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681
게시물 검색 폼
  • 이복남 李福男 선조 29년(1596) 3월 7일∼선조 30년(1597) 2월
    이복남 李福男 선조 29년(1596) 3월 7일∼선조 30년(1597) 2월이복남(1555∼1597)의 본관은 우계(⽻溪)이며, 자는 수보(綏甫)이다. 조선의 개국공신 이의(李嶷)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흥덕현감 이준헌(李遵憲)이다. 1588년 식년시 무과에 급제하였는데 동생 이덕남(李德男)과 이인남(李仁男)도 문과 급제자이다. 1592년에 나주 판관이 되었고, 1593년 전라방어사, 충청조방장, 1594년에 남원부사, 전라도병마절도사를 역임했다. 1596년 3월에 나주목사로 부임하였다가 1597년 2월에 전라도병마절도사가 되었고, 정유재란 때 전라도 남원을 수비하였다. 그해 8월에 일본군이 남원을 포위 하자 조방장 김경로(⾦敬⽼), 산성별장 신호(申浩) 등과 남원성 안에서 분전하다가 9월에 순절하였다. 남원성 전투에서의 공을 인정받아 좌찬성에 추증되었고, 1612년에 남원 충렬사(忠烈祠)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금성읍지』에는 “병신(1596년) 4월 6일 도임하였고, 정유(1597년) 2월에 본도 병사(兵使)로 승진하였다. 인위청덕비를 본주에 세웠다.”라는 기록이 있는데, 청덕비는 소재가 확인되지 않는다. 허균(許筠)의 『성소 부부고(惺所覆瓿藁)』에 그를 추모하는「고전라도병마절도사증병조판서이공뢰(故全羅道兵⾺ 節度使贈兵曹判書李公誄)」가 수록되어 있고, 이서우(李瑞⾬)의 『송파집(松坡集)』에도 그를 추모하는「고전라병사이공익장(故全羅兵使李公謚狀)」이 수록되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7 | NO.216
  • 이사관 李思觀 영조 40년(1764) 5월 9일∼영조 41년(1765) 6월 3일
    이사관 李思觀 영조 40년(1764) 5월 9일∼영조 41년(1765) 6월 3일이사관(1705∼1776)의 본관은 한산(韓⼭)이며, 자는 숙빈(叔賓), 호는 장음(⾧陰)이다. 친아버지는 종성부사 이기성(李基聖)이고 이기한(李基漢)에게 입양되었다. 1729년 진사 시를 거쳐 1737년 별시 문과에 을과 1위로 급제하였다. 1737년 주서, 1739년 율봉찰 방, 1741년 휘릉별검, 1746년 병조정랑, 1747년 무장현감, 1752년 지평, 1753년 회양부사, 1757년 의주부윤, 1760년 황주목사, 1763년 충청도관찰사, 1764년 도승지를 지냈다. 1764년 5월 9일 나주목사로 부임하였다. 1765년(영조 41) 5월 24일 예방승 지와 함께 입시하였을 때 임금이 보리농사 형편을 묻자 “농사 형편은 비가 꽤 고르게 내렸지만 모맥(牟⿆)에 비가 내려 해변의 백성들이 흉작을 면치 못하였다.”고 한 기록이 있다. 1765년 6월 3일 도총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1766년 병조판서, 1767년 호조 판서, 1768년 형조판서, 1772년 우의정에 올랐고 이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무고를 받아 파직당했다가 다시 판중추원사·우의정에 복직한 뒤 1774년 기로소에 들어갔다. 『금성읍지』에는 “갑신(1764년) 5월 9일 부임하였고 을유(1765년) 6월 3일 부총관으로 자리를 옮겼다.”고 기록되었다. 『영조실록』 그의 졸기에 기록되길, 그가 죽자 영조가 친히 제문(製⽂)을 지어 승지(承旨)를 보내어 치제(致祭)하게 하였다고 한다. 시호는 효정(孝靖)이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1-05 | NO.215
  • 이서중 李敍中 영조 42년(1766) 7월 13일∼영조 44년(1768) 7월
