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344
게시물 검색 폼
  • 하은김공시혜실적비
    광주시 북구 매곡동 306(김용학 가옥내)1936년이 하은김공시혜실적비(荷隱金公施惠實績碑)는 高光璉 짓고 宋泰會 쓰다서방 극락 양면 소작인 일동 건립
    2018-11-12 | NO.29
  • 하은김공희수시혜비
    광주시 북구 매곡동 306(김용학 가옥내)1932년이 하은김공희수시혜비(荷隱金公喜洙施惠碑)는 장성 진원 양면 소작인 일동 건립하다.
    2018-11-12 | NO.28
  • 하은김공희수유혜비
    광주시 북구 매곡동 306(김용학 가옥내)1931년이 하은김공희수유혜비(荷隱金公喜洙遺惠碑)는 담양 수북 대전 양면 소작 일동 건립하다.
    2018-11-12 | NO.27
  • 학산사 묘정비
    광주시 서구 불암길 82-100(서창동)1592년 임진왜란 때 충남 금산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순절한 삽봉 김세근 장군의 업적을 새긴 비이다. 1974년(갑인년)에 유림 지도자인 안동 김윤동金潤東이 글을 지었다. 묘정비 내용은 극락강변 팔학산 아래에 건물을 짓고 창렬단이라 하였다. 고제봉, 유월파, 안청계, 고학봉 등과 함께 전북 금산의 와평전투에서 임진년 7월 10일 순절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958년 학산사가 건립되면서 창렬문으로 현판을 바꾸었다.
    2018-05-25 | NO.26
  • 한국전쟁 어린이 추모
    광주시 남구 양림동 210 충현원  '비운의 왕좌'라는 제목으로 세워진 '한국전쟁으로 희생된 500,000명의 어린이들을 추모함'이라는 글귀가 있다.추모비, 추모탑, 또는 기념물일 수도 있어 분류하기 곤란하다.
    2018-06-25 | NO.25
  • 함평이공휘종우유적비
    광주시 광산구 임곡등 방혜마을1997년湖學敎授 義禁府都事 蔚山兵馬節度使 咸平李公諱從愚遺蹟碑는 16세손 이상범이 짓고 전주 이재철 쓰다. 방혜마을앞 우산각 옆에 있다. 咸平李氏 雲峰公門中에서 건립했다.
    2018-12-02 | NO.24
  • 향림사창건비
    광주시 서구 마륵복개로150번길 221980년향림사 창건 기록이 들어있는 '향림사창건기념비'이다. 1980년에 세웠다.1967년 큰스님께서 해남 대둔사에 계실 때 일이었다. 하루는 잠을 자는데 꿈에 샘에서 물을 떠 마시다가 잠을 깨게 되었다. 그런데 그날 광주의 새로 지은 어느 절에서 법문요청이 있었다. 오로지 천운 스님만을 청하므로 그 절에 가서 며칠간 법문을 해주고 그때 돈으로 5,000원을 받게 되었다. 스님께서는 그 돈을 가지고 바로 옆 산자락에 터(치평동 251-3 산25, 251-6)를 잡았는데 그 터가 바로 꿈에서 샘물을 마시던 그곳, 지금의 향림사였다고 한다.백석산의 끝자락에서 불교의 향기를 수풀 가득 퍼트리고 있는 곳, 표현하는 그대로 향림사를 지칭하는 말이다. 옛이름 '보트장'이라 부르는 호수를 옆에 두고 도심공원으로 새롭게 단장을 한 조그마한 백석산, 그곳을 지날 때면 언제든지 향림사를 마주 대할 수 있다. 향림사는 1967년 천막시설로 첫 법답을 연 이래 1977년 8월 미륵불을 조성하고 창건비를 세웠다. 1978년 9월 불교회관 대웅전(지하1층) 조성, 1980년 2월 대웅전을 완공했고 대웅전과 불교회관 부처님을 조성한 데 이어 1996년 5월 5층 규모의 불교대학을 건립했다. 1990년 향림사 신용협동조합을 설립했으며 2009년 6월 길이 6.30m, 높이 1.80m 규모의 석불로 와불을 조성했다.
