 아직 신도비문(神道碑文)을 맡긴 데가 없었다. 어느 날 공의
남원 부사로 부임하는 고용후를 전송하는 시의 서문 -어우집
남원 부사로 부임하는 고용후를 전송하는 시의 서문〔送南原府使高用厚 詩序〕 -어우집 제3권 / 서(序) : 어우(於于) 유몽인(柳夢寅, 1559~1623)내가 듣건대, 호랑이의 새끼는 소를 잡아먹을 수 있고 천리마의 새끼는 어미를 추월한다고 한다. 양이 젖을 먹을 때 무릎을 꿇고 먹는 것은 공경할 줄 알아서이고, 새가 먹이
화양동 어록〔華陽洞語錄〕 -손재집
화양동 어록〔華陽洞語錄〕 -손재집 제9권 / 어록(語錄) : 박광일(朴光一, 1655~1723)○ 을축년(1685, 숙종11) 2월에 화양정사(華陽精舍)에 가서 선생을 뵈었다. 선생께서 “해를 이어 방문하니 극히 다행이네만, 이번에는 또 무슨 까닭에 궁벽한 산속 적막한 곳을 찾아왔는가?”라고 하고, 이어 부모 모시고 지내기 편한지 물
선고 우헌 부군(박상현) 광지〔先考寓軒府君壙誌〕 -손재집
선고 우헌 부군 광지〔先考寓軒府君壙誌〕 -손재집 제8권 / 묘지(墓誌) : 박광일(朴光一, 1655~1723)선부군의 휘는 상현(尙玄)이고, 자는 경초(景初)이며, 성은 박씨(朴氏)이고, 본관은 평양(平陽)이다. 본래 고려 시대 순천부원군(順天府院君) 휘 난봉(蘭鳳)의 후손이며, 우리 왕조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시호 문숙공(
벽진서원, 서구 향토문화유산 제2호 지정예고
임진왜란 당시 광주에 의병도청을 설치하고 의병 모집과 군수물자 조달 등에 힘쓴 공신인 회재 박광옥(1526~1593) 선생의 벽진서원이 광주광역시 서구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됐다.광주 서구(청장 서대석)는 서구 향토문화유산 발굴 및 보호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서구 풍암동의 벽진서원을 향토문화유산 제2호로 지정키로
정공(정엄) 묘지명 병서〔通政大夫承政院同副承旨贈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鄭公墓誌銘並序〕 - 성재집
통정대부 승정원 동부승지 증가선대부 사헌부 대사헌 정공 묘지명 병서〔通政大夫承政院同副承旨贈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鄭公墓誌銘並序〕 - 성재집 제41권 / 가하산필(柯下散筆) :  유중교(柳重敎, 1832~1893)부인은 경주 김씨이며, 상촌(桑村) 김자수(金自粹)의 6세손이다. 고(考)는 김연(金堧)으로 목사(牧使)이다
문곡 김상국에게 보내는 편지〔與文谷金相國書〕 - 서하집
문곡 김상국에게 보내는 편지〔與文谷金相國書〕 - 서하집 제17권 / 서독(書牘) : 이민서(李敏敍, 1633~1688). 봄날이 아직도 찬데, 삼가 이 시기에 대감의 조섭이 계절에 맞게 편안하시리라 생각하며, 구구한 마음에 지극히 우러러 사모합니다. 저는 집안의 우환이 잇달았는데, 지난달에 또 서매(庶妹)의 상을 당하였습
벽진서원 의열사 상량문〔義烈祠上梁文〕- 서하집
의열사 상량문〔義烈祠上梁文〕- 서하집 제13권 / 상량문(上梁文) : 이민서(李敏敍, 1633~1688).향선생을 사(社)에 향사하여 오래전부터 정성을 바치는 사당이 있는데, 열장부(烈丈夫)가 때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유독 충(忠)을 나타내는 전례(典禮)가 빠졌도다. 이에 옛 사당을 새롭게 하여 영령(英靈)을 함께 향사하도다
박광옥ㆍ김덕령의 사우에 대하여 사액하는 건 - 서원등록(書院謄錄)
