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681건
-
- 김희순(金禧淳)
- 김희순(1827~?)의 본관은 김해이고 자는 명집(明集), 호는 묵재(默齋)이다.부 : 金尙烈조 : 金海中증조 : 金賁載외조 : 梁錫源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다.
- 2020-02-26 | NO.501
-
- 나도규(羅燾圭)
- 나도규羅燾圭(1826~1885)의 본관은 나주이다. 자는 경문(敬文)이고 호는 덕암(德巖)이다. 당시 계촌면에 살았는데 오늘날 남구 석정동에 해당한다.부 : 羅禧集조 : 羅錫曾증조 : 羅弼殷처부1 : 李鉉臨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고 1880년 노사선생 襄禮 때 참석하였다.1880년 3월 25일에 奇陽衍에게 편지를 보냈다. 1883년 1월 13일에 광주 石亭에서 羅燾圭가 柏石軒 奇陽衍에게 편지를 보냈다.남덕정覽德亭을 경영했다.『덕암만록德巖漫錄』이 있다.덕암사상연구회에서 『덕암 나도규의 학문과 사상』(심미안, 2013)이라는 책을 안동교.박명희.김봉곤.김덕진.권수용 등이 펴냈다.
- 2020-02-26 | NO.500
-
- 남병선 南秉善 철종 4년(1853) 2월 15일∼철종 4년(1853) 11월 26일
- 남병선 南秉善 철종 4년(1853) 2월 15일∼철종 4년(1853) 11월 26일남병선(1808∼?)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원선(元善)이다. 이후 남상선(南相善)으로 개명하였다. 아버지는 봉사 남태순(南太淳), 아들은 공조판서 남일우(南⼀祐)이다. 1831년 식년시 진사에 합격하여 1836년 남부도사, 1839년 내섬봉사, 1840년 광흥봉 사, 1842년 광흥주부, 1843년 홍천현감, 1848년 금성현령·덕천군수, 1852년 선산부 사를 지냈다. 1853년 1월 15일 나주목사에 제수되어 2월 15일 부임하였다. 1853년 11월 14일 전세(⽥稅)와 대동(⼤同) 조운을 늦게 출발하여 얼어버려 나주목사 등을 나처하라는 비변사의 계에 따라 전교가 내렸다. 1856년 지조별제(紙造別提)·장악첨정, 1857년 순창군수, 1860년 재령군수·수원판관·해주판관 등을 역임하였다. 『금성읍지』에는 “계축(1853년) 2월 15일에 부임하였고 계축(1853년) 11월 26일에 세곡 조운선이 얼음에 갇힌 일로 파직을 당한다.”고 기록되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1-08 | NO.499
-
- 남언창 南彦昌 숙종 30년(1704) 5월 2일∼숙종 30년(1704) 8월 20일
- 남언창 南彦昌 숙종 30년(1704) 5월 2일∼숙종 30년(1704) 8월 20일남언창(1644∼ ?)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응숙(應叔)이다. 아버지는 통훈대부행 병조정랑 남명익(南溟翼)이다. 1675년 증광시 진사에 합격하고, 1681년 알성시 병과에 급제하였다. 1682년 가주서, 1684년 승문원 부정자·봉상시 직장, 1685년 예조좌 랑·고창현감, 1689년 병조좌랑·병조정랑·신창현감을 역임했다. 1692년 충청도사, 1696년 영암군수를 거쳐 1701년 경성판관이 됐다. 1704년 3월 8일 나주목사로 제수 되어 5월 2일 부임, 1705년 부사과·안악군수를 역임하였다. 『금성읍지』에는 “갑신 (1704년) 5월 2일 도임하였고 동년 8월 15일에 경기전 추석 제물을 보내는 것을 감독하지 않았다 하여 장계에 의하여 파직되었다.”고 기록되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22 | NO.498