    이서중 李敍中 영조 42년(1766) 7월 13일∼영조 44년(1768) 7월이서중(1716∼?)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자이(⼦彛)이다. 아버지는 통훈대부 지제교를 지낸 이현망(李顯望)이다. 1741년 식년시 생원에 합격하여 1752년 의금부도사, 1756년 음죽현감, 1761년 중부도사, 1765년 순흥부사를 지냈다. 1766년 6월 5일 나주목사로 제수되어 7월 13일 부임하였다. 1771년 인의, 1772년 선공부정, 1773년 성주목사, 1777년 사직령, 1784년 호남낭청을 역임하였다. 『금성읍지』에는 “병술 (1766년) 7월 13일 부임하였고 무자(1768년) 7월에 폄하 체직되었다.”고 기록되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1-05 | NO.214
  • 이선제(李先齊)
    이선제(李先齊,1390~1453)의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가보(家⽗)이며 호는 필문(蓽門)이다. 남구 이장동에서 태어났다. 이기(李奇)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밀직제학 이홍길(李弘吉)이고, 아버지는 중직대부(中直大夫) 사복경(司僕卿), 장흥도호부사를 지낸 이일영(李⽇英)이다.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양촌 권근(陽村 權近, 1352~1409)의 문하에서 수업하였다. 1411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419년 문과에 급제하는 등 관직에 30년동안 몸담았다고 한다. 강원도관찰사(江原道觀察使)와 예문관(藝文館)제학(提學) 등을 지냈다. 《태종실록(太宗實錄)》과 1423년 정도전의 《고려사(高麗史)》의 개수 편찬에 4번이나 사관으로 참여하였다. 이때 정도전(鄭道傳) 등이 앞서 편찬한 『고려사』가 이색(李穡)·이인복(李仁復)이 지은 『금경록(金鏡錄)』을 참고하는 바람에 사실(史實)과 다른 점이 많다고 지적하며 그 실상을 직서(直敍)하도록 하였다.고향에 돌아와 후진 양성과 함께 향약(鄕約)을 시행하여 향촌풍속을 순화하였다. 각종 경찬소문(慶讚疏文)을 짓기도 했다. 필문의 저술은 매우 많았으나 기축옥사로 소실되어 남아서 전하는 것이 없고, 후대에 만들 어진 수암지와 왕조실록 자료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필문의 5대손인 이발(李潑1544-1589)과 이길(李 1547-1589) 형제가 정여립 모반 사건이라고 불리는 기축옥사에 관련되면서 필문 가문은 멸문(滅門)의 화를 당하게 되었다. 세종12년(1430) 광주 사람 노흥준이 목사 신보안을 구타한 사건이 일어나, 당시 광주는 무진군(茂珍郡)으로 강등되어 있었다. 필문은 문종 원년(1451) 광주의 원로들과 함께 임금에게 상소하여 무진군이던 광주를 다시 광주목으로 복귀시킨 인물이다. 광주에 필문대로(篳門大路)라는 도로명이 있다. 필문 이선제를 기리기 위한 도로명으로 1988년 광주광역시에 의해 지정되었다. 북구 풍향동 서방사거리와 동구 학동 남광주 교차로를 잇는 광주광역시의 도로이다. 이 도로와 죽봉대로, 서암대로, 대남대로 4개 도로를 합쳐 제1순환로라 지칭한다. *수정 2023.11.21.
    2020-03-09 | NO.213
  • 이세익 李世翊 숙종 14년(1688) 9월 18일∼숙종 15년(1689) 3월 24일
    이세익 李世翊 숙종 14년(1688) 9월 18일∼숙종 15년(1689) 3월 24일이세익(1626∼1705)의 본관은 부평(富平)이며, 자는 숙필(叔弼), 호는 철애(鐵厓)이다. 증조할아버지 이계록(李繼祿), 할아버지 이덕일(李德⼀), 아버지 이홍재(李弘載)까지 4대가 문과 급제자이다. 1650년에 증광시 문과 병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에 나아갔으며, 기사관을 겸하여 『인조실록』을 편찬하는 데에 참여하였다. 1651년 수궁가주서, 1652년 부정자, 1653년 형조좌랑, 1654년 삼도해운판관, 1656년 병조좌랑, 1662년 지평, 1663년 영암군수, 1667년 서장관, 1673년 승지·병조참지, 1674년 형조참의, 1675년 능주목사, 1681년 황해도관찰사·승지, 1688년 7월 28일 나주목사로 제수되어 9월 18 일 도임하였다. 