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43건)

척금당기〔滌襟堂記〕 - 동강유집 제10권
척금당기〔滌襟堂記〕 - 동강유집 제10권 : 동강(東江) 신익전(申翊全, 1605~1660)광주(光州) 치소 북쪽으로 5리 정도 되는 가까운 곳에 경양(景陽)이라는 역(驛)이 있다. 노령의 큰 길에 있어 북쪽으로는 진원(珍原)과 경계를 맞대고 있는데 서울로 길이 나 있다. 서쪽으로는 영암과 나주를 이웃하고 있고 남쪽으로는 병영(
화순 현감 홍 사군 명하 의 시에 차운하다 〔次和順洪使君〕 -동강유집 제6권
화순 현감 홍 사군 (명하) 의 시에 차운하다, 4수 〔次和順洪使君, 命夏○四首〕: 동강(東江) 신익전(申翊全, 1605~1660)몇 번이나 어가 모시고 궁중에 입직하였나 / 幾度鳴鑾直禁廬수령이 되어 실컷 신선 생활을 누리는구나 / 一麾贏得臥仙居머나먼 유람은 다시 시상을 제공할 것이니 / 遠游聊復供詩思오만한 관리가 어찌 문
武珍遺俗故凶奸 - 점필재집 시집 제21권
광주 사람이 그곳 판관 우윤공을 쏘아서 팔뚝을 맞혔는데, 윤공은 화순으로 달아났다[光州人射其判官禹允功中臂允功奔和順] - 점필재집 시집 제21권 : 김종직(金宗直, 1431~1492)무진의 남긴 풍속은 본디 흉하고 간악하여 / 武珍遺俗故凶奸어린아이가 능히 적백환을 더듬어 취했네 / 童子能探赤白丸태평시에도 분수를 범할
호남(湖南) 의병 -연려실기술 제17권
호남(湖南) 의병 -연려실기술 제17권의병장 고경명은 이미 죽었고, 김천일은 경기 좌의병(左義兵) 진중으로 갔다. 사자(士子)들이 흩어진 군사 8백 명을 모으고, 전 부사 화순(和順) 사람 최경회(崔慶會)를 추대하여 맹주로 삼았다. 7월 26일에 깃발과 북을 광주(光州)에 세우고 골(鶻)자로 신표를 삼았다. 전라우도에서 군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5권 / 전라도(全羅道) 광산현(光山縣)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5권 / 전라도(全羅道) 광산현(光山縣) 동쪽으로 창평현(昌平縣) 경계까지 18리, 남쪽으로 화순현(和順縣) 경계까지 21리, 남평현(南平縣) 경계까지 28리, 서쪽으로 나주(羅州) 경계까지 47리, 북쪽으로 진원현(珍原縣) 경계까지 21리이며, 서울까지의 거리는 7백 25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백제의
만기요람(萬機要覽) 군정편 4/ 관방(關防) - 전라도(全羅道)
만기요람(萬機要覽,1808) 군정편 4/ 관방(關防) - 전라도(全羅道) 【전주(全州)】 읍성 석축. 둘레 2,618보.위봉산성(威鳳山城). 석축. 둘레 5,097파(把) 영로 : 웅치(熊峙)진안과의 경계.이치(梨峙)진산(珍山) 통로.소치(掃峙)임실과의 경계. 이치(履峙) 금구(金溝)와의 경계.새장치(塞墻峙)남쪽 통로.귀신치(歸信峙)금구(
광주 군현분예(郡縣分隸) -경세유표 제3권 / 천관 수제(天官修制)
*경세유표 제3권 / 천관 수제(天官修制)  정약용(1817) 중 일부. 무남성(武南省) : 포정사는 광주부(光州府) 성안에 있으며, 3주, 6군, 18현을 관할한다(또 濟州는 2현을 거느린다).광주(光州)는 2군, 6현을 거느린다.2군은 장성(長城)능성(綾城 : 綾州)이고, 6현은 담양(潭陽)ㆍ창평(昌平)ㆍ화순(和順)ㆍ남평(
광주의 3.1운동
光州의 3·1運動  광주지방에는 개화기 때부터 예수교가 들어와 있었고, 1903(光武 7)년에는 금동(錦洞)교회가 설립되었으며, 1908(隆熙 2)년에는 숭일학교가 개교되었다. 뒤이어 수피아여학교와 제중(濟衆)의원 등 교회사회기관의 설립으로, 사회발전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신문화의 영향으로 3·1운동이 일어날 무렵에
우산동-경양역터
경양역-터(景陽驛一) 【터】 괴약걸에 있던 경양역의 터이다. 역승(驛承)을 두다가 조선 숙종 5년(1679)에 혁파하여 찰방(察坊)을 두었다. 경양도(景陽道)의 본역으로서, 담양부(潭陽府)의 덕기(德奇), 화순현(和順縣)의 가림(加林), 능성현(綾城縣)의 인물(人物), 동복현(同福縣)의 검부(黔富), 순창현(淳昌縣)의 신창(新昌
김문옥 효당문집 曉堂文集
김문옥의 자는 성옥聖玉, 호는 효당曉堂,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김기추(金箕錘)의 아들이며 합천 출신이다. 정기(鄭琦)의 문하에서 수업하였다. 효당문집은 서문과 발문이 없어 저자의 생애 및 편찬경위를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저자가 죽은 뒤 그가 강학(講學)하던 전남 화순군 남면 절산리에서 1962년경 후