-
- 남유 南瑜 선조 31년(1598) 8월 3일∼선조 31년(1598) 11월
- 남유 南瑜 선조 31년(1598) 8월 3일∼선조 31년(1598) 11월남유(1552∼1598)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공근(公瑾)이다. 아버지는 참의 남응 룡(南應⿓)이다. 1579년 무과에 급제한 뒤 부평현감이 되었다. 1598년 정유재란 중 나주목사로 있으면서 노량해전에 참전하였다가 적의 탄환을 맞고 순절하였다. 아들 남이 흥(南以興)도 무과에 급제하였고 정묘호란 때 전사하였다. 뒤에 좌의정에 추증되고,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에 훈록되었다. 숙종 때 정문(旌⾨)이 세워졌다. 『금성읍지』에는 “무술(1598년) 8월 3일 도임하였고 동년 11월에 노량해전 대첩에서 돌아오다 왜구의 조총에 맞아 죽었다. 참판을 증하였다. 숙종 때 공의 6대손 정주(正周)가 봉명사로 이곳에 머물면서 삼가 글을 지었는데, 때는 정유년(1717년. 숙종 43) 4월 15일이다.” 라고 되어 있어 이때에 정문이 세워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아들 남이흥과 함께 충남 당진 충장사(忠壯祠)에 배향되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17 | NO.497
-
- 남이공 南以恭 인조 1년(1623) 4월 21일∼인조 1년(1623) 윤10월 1일
- 남이공 南以恭 인조 1년(1623) 4월 21일∼인조 1년(1623) 윤10월 1일남이공(1565∼1640)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초명은 남이경(南以敬), 자는 자안(⼦安), 호는 설사(雪蓑)이다. 아버지는 남호(南琥)이며, 참판 남이신(南以信)의 동생이다. 1590년 증광시 문과에 장원급제한 뒤 1593년 세자시강원 사서, 지제교, 1594년 평안도 독운어사, 1595년 사헌부 지평, 1596년 사간원 정언, 헌납, 홍문관 부교리 겸 세자시강원 문학, 홍문관 교리 등을 역임했다. 1597년 사헌부 지평·도체찰사 종사관·성균관 전적, 1598년 이조좌랑, 1599년 이조정랑·홍문관 응교, 1608년 동부승지·형조참의, 1609년 대사간·이조참의·예조참의·홍문관부제학, 1613년 호조참판·도승지·예조참판, 1614년 병조참판을 역임하였다. 1615년 이원익과 더불어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해 평산, 해주 등에서 유배생활을 하다가 1621년 풀려나 1623년 4월 21일 나주목사로 임명받았다. 1625년 대사성·대사간·대사헌·함경도관찰사, 1628년 병조참판, 1629년 대사헌, 1637년 도승지, 1638년 이조판서, 1639년 대사헌·공조판서를 거쳤다. 저서로 『설사집』이 있다. 『금성읍지』에는 “계해(1623년) 5월 25일 도임하였고, 체직일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라고 되어 있지만 다음 목사가 1624년 2월에 부임하는 것으로 보아 1623년 연말까지 근무한 것으로 보인다. 나주목사 재임 시 객관 금성관 동쪽에 수련 당(睡蓮堂)을 건립하였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17 | NO.496