『숙종실록』 1689년 3월 12일 기록에 “나주목사 이세익이 고을의 선비 들이 분당(分黨)하는 데 분노하여, 한 편만 편벽되게 비호하고 옥에 가두어 형신(刑訊) 하다가 5인이 죽어 나문(拿問) 정죄”하라는 대사간 권해와 헌납 이현조의 논박을 윤허 했다는 내용이 있다. 1694년 지평, 1705년에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다. 『금성읍지』에는 “무진(1688년) 9월 18일 도임하였고 기사(1689년) 3월 24일 파직되어 잡혀갔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22 | NO.212
  • 이세화 李世華 숙종 5년(1679) 8월 16일∼숙종 5년(1679) 11월 29일
    이세화 李世華 숙종 5년(1679) 8월 16일∼숙종 5년(1679) 11월 29일이세화(1630∼1701)는 1685년(숙종 11) 전주부윤 겸 전라감사를 역임하였다. 1679년 6월 23일 나주목사에 제수되어 8월 16일 도임하였다. 1694년 호조판서를 역임하였는 데, 이시백, 김상진 등과 함께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금성읍지』에는 “기미(1679년) 8 월 16일 도임하였고 동년 11월 29일 황해도관찰사로 이동 이임하였다.”라 되어 있다. *상세이력은 전라감사편 참조.*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22 | NO.211
  • 이세환
    이세환(李世環), 湖節3上-013-1, 光州, 壬辰, 權慄參佐-《호남절의록》(1799)
    2020-04-02 | NO.210
  • 이수 李䇕 태종 18년(1418) 4월 6일∼세종 1년(1419) 2월 7일
    이수 李䇕 태종 18년(1418) 4월 6일∼세종 1년(1419) 2월 7일이수(?∼?)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아버지는 정당문학을 지내고 계림부원군에 봉해진 이달충(李達衷), 아들은 정난공신 가선대부 중추원부사를 지낸 계림군 이흥상(李興商)이 다. 1393년 사헌중승(司憲中丞) 때 현빈 유씨의 일에 관련되어 고향으로 귀양을 가게 되고, 1398년 사첩(謝貼)을 빼앗기고 전민(⽥民)은 관청에 소속 당하는 일이 있었다. 『금성일기』 「무술년 1418년」의 기록에는 “목사 통정대부 이수가 4월에 도임하였다가, 기해(1419년) 12월 7일 강릉판관으로 이임하였다.”고 되어 있으며, 『금성읍지』에는 “무술(1418년) 4월 6일 도임, 기해(1419년) 12월 7일 판강릉(判江陵)으로 옮겨 갔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209
  • 이수생 李壽⽣ 성종 2년(1471) 12월 28일∼성종 4년(1473) 12월 12일
    이수생 李壽⽣ 성종 2년(1471) 12월 28일∼성종 4년(1473) 12월 12일이수생(?∼1487)의 본관은 흥양(興陽), 자는 일당(逸當), 호는 청심(淸⼼)이다. 양경공(良 景公) 이언(李堰)의 아들이다. 1459년(기묘)에 등과하여 의주현감, 사헌부 집의, 선공감 정을 거쳐 1471년에 나주목사를 역임한다. 이후 창원부사, 진주목사, 대구도호부사, 제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금성일기』 「신축년 1471년」 기록에 “신임 목사 통정대부 이수생이 11월 28일 도임하였다.”라 되어 있으며, 「계사년 1473년」 기록에 “전 목사 통정대부 이수생이 12월 12일 모친상을 당해 선산으로 돌아갔다.”라 되어 있다. 『금성 읍지』에는 “신축(1471년) 11월 28일에 도임하였고, 계사(1473년) 12월 12일에 모친 상을 당하여 선산으로 돌아갔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5 | NO.208
  • 이승주(李承洲)
    광주(光州) 출신. 당세의 고사(高士)였다. 효우(孝友)와 신의에 입지(立志)하여 실천궁행(實踐窮行)치 아니함이 없었다. 고종 때에 효행으로써 교관(敎官)에 배(拜)하고 정려(旌閭)를 세웠다고 한다.단 고종실록에는 기록이 없다.
