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43건)

유희춘-過柳林
千株蔽日蔭淸渠  해 가린 천 그루에 맑은 도랑 그늘지는데一夜蕭條斤斧餘  한 밤새에 쓸쓸하게 도끼 자국 남아있네安得栽培濡雨露  어찌하면 우로에 젖어 길러지게 하여 穹林他日鳳來居  훗날 우거진 숲에 봉황새 와서 살게 할까담양 연계정(漣溪亭)은 조선 중기 대사헌과 이조참판을 지낸 미암 유희춘
홍명하-황룡강에서
夕陽無語對黃花  해질 무렵  말없이 국화를 보노라니秋水龍江渡一槎  가을 짙은 용강에 배 한 척 지나가네先我松翁知出處  송옹은 나보다 먼저 출처를 알았나 보다至今詩禮子孫家  지금도 자손들이 시와 예로 살고 있네조선 후기 삼정승에 오른 홍명하(洪命夏 1608선조 41~1668 현종 9)가
오재영(吳在永, 1865~1911)
전남 화순 동복출신 소재(小齋)  오재영(吳在永, 1865~1911), 동복오씨로 아버지 식시(息是) 오연수(吳然秀)로 어려서부터 글씨에 재주가 있었고 부모에 효도하며 집안에 두루 우애했다. 그는 집 뒤의 산기슭에 정자를 짓고 공자와 주자의 상을 그려 벽에 모셔 놓고 조석(朝夕)으로 참배했다. 갑오경장이후 의원(
최기룡(崔基龍, 1843∼1913)
죽파(竹坡) 최기룡(崔基龍 1843~1913)의 자는 찬서(贊瑞).  본관은 경주(慶州). 최유환(崔有煥)의 아들로 광주 지산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선천적으로 성실하고 친절하며 인정이 두텁고 의지와 취향이 훌륭하였다. 8세에 글을 쉽게 배우고 일취월장하여 주자(朱子)의 글을 한 번 읽으면
최한일
최한일(1846~1923)은 당시 이희성이 광주목사로 있을 때 광주성의 방어를 책임진 수성별장(守成別將)에 추대됐다고 한다. 그의 휘하에는 300명의 별동부대가 있었고 그는 이들을 지휘해 농민군과 전투를 벌여 여러 번 공을 세웠다고 한다. 훗날 고종임금이 그의 행적을 듣고 모시 한 필을 상으로 내렸다고 한다.
전중판사사 건천 정광신도비
광주시 남구 진월동1916년전중판사사(殿中判寺事) 건천(巾川) 정광(程廣) 신도비(神道碑)주(州)의 서쪽 5리의 거리인 금당산(金堂山)에 있는 비석으로 이천(伊川)의 사손(祀孫) 오경박사(五經博士) 광인(廣仁)의 전서(篆書) 및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명사(銘詞)가 있다.<명 문(銘文)>한산정씨(韓山程氏) 선조이
청주한씨 쌍효비각(쌍효각)
광주시 남구 진월동 진제마을1862년 韓弼五, 韓弼龍 형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命旌되어 청주 한씨 쌍효비(淸州韓氏雙孝碑)를 1864년에 건립했다.1979년 번역비를 옆에 건립 1995년 화순군 도곡면 천태산리로 이건청주한씨 문중에서 한필오韓弼五, 한필룡韓弼龍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1862년에 命旌되어 1864년에 건립
청심당이선생유적비(淸心堂李先生遺蹟碑)
광주시 남구 구만산길 34(원산동)2002년청심당이선생유적비(淸心堂李先生遺蹟碑)는 2002년에 세운 것으로 행주 기우하가 글을 쓰고 17세손 이상휴가 글씨를 쓰고 후손인 화순의 이계휴, 이원휴와 강진의 이문한이 건립했다.