-
- 남익훈 南益熏 숙종 10년(1684) 3월 10일∼숙종 11년(1685) 7월 9일
- 남익훈 南益熏 숙종 10년(1684) 3월 10일∼숙종 11년(1685) 7월 9일남익훈(1640∼1693)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훈중(熏中), 호는 파은(坡隱)이다. 아버지는 관찰사 남훤(南翧)이며, 어머니는 권현(權俔)의 딸이다. 증조할아버지 남이신 (南以信), 할아버지 남두첨(南⽃瞻), 동생 남치훈(南致熏)과 남지훈(南⾄熏)도 모두 문과 급제자이다. 1660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672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673 년 설서, 1674년 검열, 1675년 정언, 1675년 부수찬, 1677년 수찬, 1678년 교리, 1680년 이조좌랑, 1681년 동래부사, 1683년 우부승지, 1684년 2월 5일 나주목사에 제수되어 3월 10일 도임하였다. 이후 1686년 판결사, 1687년 형조참의, 1688년 장단부사, 1689년 부총관, 1689년 양주목사, 1692년 동의금부사·경상도관찰사·함경도관 찰사 재직 중 1693년 6월에 사망하였다. 『금성읍지』에는 “갑자(1684년) 3월 10일 도임하였고 을축(1685년) 7월 9일 사직하였다.”라 하였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22 | NO.495
-
- 노경린 盧慶麟 명종 8년(1553) 1월 21일∼명종 8년(1553) 6월
- 노경린 盧慶麟 명종 8년(1553) 1월 21일∼명종 8년(1553) 6월노경린(1516∼1568)의 본관은 곡산(⾕⼭)이며, 자는 인보(仁甫), 호는 사인당(四印堂)이 다. 아버지는 사과(司果)를 지낸 노적(盧績)이며, 율곡 이이(李珥)의 장인이다. 1539년 별시 병과에 1위로 합격하였다. 성균관 학유와 박사를 거쳐 공조·예조·호조·형조의 낭관(郞官)을 역임하였다. 이어 평안도, 황해도 도사를 역임하고 1550년 사헌부 지평, 장악원 첨정, 종부시 첨정을 지냈다. 1553년(명종 8) 1월 나주목사로 부임하였다. 5월 14일 양계(兩界)의 관비(官婢)를 솔축(率畜)하였다 하여 파직 추고하도록 사헌부에서 탄핵하였다. 이후 상주목사를 거쳐 종부시정과 숙천부사를 역임하였는데, 1566년에 삭탈 관직되어 고향 해주로 낙향하였다. 『금성읍지』에는 “춘추편수관을 겸하여 계축(1553 년) 1월 21일에 도임하였고, 양계의 관비를 첩으로 들이는 것이 적발되어 동년 6월에 파직 당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시호는 문정(⽂靖)이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15 | NO.494
-
- 노문규(盧汶奎)