    2018-06-12 | NO.23
  • 현석 노길동공적비
    서구 서창동 서창농협 입구에 있다.파평인 윤종관이 찬하고 광주인 노빈이 글씨를 썼다. 용두수리계설립추진위원회 위원장 주하림 등 이 10명이 추진위원이며 찬조자는 30명으로 1995년 4월에 세웠다.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노길동은 충주노씨 절효공 휘 준공의 24세손으로 1927년 5월 9일 서창리 799번지에서 출생하여 지방공무원으로 27년간 근무하다 퇴직했다. 향리에서 거주하던 중 1983년 속칭 개물들 개인양수장의 농민착취를 물리치기 위해 경작인공동수리계를 주하림 위원장, 김덕수외 추진위원과 조직하여  자금을 한 푼도 없이  空拳으로 서창농협에서 거액을 대출받아 개인이 운영하는 양수장을 매입하여  용두수리계라는 이름으로 발족했다. 그러나 자금미수의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기 일처럼 고심하여 거액의 채무를 상환하고 건실한 수리계를 세운 공로를 후세에 길이 찬양하기 위해 이 비를 세웠다.
    2018-07-16 | NO.22
  • 현원한양조씨지비
    광주시 북구 일곡동 일곡마을1969년이 현원한양조씨지비(賢媛漢陽趙氏之碑)는 노문영이 찬했다.
    2018-12-01 | NO.21
  • 현충탑
     광주시 광산구 신촌동 산 99-1 송정공원 1977년 6월 6일현충탑은 광산구 출신으로 나라와 겨레를 위해 헌신한 영혼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됐다. 높이 11.5미터, 둘레 6미터이며 2개의 탑신으로 구성되었다.현충탑 옆 탑비명에는 "사랑하는 내 조국을 구하려고 져버린 넋들 그리운 고향 동산에 모두 모였네. 내가 겨레의 내일을 보살리기 위하여 여기 광산군민의 정성을 모아 현충탑을 세운다."고 했다.송정공원 내의 위패봉산소가 협소하여 광산구 보훈가족들의 동의를 얻어 2007년 9월 18일 송정공원내 봉안된 위패 542위를 광주공원 내 현충탑이 있는 봉안소로 이전하여 봉안하였다.
    2018-10-22 | NO.20
  • 현포거사안동김공휘기하추모비
    광주시 광산구 선동 하흑석마을1976년이 현포거사안동김공휘기하추모비(玄圃居士安東金公諱基夏追慕碑)는 안동김씨 문중에서 관리한다. 최병덕이 찬했다.
    2018-12-01 | NO.19
  • 호가정- 류사 선생 사적비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 (본덕동)
    2021-04-12 | NO.18
  • 호가정- 설강류사선생시비(下有九江上有天)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 (본덕동)下有九江上有天 하유구강상유천老夫無事倚風烟 노부무사의풍연奔忙往跡何心計 분망왕적하심계晩契堪憐岸鳥眠 만계감련안조면아래는 구강있고 위에는 하늘인데늙은이 일이 없어 풍연만 바라본다바빳던 지난 일을 어찌 생각하리요강 언덕 조는 새와 말년 벗을 맺었노라
    2021-04-12 | NO.17
  • 호가정- 설강류사선생시비(石枕松陰轉)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 (본덕동)石枕松陰轉 석침송음전風欄野色廻 풍란야색회寒江明月裏 한강명월이裝雪小舟來 장설소주래돌 벼개 소나무 그림자 아른거리고바람치는 난간에 들 빛이 둘러있네차가운 강물 밝은 달빛 속에눈빛 같은 작은 배가 온다
    2021-04-12 | NO.16
  • 호가정- 호가(浩歌)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 (본덕동)
    2021-04-12 | NO.15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