박지수-密陽朴氏永慕齋重修記
정의림 일신재집 권14鄭義林(1845~1910) 《日新齋集》密陽朴氏永慕齋重修記尒陵古稱山水鄉 其秀爽清淑之氣 多聚於西方 若天台海望文山德峯 可數者非一 然體德中立 而盡得西方之美者又莫若德峯焉 昔者宣廟朝 忠臣补公諱枝樹葬其王大人監察公於此 子孫因居山下 監察公六世孫尚彥與諸宗就山之右麓 得一平坦與安亭相對處 構數椽
일휴당선생최공정려중수기 日休堂先生崔公旌閭重修記
정의림 일신재집 권14鄭義林(1845~1910) 《日新齋集》日休堂先生崔公旌閭重修記昔在龍蛇之變 伏節死義 前後相望 而其磊磊落落 如青天白日輝映於天下 膾炙於百世 未有如三壮士之爲尤盛也日休堂崔公即三壯士之一 後人爲之棹楔於綾 俎豆於晉盖綾是杖屨之鄉 而晋是殉節之地也 所以寓追幕不㤀之心者 靡有間焉 壬辰秋 晉之士謀修祠
대구·광주 연계협력권역 '상생발전' 청사진 짠다
멀고도 가까운 광주와 대구, 달구벌과 빛고을의 이름을 따 '달빛동맹'까지 내건 대구와 광주의 연계협력권을 함께 묶어 장기적인 종합발전계획이 마련된다.광주광역시는 9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국토교통부와 대구시, 전남도, 경북도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대구·광주 연계협력권 발전종합계획 수립 용역착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
정의림鄭義林의 자는 계방季方, 호는 일신재日新齋이며 본관은 광산으로, 綾州 大德에서 鄭濟玄과 珍原朴氏 致聖의 딸 사이에서 1845년(憲宗 11) 11월 출생했다. 그의 선조들은 조선시대 때 纘 이후 나주에 줄곧 거주하였으나, 그의 증조 埰가 영암으로 이주하고 조부 加錫이 다시 능주에 이주하였으며, 정의림의 조부
월남동 녹동마을
동구 월남동 녹동마을 당산제조사일시 : 1993. 9. 2조 사 자 : 정 기 진조사방법 : 현지면담조사 (과거시행)제 보 자 : 허남곤 (67)녹동마을은 광주에서 화순으로 가는 도로 우측에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분적산의 동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김해김씨, 나주임씨 등 70여호가 살며 요즈음은 대파 농사로 높은 소득을
지어재(志於齋)
광산구 삼도동 도림마을 지어재(志於齋)는 조선 영조때 광산에 살던 동강처사 오대하吳大夏(1677∼1743)가 강학터로 지어 지냈던 곳이다. 지어(志於)는 논어 술이(述而)편에 “도에 뜻을 두고, 덕을 굳게 지키며, 인에 의지하고, 예의 세계에서 노닐어야 한다. 志於道 據於德 依於仁 游於藝”는 공자 말의 의미를 담고 있다.나
염주동
염주동(念珠洞)은 법정동이나 행정동도 아니면서 운천동처럼 정식동처럼 여겨진다. 김경수(사)향토문화진흥원장의 2007년 글에 다르면 다음과 같다..  염주마을은 1912년 도천면(陶泉面), 1914년 효천면(孝泉)면, 1935년 효지(孝池)면 주월리에 속했다. 주월리는 염주(念珠)와 월산(月山)마을에서 이름을 따왔고, 1955
송천 양응정(1519~1581)
양응정은 1519(중종14)년 전라도 화순군 능주 월곡리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제주. 자는 공섭(公燮), 호 송천(松川)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양담梁湛, 할아버지는 양이하梁以河, 아버지는 교리 양팽손梁彭孫이다. 어머니는 금산김씨로 김화金話의 딸이다. 형은 동래부사를 지낸 양응태이고 의병장을 지낸 양산숙이 셋
충효동-무등산無等山
무등산無等山 : 광주 지한면(池漢面)의 장복면(長福面), 석저면(石底面)의 신촌리(莘村里)에 위치해 있고 지산면(池漢面)에도 걸쳐 있다. 현 전남 화순군 이서면과 북구 충효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김윤현
김윤현金胤鉉은 광산김씨로 자는 영보(永甫) 호 모체당(慕體堂), 목사(牧使)를 지냈으며 화순현감(1878), 서흥부사, 안주목사, 남원부사(1886), 광주목사, 보성군수, 호조참의(戶曹參議)를 역임했다. 화순현감으로 있을 때  화순군 화순읍 대리 154번지(한고을길 16)에 있는 충신 정려각인 칠충각의 기문을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