- 노문규(1850~1935)는 본관이 광산으로 자는 응삼(應三), 호는 송해(松海)이다. 1850년 7월 29일 당시 본촌면 일곡리에서 살았다. 오늘날 북구 일곡동이다.문장과 도덕을 갖추었으며, 편지로 간재(艮齋) 전우(田愚)와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 등과 교유하였다. 향교에서 유사를 맡은 여러 해 동안에는 읍강을 진흥하고, 향약을 만들어서 관찰부주사에 올랐다. 시사가 날로 그른 것을 보고 진취하는데 뜻을 끊고 사직하려하니 도백이 만류하였고, 영암군수를 맡기려하니 기어이 하직하였다. 풍질(風疾)로 1935년 5월 6일에 수북 삼각산에 장사했다.『송해유집』은 4권 1책의 석인본으로 되어 있다. 1권에는 시 70여 수, 「복록수부(福祿壽賦)」ㆍ「승평성세부(昇平聖世賦)」ㆍ「성학군덕부(聖學君德賦)」와 「공부자찬(孔夫子贊)」이 있으며, 2권에는 잡저(雜著)로 마지막에 「금융상황(金融狀況)」을 기록하였으며, 3권은 제문(祭文)ㆍ행장, 4권은 부록ㆍ부편(附編)이 들어있다. 일곡동 입구 북구 일곡로41번길 26에 송해당이라는 정자가 있다.1960년 국역으로 간행되었으며, 시의 원문은 한문으로, 번역은 한글로 기록되어 있다. 서문은 1960년 고연주(高淵柱), 행장은 1938년 이범석(李範錫), 묘표는 이병관(李炳觀)이 썼다. 卷1詩 : 溫井, 悼閔忠貞, 松汀詩會, 其二, 漢陽南山詩會, 謹題日新齋, 春夜與友敍懷, 完山秋夜與田艮齋(愚)諸友吟, 附田艮齋和吟, 續吟, 又吟, 又吟, 附金秋河和吟, 春雨, 燈, 筆, 龍興寺譜所敍懷, 續吟, 又吟, 書室偶吟, 書室對諸生吟, 草溪說濂堂小會, 和蓮塘贈別詩, 與沈承旨(九澤)李都事(奭)會話, 日新齋諸生席上與鄭江山(在舜)吟, 其二, 其三, 其四, 瑞南齋淸夜敍懷, 其二, 貨玄上舍(基奉)?韻(二首), 和錦雲(鄭泰老)原韻, 次楊波亭(鄭?奉洛敎)原韻, 謹次願豊亭韻, 次鄭?奉(洛敎)?韻, 次房素澗原韻, 題儒館, 與諸益暢懷, 白鷺二首, 偶題, 謹次天山齋韻, 次昌平小山亭韻, 次樂圃堂?韻, 日新齋詩會, 次樵隱亭(李章燮)韻, 謹次慕龍臺韻, 次心汕(李周英)韻, 宿東萊梵魚寺, 其二, 觀海, 回甲韻, 附和韻, 隱居有感, 其二, 次洛雲(李龍喆)韻, 九老會, 松海堂原韻, 附次韻賦 : 福祿壽賦, 昇平聖世賦, 聖學君德賦贊 : 孔夫子贊卷2雜著 : 嶺南宗中通文, 代光州鄕校儒林答京城人道公議所通文, 光州鄕校西齋(及)碑閣重建事通文, 代全南儒林以湖南誌事通文, 代湖南誌發起儒林通文, ●道宗中通文, 本郡民會趣旨書, 謝却封金, 光南測量學校趣旨書, 同追書, 勸學論理, 儒道彰明會趣旨書, 儒道彰明論, 金融狀況卷3記 : 日新齋記, 節李先生旌閭重修記, 永慕齋記, 松海堂記, 附記序 : 盧氏族譜序, 爲親?序, 門規序, 松海序, 附書卷4附錄 : 輓章, 祭文, 家狀, 行狀, 墓表, 跋附編 : 贈童蒙敎官朝奉大夫慕窩公行狀, 慕窩公墓表, 慕窩公旌閭記, 卷後小記祭文 부 : 盧啓悅조 : 盧弼英증조 : 盧有光외조 : 務安 車廷燁처부1 : 光山 金揚采송사 기우만에게 수학하였다.1924년 담대헌(장성 고산서원)의 중건 때 20냥을 성금으로 내었다.
- 2020-02-26 | NO.493
-
- 노병운(盧炳云)
- 노병운(盧炳云, 1911~1951)의 본관은 광산, 극락면 월곡리에 살았다.부 : 盧尙永조 : 盧錫興증조 : 盧宗奎외조 : 朱光玉처부1 : 崔洛鎭1924년 담대헌의 중건시 5냥을 성금으로 내었다.
- 2020-08-08 | NO.492
-
- 노석용(盧錫容)
- 노석용(盧錫容, 1879~1954)의 본관은 광산, 자는 성행(性行), 호는 秉燭(齊)이다.부 : 盧澤奎조 : 盧景薰증조 : 盧弼仁외조 : 宋在淇처부1 : 鄭圭鎭송사 기우만에게 수학하였다.1935년 4월에 吳東洙 高光洙 등 33명과 함께 도내 유생에게 通文을 보냈다.
- 2020-08-08 | NO.491
-
- 노영국 盧永國 태종 2년(1402) 9월 10일∼?