최한일-제헌 최한일선생 송덕불망비
광주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 (광주공원內)1901년 건립, 1973년 재건립제헌최한일선생 송덕불망비(濟軒崔漢鎰先生頌德不忘碑) 비문 앞면에는 奉公警署 功德攸曁 惟愛商旅 玆頌永世라 했다.이 비는 최한일(崔漢鎰, 1846~1923)의 불망비(不忘碑)로 광무5년(1901년)에 세웠던 것이 훼손이 심하여 1973년에 다시 건립하
심남일-의병장남일심공순절비
광주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 (광주공원)의병장남일심공순절비(義兵將南一沈公殉節碑)이 비는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수많은 전과를 거두고 순국한 심남일(沈南一, 1871~1910) 의병장의 뜻을 길이 전하기 위해1972년 건립되었다. 찬자(撰者)는 이은상(李殷相)이고, 서자(書者)는 신호열(辛鎬烈)이다. 앞에 순
이한원-세심당이선생유적비
광주시 남구 구만산길 34(원산동)1990년, 2005년세심당이선생유적비(洗心堂李先生遺蹟碑)는 1990년에 세웠다가  을축년에 훼손되어 2005년에 다시 건립했다. 호남인물지 광주편에는 자(字)는 청경(淸卿), 호(號)는 세심당(洗心堂), 본관은 광산(光山)고려 충숙왕 때 문과상서좌복야(文科尙書左僕射) 순백(珣白)
의관 박태용 유적비.시비 등 돋보여
박태용 유적비와 시혜불망비광주시 남구 노대동에서 화순 방면으로 빠지는 길목 노대마을 입구 왼쪽에 크고 작은 비석 4개가 나란히 있다. 남구 노대동 산 154-1에 위치해 있다.길가에 있는 이 비석군이 눈에 띄어 마을 입구에서 유턴하여 비석이 있는 곳으로 발길을 돌렸다.이곳에는 의관을 지낸 박태용의 유적비
전의관박태용시혜불망비, 의관국재박공유적비
광주시 남구 노대동 5271965년, 1978년광주시 남구 노대동 801965년, 1978년박태용 시혜불망비오 유적비는 노대마을 입구에 있다. 노대동 휴먼시아아파트7단지에서 화순방향으로 가는 길목의 노대마을 입구 상가(식당) 끝 석축 위에 세워져 있다. 원래의 비는 '前議官朴台鏞施惠不忘碑'이며  임술년(1922) 10
백마산 장수굴
서창동 중앙부에 있는 백마산은 해발고도 162.1m의 나지막한 야산에 불과하지만 수려하면서도 골짜기가 깊어 임진왜란 때 의병장인 삽봉에 얽힌 전설이 많이 남아 있지요. 삽봉은 조선조 연산군 때 일어난 무오사화戊午士禍 당시 문민文愍 김일손金馹孫(1464~1498)이 조의제문사초弔意帝文史草 사건에 연루돼 참살당하는 화
박대수
박대수朴大壽(1533~1612)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권율의 참모관이 되어 왜군을 무찌르는데 훌륭한 전략을 내놓았고 광주 의병소 시절엔 고경명과 함께 의병활동을 펼쳤던 애국지인이다.본관이 충주이며 자는 인수仁叟, 호는 송계松溪이다. 진사 박지흥의 증손이며, 하촌 박정의 장남인 박호손朴虎孫의 아들이다. 1533년 서창
삽봉 김세근金世斤(1550~1592)
김세근金世斤(1550~1592)은경남 함안군 마륜동 출생으로 본관은 김해이며 자는 중빈重賓, 호는 삽봉揷峰이다. 김해인으로서 절효공 극일의 후손으로 1550(명종5년)년 4월 16일 출생하였다. 임진왜란 때 스승 중봉 조헌선생의 격문을 받고 의병을 일으켰으며 제봉 고경명의 의병과 합세한 금산전투에서 순군한 의병부장
다리의 역사
광주에 다리가 언제부터 놓여 졌는지는 알 수 없다. 사람이 살기 시작하면서부터 내나 강을 건너게 하는 다리는 만들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 옛 다리의 흔적을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광주의 옛 다리는 광주의 교통로를 따라 만들어졌다. 광주는 옛 길이 별로 크지 않았고, 타 지역으로 가는 데는 광주읍성의 4대문을 통
광주문화재단, 맞춤형 지역문화정보 제공 ‘힐링더힐링곱’
광주문화재단은 홈페이지 방문자에게 지역 문화예술 상담소 ‘힐링더힐링곱’ 페이지를 개설했다.문화상담소 힐링더힐링곱은 ‘문화생활로 힐링을 더하고, 힐링을 곱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문화생활 패턴을 테스트 하고 결과에 따라 맞춤형 지역 문화행사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다.문화생활 관심도, 성향, 선호도 등을 테스트
봉황산
서구 용두동과 남구 압촌동광주 무등산에서 서쪽으로 뻗어내린 산줄기는 수레바위산 - 소룡봉 - 분적산 - 금당산을 지나 화방산 - 송학산 - 봉황산 - 등룡산으로 이어지다가 승촌에서 영산강을 만나 끝을 맺는데 그중에 봉황산은 167.8m이다. 서창과 대촌의 중간에 있으면서 눌재로를 사이에 두고 송학산과 마주보는 산이다.
가야금병창 이영애/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8호(2014. 1. 19.)
무형문화재 가야금병창 이영애는 스승 박귀희 선생을 사사했다. 스승으로부터 가야금병창과 판소리를 익혔다. 그가 국악에 입문하게 된 계기는 10살 때 국악을 좋아했던 아버지의 손에 이끌려 가야금을 배우게 된 것이 시작이었다. 그가 무형문화재로 인정받은 가야금 병창은 민요나 단가短歌, 판소리 일부 대목을 가야금으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