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89건)

《고봉집(高峯集)》 해제(解題) 2- 생애와 학문
기대승(奇大升, 1527~1572), 사단칠정(四端七情)의 논(論)을 씀1. 머리말이 책은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1527~1572)의 문집과 저술을 우리말로 번역하여 4책으로 출판한 것이다. 《고봉집(高峯集)》은 1989년 민족문화추진회에서 국역하여 펴낸 바 있다. 1970년에 간행된 석인본을 대본으로 한 기왕의 국역서
《고봉집(高峯集)》 해제1 -가계와 행력 등
1. 저자기대승(奇大升) : 정해년(1527, 중종22)~임신년(1572, 선조5). 자는 명언(明彦), 호는 고봉(高峯)ㆍ존재(存齋)이며, 본관은 행주(幸州)이고, 시호는 문헌(文憲)이다.2. 가계3. 행력중종 22년(정해 1527년, 1세) ◦ 11월 18일, 광주(光州) 소고룡리(召古龍里) 송현동(松峴洞)에서 태어나다.중종 28년(계사 1533년, 7세)
고봉 기대승 행장- 고봉집 부록 제1권
정홍명(鄭弘溟) 기암(畸菴)선생의 휘는 대승(大升), 자는 명언(明彦), 성은 기씨(奇氏), 관향은 행주(幸州)이다. 행주에 고봉 속현(高峯屬縣)이 있어서 이 때문에 자호를 고봉(高峯)이라 하였다.기씨는 고려조에 무예(武藝)로 입신하여 장상(將相)을 지낸 이가 퍽 많았다. 조선조에 들어와 휘 면(勉)이 공조 전서(工曹典書)
고려사절요 제33권 / 신우 4(辛禑四) 왜구 광주 함락
무진신우 14년(1388), 대명 홍무 21년○ 가을 7월에 왜적이 광주(光州)를 함락시키니 양광ㆍ전라ㆍ경상도 도체찰사 황보림(皇甫琳)과 양광도 부원수 도흥(都興), 전라도 부원수 김종연, 경상도 부원수 구성로(具成老) 등에게 명하여 구원하게 하였다.
“선비정신과 광주정신” 관계 역사성 근간 시대정신 반영돼
발제 이계표 전남도문화재 위원,토론 김기곤 광주전남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정두용 청년문화허브 이사장광주의 역사성을 근간으로 미래의 공동체를 이끌어가는 광주의 시대정신이 광주정신의 방향성을 이루어간다는 주장이 제기됐다.28일 광주서구문화원(원장 정인서)이 마련한 ‘광주 문화유산 그 가치를 만나다’는 프
김대현 -무등산 한시 111편
무등산한시선무등산에 대한 한시를 옛 문헌 속에서 찾아내어, 시대 순으로 편집하고 번역한 책이다. 우리나라 스물 두 번 째 국립공원인 무등산은 남쪽 지방의 대표적인 명산으로, 예로부터 수많은 사람들이 탐방하고 있다.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의 시문집에서부터 현대 의재 허백련의 시문집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옛 문
광주 서구문화원, 호남 선비들의 발자취를 찾아 떠나다
광주지역 선비들의 발자취를 찾아 떠나는 열린강좌 답사가 지난 9월 25일 광주시 북구 충효동 일원에서 진행됐다.광주 서구문화원이 한국학호남진흥원과 공동으로 마련한 이번 열린강좌 답사는 김종 전 조선대 교수와 함께 문화역사적 가치가 있는 충효동 일대 호남 선비들의 의병정신, 선비정신 등의 발원을 찾기 위해 마련
박학독지- 한국방송통신대학 광주전남지역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 광주전남지역대학 준공기념비 2005년 12월 18일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내촌로 6 (월계동)2003학번 중어중문학과 김종렬이 글을 쓰고 건립추진위원으로 광주전남지역대학장 김형근, 제23대 광주전남지역대학 총학생회장 김정곤, 제19대 광주전남지역대학 중문학과 학생회장 이극이 참여함박학독지博學
부산시립미술관에서 거대한 일상을 보다
정인서(2021.06.21.) 광주에서 부산까지는 불과 3시간, 늘 심정적으로 멀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고속버스에 오르니 잠깐 눈을 붙인 사이에 섬진강 휴게소를 거쳐 부산 노포 종합버스터미널에 도착했다. 바로 도시철도가 연계되어 버스로 한 번 환승하여 벡스코 건너편에 자리한 부산시립미술관을 찾았다.바쁜 일상 속에
암행 어사 이면승이 서계하여 호남의 사정을 아뢰다 - 순조 8년
전라좌도 암행 어사 이면승이 서계하여 호남의 사정을 아뢰다 - 순조 8년 무진(1808) 8월 6일(기해) 전라좌도 암행 어사 이면승(李勉昇)이 서계하여, 금산 군수(錦山郡守) 조영경(趙榮慶), 전 군수 유한기(兪漢紀), 전 흥양 현감(興陽縣監) 이계(李㬖), 전 광양 현감(光陽縣監) 김종철(金宗喆), 전 보성 군수(寶城郡守)
광주 서구문화원, ‘의향정신 찾아 떠나는 여행’ 가져