- 노영국 盧永國 태종 2년(1402) 9월 10일∼?노영국(1363∼1419)의 본관은 광산(光⼭)이며 호는 동정(東井)이다. 아버지는 절효공 노준공(盧俊恭)이다. 월성부원군 김천서(⾦天瑞)의 딸이자 정종의 비인 정안왕후(定安王后) 의 여동생과 결혼하였다. 나주목사 이후 전라병사, 병조참판 등을 지냈다. 『금성일기』 「임오년 1402년」에 “판목사 노영국이 9월 10일 도임하였다.”고 기록되었으며,『금성읍 지』에는 “임오(1402년) 9월 10일 도임, 이임 일자 기록하지 못했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14 | NO.490
-
- 노재 배승무裵承武(1559~1593)
- 본관은 달성이며 호는 노재이다. 조선 1559(명종14년)년 동곡 수성동에서 태어났다. 율곡 이이의 문하생으로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승문원 정자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김덕령 장군과 함께 의거하여 영호남 각지에서 격전을 벌였으며 1593년 광주지역에서 복수장 고종후와 함께 다시 의병을 모집하여 진주성에 들어가 김천일과 함께 7일간 혈전을 치르다가 진주성이 함락되자 진주 남강에서 투신하여 순절하였다. 사후에는 승정원 좌승지에 추증되었으며 전라남도 기념물 제57호로 지정된 나주 무열사에 배현경을 주벽으로 배정지裵廷芝ㆍ배극렴裵克濂이 제향되어 있었는데 1868(고종5년)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헐려 그 자리에 유허비가 세워져 있었으나 1882(고종19년)년에 다시 복건하여 배운룡裵雲龍ㆍ배공서裵工瑞ㆍ배공보裵工甫ㆍ배승무裵承武ㆍ배세조裵世祚 등 5위를 추배하였다.배승무(裵承武), 湖節1下-173-4, 光州, 壬辰, 高從厚同殉-《호남절의록》(1799)
- 2020-04-02 | NO.489
-
- 노종룡(盧鍾龍)
- 노종룡(1856~1940)의 본관은 광산이고 자는 치운(致雲), 호는 소해(蘇海),농아(聾啞)이다. 당시 본촌면 일곡리에서 살았는데 오늘날 북구 일곡동이다. 최익현의 문인이다.부 : 盧在奎조 : 盧鎭權증조 : 盧弼元외조 : 鄭錫源처부1 : 金箕彩 1916년 송사 선생 襄禮 때 掌位로 참석하였다.1924년 담대헌의 중건시 220냥을 성금으로 내었다.1905년 11월 12일에 奇宇萬에게 편지를 보냈다.『蘇海遺稿』가 있다.노종용의 소해정(蘇海亭)이 오늘날 남아 있다.
- 2020-02-26 | NO.488
-
- 노준공(盧俊恭)
- 노준공(1340∼1397)은 광주 출신으로 그의 후손들이 일곡동 일곡마을에 자작일촌하고 있다. 호는 심계(心溪), 시호는 절효(節孝), 본관은 광주이다. 고려 말 밀직사를 지낸 사청(士淸)의 아들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영특하고 기개가 높아 학문에 열중하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광주에서 최초로 효자 인물로 《동국여지승람》에 등재되었다.어머니 병환에는 옆을 지키며 손수 약을 달여 드리고, 변(똥) 맛을 보아 병세를 가늠하여 병세가 위태로울때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흐르는 피를 어머니 입에 넣어 일시 소생하게 하는 등 극진한 효도에 주위 사람들의 감탄과 함께 그 누구도 따를 사람이 없었다. 특히 고려 우왕 때 상례 제도가 폐지되고 없어져 모두 백일 동안 복을 입고 벗는데, 그는 묘의 여막(廬幕)에서 3년을 지냈다고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다. 시묘 때 호랑이도 그의 효심에 감동하여 호위하며 따랐다고 전해지고 있다.조선을 창업한 이 태조가 그의 학문과 명성을 듣고 벼슬을 내리고 몇 차례 불렸으나 거절하고 무등산 계곡에서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광주읍지(1879)》, 《효행열지(1985)》, 《노씨위적사(1988)》
- 2020-04-01 | NO.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