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석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344건
-
- 호가정-곡란의석벽(曲欄依石壁)
-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 (본덕동)曲欄依石壁 곡란의석벽壁下水縈廻 벽하수영회怳雨登眞境 황우등진경兩三漁笛來 양삼어죽래구부러진 난간은 돌벽에 기대 섯고벽 아래는 물이 굽이쳐 돈다어렴풋 신선의 지경에 온 듯 하노니어부의 피리소리가 간간히 들려 온다-서하 김성원(棲霞 金成遠)의 시김성원의 부인이 류사 선생의 딸이다.
- 2021-04-12 | NO.14
-
- 호국무공수훈자전공비
- 광주시 남구 양림동 108-102002년사직공원에 있다. 2002년 11월 5일에 세운 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지난 1950년 6.25전쟁 때 조국을 지켰으며 이역만리 월남전에서 세계의 십자군으로 국위를 선양한 무공수훈자들의 충절은 민족의 역사와 더불어 영원히 빛날 것입니다. 이제 우리는 전쟁으로 점철된 20세기를 보내고 자유 평화와 민주의 시대인 새천년을 맞이하여 오늘 이 자리에 전공비를 세우는 것은 우리 광주지역 무공수훈자들의 공훈을 영원히 보전함으로써 우리의 후손들에게 나라사랑의 귀감이 되게 하고자 함이다.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 광주광역시지부뒷면에는 국내무공수훈자, 국외무공수훈자, 보국수훈자들이 명단이 새겨져 있다.
- 2018-06-21 | NO.13
-
- 호남순국열사지비(湖南殉國烈士之碑)
- 광주시 남구 포충로 767 포충사 內(원산동 947-4)호남순국열사지비(湖南殉國烈士之碑)앞면에는 호남순국열사지비(湖南殉國烈士之碑)라고 쓰여 있으며 뒷면에는 호남일대에서 한말 구국 의병 활동을 펼쳤던 녹천(鹿川) 고광순(高光洵 1848~1907), 성재(省齋) 기삼연(奇參衍 1851∼1908), 매천(梅泉) 황현(黃玹 1855∼1910), 행사(杏史) 양회일(梁會一1856~1908), 일광(一狂) 정시해(鄭時海 1872∼1906) 지강(芝江) 양한묵(梁漢默 1862~1919) 선생 등 살신성인한 의병장 22명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이 비석은 구 한말 일본의 침략에 맞서 싸운 분들의 것이다. 특히 이 비석은 항일의병들의 치적을 살피던 도중 전쟁이 터지자 급히 그 정신을 새기고 훗날을 기약하기 위한 것이라 한다.이처럼 포충사는 고경명 한분을 기리기 위한 공간이 아니라 시대를 초월해 나라를 위해 자신을 버린 분들을 만나는 곳이라 할 만하다.
- 2018-06-11 | NO.12
-
- 호정이덕재모선기적비
- 광주시 동구 운림길 57-12(운림동) 광산이씨추원재 앞에 호정이덕재모선기적비 湖亭李德在慕先紀績碑rk dlTek.
- 2018-11-28 | NO.11
-
- 홍란유-행군수 홍후란유 구폐선정비
- 광주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 (광주공원內)1908년친일인사로 분류된 행군수홍후난유구폐선정비(行郡守洪侯蘭裕捄弊善政碑)는 광주공원 비석군에 있다.이 비는 광주군수(光州郡守) 홍난유(洪蘭裕, 1856~1913)의 선정비로 1908년 건립되었다. 홍난유는 1905년 11월부터 전라남도관찰부 광주군수를 지냈으며, 1907년 6월 전라남도관찰사 서리를 겸했다. 그는 재임 중인 1906년에 전남 관찰사 심상익의 요청에 의해 광주 객사 동편 담장 안에 관세청을 설치하도록 했다(대한매일신보 1906년 12월 18일). 1907년에는 전남재판소 판사서리로서 광양 출신 백낙구를 징역 15년에 처하고 순창 출신 노성일을 태형 80에 처하였다.(대한매일신보 1907년 3월 2일).광주군수로 재직 중이던 1908년 의병진압을 목적으로 관내 각 면을 순회하면서 연설했고, 1909년 9월 일본군이 의병을 진압하기 위해 ‘남한대토벌작전’을 실시하자 관내 각 면을 순회하면서 관민들을 설득했다. 재임 중에 경찰과 함께 의병 소탕 작전을 펼쳤는데, 1909년에 巨峙⾯ 眞⾕에서 총을 휴대한 민중의 습격을 받은 사건을 겪었다(<독립운동사자료> 15). 1910년에 “광주에 있는 어떤 왜인이 제멋대로 무등산을 열 두 번이나 측량해 가 광주군수 홍난유가 백성들을 시켜 재판소에 호소하여 왜인의 무등산 측량을 금지시키도록 했다”는 내용이 <매천야록>에 전해지고 있다. 그의 선정비에는 무신년, 즉 1908년 3월에 선정비를 건립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의 선정비는 재임 중에 건립된 것이다.합병 후, 1910년 10월 전라남도 광주군수에 유임되었으며, 재직 중이던 1913년 1월 23일 사망했다. 1912년 8월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다.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어 친일인사로 기록되고 있다.