광주 서구문화원은 한국학호남진흥원의 문화원 동행사업으로 23일 광주지역 내 의로움과 의병정신을 간직한 장소들을 방문하고 현장특강을 듣는 등 광주정신의 뿌리를 찾는 답사를 진행했다.이번 답사는 의로움과 당당함으로 한 시대를 살았던 인물들에 대한 현장 탐구를 통해 선현들의 용기와 희생이 오늘의 광주 공동체를
대간이 유자광의 중형을 아뢰니 불허하다 - 중종 2년
대간이 유자광의 중형을 아뢰니 불허하다 - 중종 2년 정묘(1507) 4월 18일(신묘) 대간이 아뢰기를,“자광이 나라를 그르치는 정상은 온 나라가 다 알고 있습니다. 청컨대 쾌히 결단하시고, 그 아들ㆍ사위도 다 함께 귀양보내 내치소서.”하니, 전교하기를,“자광은 성종조에서 귀양갔다가 얼마 안 되어 환직(還職)되었으며,
권덕영의 처가 사통한 일을 분간하여 풀어주게 하다 - 성종 19년
양녕 대군 이제의 딸 이씨가 종 천례와 사통한 일을 분간하여 풀어주게 하다 - 성종 19년 무신(1488) 10월 4일(갑오)처음에 양녕 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첩의 딸 이씨(李氏)가 권덕영(權德榮)의 아내[妻]가 되어 광주(光州)에 살았는데, 권덕영이 죽으니, 그 종[奴] 천례(天禮)와 사통하여 딸 하나를 낳아서 이름을
죄를 의결하는 법 등을 논의하다 - 성종 19년
이개질동의 처결ㆍ권덕영의 처의 추국ㆍ노비를 공천에 붙이는 법 등을 논의하다 - 성종 19년 무신(1488) 7월 12일(계유)       정사를 보았다.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박승약(朴承爚)이 광주(光州) 죄수인 사노(私奴) 이개질동(李介叱同)이 본주인 정서(丁諝)를 구타한 추안(推案)을 아
김종서가 광주 목사 신보안과 기생 소매의 간통 사건의 조사를 건의하다 - 세종 11년
김종서가 광주 목사 신보안과 기생 소매의 간통 사건의 조사를 건의하다 - 세종 11년 기유(1429) 11월 13일(을묘) 우부 대언 김종서(金宗瑞)가 아뢰기를,“광주 목사(光州牧使) 신보안(辛保安)이 고을 기생 소매(小梅)와 간통하여, 그의 서방 전 호군 노흥준(盧興俊)이 그 기생을 결박하고, 보안을 능욕하였다고 지금 암행
광주시, 2020년 문화예술상- 문학·미술·국악부문 5명 선정 시상
광주광역시는 17일 서구 치평동 라붐웨딩홀에서 ‘2020년 문화예술상 시상식’을 열고 문학, 미술 등 5개 부문에 선정된 5명에게 상패를 수여했다.올해 광주문화예술상은 ▲박용철 문학상에는 1976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을 시작으로 활발한 창작활동을 하고, 광주문화재단 초대 이사와 서구문화원장을 역임한 시인
영남과 호남의 인물들, 도협총설 104조항 〔陶峽叢說 一百四則〕 -도곡집
도협총설 104조항 〔陶峽叢說 一百四則〕 -도곡집 제28권 / 잡저(雜著) : 이의현(李宜顯, 1669~1745)102. 조선조에서는 양남(兩南) 지방의 인물이 가장 현달하였으니, 경주(慶州)에는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이고, 안동(安東)에는 충정공(忠定公) 권벌(權橃)과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과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과
최경심씨, 동서문학상 시 부문 금상 수상
광주 서구문화원(원장 정인서) 문화교실에서 문예창작반을 다닌 수강생이 최근 동서문학상 금상을 수상해 관심을 끌고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지난 3년간 문예창작반 수업을 들으며 시를 습작해온 최경심(66)씨. 2020년 제15회 삶의 향기 동서문학상에 ‘얼룩말 나비와 아버지’라는 작품으로 금상을 수상했다. 이번 동서문학
정단(正壇) 32인 - 홍재전서 제60권
정단(正壇) 32인 - 홍재전서 제60권 / 잡저(雜著) 7 : 정조대왕(正祖大王, 1752~1800) 사판(祠版)에는 ‘충신지신(忠臣之神)’이라고 쓰고, 제사의 의식은 축문이 있으며 - 축문은 본릉의 한식절 수향(受香) 때 같이 싸 가지고 감 -, 제품(祭品)은 밥 한 주발, 소탕(素湯) 한 대접, 나물과 과일 각 한 소반, 술 한 잔이고, 제
武珍遺俗故凶奸 - 점필재집 시집 제21권
광주 사람이 그곳 판관 우윤공을 쏘아서 팔뚝을 맞혔는데, 윤공은 화순으로 달아났다[光州人射其判官禹允功中臂允功奔和順] - 점필재집 시집 제21권 : 김종직(金宗直, 1431~1492)무진의 남긴 풍속은 본디 흉하고 간악하여 / 武珍遺俗故凶奸어린아이가 능히 적백환을 더듬어 취했네 / 童子能探赤白丸태평시에도 분수를 범할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