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

정의림鄭義林의 자는 계방季方, 호는 일신재日新齋이며 본관은 광산으로, 綾州 大德에서 鄭濟玄과 珍原朴氏 致聖의 딸 사이에서 1845년(憲宗 11) 11월 출생했다.

그의 선조들은 조선시대 때 纘 이후 나주에 줄곧 거주하였으나, 그의 증조 埰가 영암으로 이주하고 조부 加錫이 다시 능주에 이주하였으며, 정의림의 조부와 부친은 각각 81세를 살아 壽職으로 통정대부를 받았다.
정의림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사색을 좋아하였는데, 이미 서당을 다니기 전에도 華夷에 대해 구분하고, 화이는 나라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일신상에도 華夷가 있는데 아름다운 것은 華이고 악한 것은 夷라고 하여 주위를 놀라게 하였다고 한다.

그는 10세에 明村 黃綺顯에게서『小學』을 배우고 13세에 觀水齋 朴永柱에게서 四書를 배웠으며, 17세부터는 山寺에 들어가 스스로 三經을 읽었다. 이어 그는 20세 때에 서울을 다녀오는 길에 부여에서 族大父 石塘 鄭龜錫을 배알하고 ‘日新齋’라는 아호를 받고 기정진에게서 수학할 것을 권유받았다.

정의림은 4년 후 1868년에 장성의 하사로 노사 기정진을 찾아가 스승으로 모시고, 학문에 정진한 결과 기정진으로부터 김석구, 정재규와 함께 노사학파를 이끌어갈 인물로 기대되었다. 동문들로부터 蘆門三子로 불리게 되었다.

기정진은 1875년 10월 자신의 평생의 역작인 『納凉私議』를 김석구, 정의림, 정재규 3인에게 이해시키기 위해 4일 밤낮을 강론하였으며, 다시 1879년 정월에 「納涼私議」와 「猥筆」을 강론하게 되자 이들은 기정진의 학설을 이해하고 기정진의 학설을 독실하게 믿고 따르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정의림은 학문적인 명성이 점점 높아지자 전라감사였던 韓致肇나 능주목사였던 南學熙로부터 강학과 향음례에 초대되어 일을 주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는 1879년에 스승인 기정진의 별세, 다시 3년 뒤인 1882년에는 부친의 별세로 한동안 강학활동에 전념하지 못하였다가, 부친상을 마친 1884년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강학활동을 시작하였다.

그는 大德에서 品村, 墨谷, 星洞, 佳山 등으로 자주 옮겨 다니면서 강학을 하기 시작하였는데, 곳곳마다 많은 제자들이 모여들었다. 이어 정의림의 강학활동은 능주목사에게도 알려져 1886년 학행으로 능주목사가 도백에게 천거하기도 하였다.

특히 그는 1887년에는 여러 친구들과 문인들을 데리고 무등산 일대를 유람하였는데, 이 때 유람한 인물들과 詠歸會를 조직하고 1891년 겨울에는 평생의 강학처인 詠歸亭을 축조하고 5성 4현을 모시고 춘추로 享祀하고 강론에 힘썼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문인들이 크게 늘어났다.
그는 영남의 기정진 문인과도 활발하게 교유하여 1891년 2월에는 삼가의 정재규를 방문하여 뇌룡정에서 강회를 개최하였으며, 다시 그해 8월에는 지리산 화엄사에서 鄭載圭와 崔琡珉, 金顯玉 등 영남문인과 鄭義林과 鄭時林 등 호남 문인들이 모두 모여 대규모 강회를 실시하였다. 이후 그는 정재규와 함께 기정진의 학설에 대해 토론하는 한편, 金平黙, 柳重敎, 崔益鉉 등 화서학파와의 교류에도 힘썼다.

또한 그는 1894년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招討使 閔種烈에게 편지를 보내 동학이 극성하다고 하여 백성을 죽이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 정학을 높여 이단에 물들지 않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1896년 기우만이 나주에서 의병운동을 일으키자 적극 가담하였다.

또한 1902년 스승인 기정진의 문집 간행시, 영남의 노론들로부터 기정진의 「猥筆」이 이이의 학설을 부정한 것으로 간주하고 문집에서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하자, 정의림은 영남과 호남의 각 읍에 통문을 보내 기정진은 이이의 학설을 篤信하였으며, ‘기틀이 스스로 그럴 뿐이다(機自爾也)’고 한 이이의 주장이 주기로 이해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고 변론하였다.

그는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일본의 침략을 규탄하고 역적들을 처단하자고 유소를 작성하였으며, 최익현이나 정재규, 기우만의 거의에도 참여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의병운동이 실패하게 되자, 정의림은 일체 두문 불출 자정하다가 1910년 10월 10일 별세하였다.

사후에 문인들이 그의 학덕과 절의를 추모하기 위해 화순의 七松祠, 三山祠, 龍山祠와 담양의 金谷祠 등에 제향하였다. 그는 驪興 閔致煥의 딸 사이에서 슬하에 아들 尙默과 光山 李進休, 洪州 宋光壽, 密陽 朴敬東에게 시집간 세 딸을 두었다.


한편 『日新齋集』은 21권 12책으로 문인 朴準基, 洪承渙 등과 族人 鄭炳海 등이 유고를 모아 1927년 간행했으며, 서문과 발문이 없다.
문집에는 정의림이 정재규나 황철원, 양회락 등과 토론한 많은 성리학적 관련 자료, 능주나 화순, 보성 지역과 관련된 많은 인물에 대한 정보, 위정척사운동이나 의병관련 자료를 남기었다.

특히 1902년 송병선 문인이나 전우 등에 의해 기정진 학설이 논란되었을 때, 영, 호남 일대에 통문을 보내 기정진이 이이의 학설을 계승하여 주리설을 주장하였음을 밝혔다. 문집에는 이러한 내용들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