    2020-03-09 | NO.207
  • 이시방 李時昉 인조 13년(1635) 6월 6일∼인조 14년(1636) 3월 29일
    이시방 李時昉 인조 13년(1635) 6월 6일∼인조 14년(1636) 3월 29일이시방(1594∼1660)은 1436년(인조 14) 전라감사를 역임하였다. 1624년 광주(光州)목 사, 1627년 정묘호란 때에는 순검사, 1628년 광주목사 겸 남한산성방어사를 지냈으 며, 인목대비가 죽자 국장도감과 산릉도감의 제조가 되었다. 1635년 6월 나주목사로 부임하였다가 1636년 3월에 전라감사로 임명되었다. 『금성읍지』에는 “을해(1635년) 6 월 6일 도임하여 인신(印信)을 새롭게 만들어 10월 25일부터 사용하였으며, 중전(인목 대비)가 승하하자 진향관(進⾹官)으로 1636년 3월 3일 상경하였으며, 동년 3월 29일 전라도관찰사에 제수되었다.”라는 기록이 있다. 『승정원일기』 기록에는 이시방이 전라 감사(全羅監司) 직으로 입시하여 목면(⽊綿)의 척수(尺數)를 법전에 의거하여 35척으로 시행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내용이 나온다. *상세이력은 전라감사편 참조.*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7 | NO.206
  • 이시중 李時中 영조 31년(1755) 3월 16일∼영조 32년(1756) 5월
    이시중 李時中 영조 31년(1755) 3월 16일∼영조 32년(1756) 5월이시중(1707∼1777)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의백(宜⽩)이다. 할아버지는 영의정 이유(李濡)이고, 아버지는 현감 이현응(李顯應)이며, 어머니는 홍중기(洪重箕)의 딸이다. 1775년 3월부터 1776년 7월까지 나주목사로 재임한 이명중(李明中)이 동생이다. 1741년 식년시 생원에 합격하여 1742년 금부도사, 1743년 군자봉사·사옹직장, 1744 년 공조좌랑, 1745년 순안현령, 1751년 형조좌랑·평양서윤, 1753년 홍산현감, 1754 년 신천군수를 거쳤다. 1755년 2월 22일 나주목사로 제수되어 3월 6일 하직하고 3월 16일 부임했다. 1755년 8월 19일 기록에 호조의 세곡을 치패(致敗) 시킨 일로 심리를 받고 있다는 내용이 있다. 1757년 상주목사, 1761년 공조정랑, 1762년 여주목사, 1765년 돈녕도정 등을 역임하였다.『금성읍지』에는 “을해(1755년) 3월 16일 도임하였고 병자(1756년) 5월에 아버지의 병환으로 체직 하였다.”고 기록되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29 | NO.205
  • 이심기(李審幾)
    이심기(李審幾, 1521~1544) 광주(光州) 출신으로 본관은 전의이며 자는 극중(克中)이다. 증조는 이연(李涓), 조부는 이신의(李愼意) 부친은 이발(李潑)이다.  어머니는 오암(吳巖)의 딸 나주오씨(羅州吳氏), 부인은 설전(薛巓)의 딸 순창설씨(淳昌薛氏)이다.증조 이연은 1457년(세조 03) 8월 계공랑(啓功郞)으로 좌익 원종 공신(佐翼原從功臣) 3등에 녹훈(錄勳)되었고 1467년(세조 13) 3월 통덕랑(通德郞) 연산현감(連山縣監)으로 재직하였다.이심기는 1537년 사마시에 입격하였고, 1543년(중종 38)에 문과 병과 9위에 합격하여 역관(歷官)과 정자(正字)의 직을 맡았다.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1482~1519)의 문인(門人)이다. 급제 후 관직은 정자(正字)[조선시대 홍문관·승문원·교서관(뒤에 규장각에 소속)의 정9품 관직]이다. 천성이 효심이 지극하여 3년 거상(居喪)을 착실히 하였다. 암행어사에 추천을 받았으나  훼방을 받자 벼슬을 버리고 독서하다가 일찍 세상을 떠났다.
    2020-03-09 | NO.204
  • 이안현(李安鉉)
    광주인(光州人). 본관은  경주 (慶州)이다. 아버지는 이희광(李熙廣), 할아버지는 부사府使를 지낸 음애(陰崖) 이은(李誾)이다. 성품이 강개(慷慨)하고 절행(節行)이 있었다.《호남절의록》(1799) 에 따르면 임진왜란 때 영광에서 기효증奇孝曾과 함께 군량을 모아 광주(光州)의 의소(義所)로 보내고 동지(同志)들과 더불어 성(城)을 지켰다. 아들 율(瑮)은 병자년에 거가(車駕)를 호종(扈從)하였다.
    2020-03-09 | NO.203
  • 이양몽 李養蒙 세종 2년(1420) 12월 28일∼세종 5년(1423) 7월
    이양몽 李養蒙 세종 2년(1420) 12월 28일∼세종 5년(1423) 7월이양몽(?∼?)의 본관은 광주(廣州)로 암탄공파(巌灘公派)의 파조이다. 형 석탄공 이양중 (李養中)과 함께 어린 시절부터 이방원(태종)과 형제의 의를 맺었으나, 고려의 충신으로 역모에 가담할 수 없다 하고 두문동에 은거하였다고 한다. 『태종실록』 1410년 1월 28 일 기록에 벼슬을 사양한 내용이 나오고, 1416년 10월 10일 예조참의, 1419년 12월 7일 호조참의 제수 기록이 있다. 『금성일기』 「경자년 1420년」의 기록에도 “판목사 이양몽이 12월에 나주에 왔다가, 계묘(1423년) 7월에 우군동지총제로 은퇴하였다.”는 내용이 있고, 『금성읍지』에는 “경자(1420년) 12월 28일 도임, 계묘(1423년) 7월 우군동 지총제(右軍同知總制)로 승진하였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202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