박광옥(朴光玉)ㆍ김덕령(金德齡)의 사우(祠宇)에 대하여 대신들에게 논의하게 하여 사액하는 건 - 숙종(肅宗) 6년(1680) : 서원등록(書院謄錄)윤8월 25일 예조(禮曹)에서 아뢰기를, “이번 윤8월 24일 주강(晝講)에 입시(入侍)하였을 때, 동지사(同知事) 이민서(李敏敍)가 아뢰기를, ‘신이 광주(光州)에서 직책을 수행하고 있
권지학유 고공(고인후)의 시호를 청하는 행장 -문곡집
권지학유 고공의 시호를 청하는 행장〔權知學諭高公請諡行狀〕 -문곡집 제22권 / 행장(行狀) : 김수항(金壽恒, 1629~1689)본관은 전라도 장흥부(長興府)이다. 증조는 휘(諱) 운(雲)으로,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형조 좌랑(刑曹佐郞)을 지냈으며, 예조 참의(禮曹參議)에 추증되었다. 할아버지는 휘 맹영(孟英)으로, 문과에 급
영남과 호남의 인물들, 도협총설 104조항 〔陶峽叢說 一百四則〕 -도곡집
도협총설 104조항 〔陶峽叢說 一百四則〕 -도곡집 제28권 / 잡저(雜著) : 이의현(李宜顯, 1669~1745)102. 조선조에서는 양남(兩南) 지방의 인물이 가장 현달하였으니, 경주(慶州)에는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이고, 안동(安東)에는 충정공(忠定公) 권벌(權橃)과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과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과
정기록 正氣錄
저작자 고유후(高由厚)  발표시기 1599년(선조 32)   발행 고용후  조선시대 문신·의병장 고경명과 맏아들 종후·둘째아들 인후의 충절 정신과 그 사실을 기록 1599년에 간행한 실기. 충절기록이다. 1책. 목판본. 책의 이름을 ‘정기록’이라 한 것은 중국 송나라의 충신 문천상(文天祥)의 「정기가(正氣歌
"아들은 호남(湖南) 사람에게 장가보내고, 딸은 영남(嶺南) 사람에게 시집보내라"
선비 숙부인 고씨의 세계와 행적〔先妣淑夫人高氏世系行蹟〕 - 목재집 제8권 / 행장(行狀) : 목재(木齋) 홍여하(洪汝河)선비(先妣)의 성은 고씨(高氏)로 그 선대는 제주(濟州) 고씨에서 나왔다. 고려 말에 이르러 장택(長澤)을 관향으로 하사받았기 때문에 장흥(長興) 고씨가 되었는데, 지금의 광산(光山) 고씨이다. 나라
외증조 《제봉집》 뒤에 공경히 쓰다〔敬題外曾祖霽峯集後〕- 목재집 제1권
외증조 《제봉집》 뒤에 공경히 쓰다〔敬題外曾祖霽峯集後〕- 목재집 제1권 / 시(詩) : 목재(木齋) 홍여하(洪汝河) 건곤 같은 큰 절개 북두처럼 우러르는데 / 大節乾坤仰斗杓다시 시권으로 소 허리를 땀나게 하였네 / 更將詩卷汗牛腰묘함은 육마가 여지없이 밟는 데 이르고 / 妙臻六馬蹄餘地장엄함은 삼군이 기세를 모을
고씨 출신 중범이 의거에 나아감을 보내며〔送高出身仲範赴義〕 - 노사집 제2권
고씨 출신 중범이 의거에 나아감을 보내며〔送高出身仲範赴義〕 - 노사집 제2권 :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1798~1879) 신경을 어찌 봉천과 같은 때라 할까마는 / 神京豈曰奉天時근기에서 어쩌다 출새시 듣게 되었나 / 近甸那聞出塞詩칼 짚고 그대 감에 늙은 간담 격동시키니 / 杖劒君行激老膽제봉에게 후손 있음을 믿을
박광옥ㆍ김덕령의 사우에 사액하는 데 대한 의〔朴光玉金德齡祠宇賜額議〕 - 노봉집 제5권
박광옥ㆍ김덕령의 사우에 사액하는 데 대한 의〔朴光玉金德齡祠宇賜額議〕 - 노봉집 제5권 : 노봉 민정중(1628~1692)김덕령(金德齡)이 화를 입은 지 이미 거의 백 년이나 되었지만, 지금도 그의 풍도(風度)를 들은 사람들은 비록 아녀자와 어린아이들일지라도 모두 원통하게 여기니, 단지 호남 지역의 인사들만 감개할 뿐만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