- 2018-06-11 | NO.10
-
- 홍중하목사선정비
- 광주시홍중하(洪重夏) 광주목사는 1701~1703에 재임했다. 그의 선정비가 철비로 건립되었다.
- 2018-11-09 | NO.9
-
- 화암사묘정비
- 광주 광산구 삼도가산안길 3-4 가산마을花巖祠廟庭碑는 진성 이원영 짓고 성주 이백순 쓰다.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 가산마을에 있으며 숭절당(崇節堂)이 있고, 입구에 화암사묘정비(崇節當花巖祠墓庭碑)가 세워져 있다
- 2018-12-02 | NO.8
-
- 환희의 불꽃
- 광주시 서구 화정동 407-17 광주월드컵경기장 광장2008년2002월드컵 개최도시임을 기념하고 이곳 월드컵경기장에서 우리나라 축구가 세계 4강 신화를 이룩한 성과를 길이 보전하기 위하여 월드컵 개최년도를 의미하는 2002cm 높이의 삼각형 모양의 입체물로서 김왕현 작가의 작품이다.우리 시민의 안정과 화합을 위로 높이 솟은 모양은 미래를 향해 죽순처럼 용솟음 치는 광주의 기상을 나타냈다.
- 2018-06-26 | NO.7
-
- 황하택 - 염향사
- 광주시 동구 선교동 71, 너릿재공원 유아숲체험장
- 2018-11-22 | NO.6
-
- 효자죽우당남평문공봉기기적비
- 광주시 북구 청풍동 산 66(청풍쉼터 내)1959년이 효자죽우당남평문공봉기기적비(孝子竹友堂南平文公鳳岐記績碑)는 崔秉心 짓고 金泰圭 쓰다. 문봉기의 행적을 기록했다.
- 2018-11-13 | NO.5
-
- 효천면장정공순환선적비
- 광주시 남구 진월동 500-1 1934년효천면장정공순환선적비는 효덕동주민센터 입구에 있다. 1934년 (소화 9년) 4월에 효천면 거주민 일동이 세웠다. 2007년 김경수 향토사학자의 글에 따르면 당시 염주동 주월경로당 최수흥(81)회장의 제보에 1891년 정순환 교지 문서가 있다고 했다. 정순환의 조부가 참봉을 했다고 전한다.
- 2018-10-26 | NO.4
-
- 후남윤공석주송덕비
- 광주시 남구 석적동 215-3이 후남윤공석주송덕비(後南尹公錫周頌德碑)는 남구 대촌동 석교마을에 있는 윤석주 송덕비로 李學庸이 찬했다.
- 2018-06-17 | NO.3
-
- 후송청송심종태공시비
- 광주시 광산구 동호동1997년後松靑松沈鍾泰公詩碑는 경주 김형욱 짓고 여산 송병대 쓰다. 아들 심신구가 세웠다.
- 2018-12-02 | NO.2
-
- 흥무왕 묘정비
- 광주시 북구 동문대로112번길 99(장렬사 내)1911년이 흥무왕묘정비(興武王廟庭碑)는 이석종(李錫鍾)이 글을 짓다.
- 2018-11-12 | NO.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