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최기룡(崔基龍, 1843∼1913)

죽파(竹坡) 최기룡(崔基龍 1843~1913)의 자는 찬서(贊瑞) 본관은 경주(慶州). 최유환(崔有煥)의 아들로 광주 지산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선천적으로 성실하고 친절하며 인정이 두텁고 의지와 취향이 훌륭하였다. 8세에 글을 쉽게 배우고 일취월장하여 주자(朱子)의 글을 한 번 읽으면 이를 깨우치고 수용하였다. 문장과 행실이 올바라서 당시 향당(鄕黨)의 사표가 되었다.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 1884년(고종 21) 청나라에서 만주의 조선족에 대한 편적위민과 치발역복 정책으로 조상이 물려 준 백의(白衣) 흑관(黑冠)을 버리고, 호복(胡服)을 갈아입고 부모가 준 머리카락을 깎아버리도록 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통곡하며 삼강이 무너짐은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며 조상에 대한 배신으로 간주하였다.

1888년(고종 25) 호남지방에 큰 흉년이 들어 굶주림을 면하기 어려운데 광주가 더욱 심하여 그는 수령 및 향유들과 구휼(救恤)하기를 도모하여 광양(光陽) 세미(稅米)를 옮겨 관내로 가져오는데 힘썼다.
1894년(고종31) 동학란을 당하여 백성에게 엄중히 경계하며 고을의 모든 사람이 고금에 없는 기이한 일로 하늘이 반드시 그대로 두지 않을 것이라면서. 우리들은 신중히 대처할 것이며 이는 본주 목사 이희성과 나주초토사 민종열이 비도들로 하여금 느끼고 깨달음이 있기를 도모할 것이니 동요치 말라 하였다. 

1896년(건양 1)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 날마다 성묘를 하며 피눈물을 흘리니 땅위의 풀이 말라 죽었다. 1899년(광무 3) 부친의 탈상을 마치고 어머니 상을 당하여 예를 갖추어 장사지내고 하늘을 보고 탄식했다. 이제 부모가 계시지 않으니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재산을 이루고자 학문을 닦기 위하여 멀리 면암 최익현의 문하에 들어가 공부를 하고, 송사 기우만과 교류하였다. 그 후 면암 선생이 광주에 내려와 그의 효행과 학문에 대해서 그는 세상이 변하여도 변치 않을 것이다 하였다.

1902년(광무 6) 세상의 변함이 예측을 불가능함을 보고, 1910년에 나라가 망하자 백운 산중에 들어가 후손을 가르치고 농사짓는 과업을 버리고, 시ㆍ사로 서로 주고받으며 방황의 세월을 보냈다.

1928년에는 병천사에 세워진 제하상모자비에 대한 글을 쓰기도 했다. 그 글은 지응현(1869~1959)의 《붕남실기》에 실려 있다.

증심사(與鄕中諸益登瑞石宿澄心寺), 무등산(登瑞石絶頂) 등의 시가 있다.
그가 정자에서 남긴 시로는 함벽루( 陪勉菴先生上涵碧樓 陜川), 관란정( 觀瀾亭講會), 광주 영사정(敬次永思亭韻), 양과정(與良苽亭會所, 良苽亭次板上韻), 광주 불환정(不換亭次板上韻), 운호정(雲湖亭次板上韻), 죽파정사(竹坡精舍自吟),  증심사(與鄕中諸益登瑞石宿澄心寺), 무등산(登瑞石絶頂),  심진정(尋眞亭次板上韻), 해솔당(次鄭公梅松堂韻), 삼노당(次朴友(在鉉)三老堂韻), 농은정(次孝公農隱亭韻),석호재(次李公石湖齋韻), 해송당(次鄭公梅松堂韻), 이로당(次朴友(在鉉)三老堂韻), 삼파재(次文友(轍載)三坡齋韻), 화순 만연사(諸萬淵寺壁上), 광주 호가정( 浩歌亭和柳魯岡 是漢),  광주 양과정(與良苽亭會所), 죽파정사(竹坡精舍次韻, 竹坡精舍記) 등에서 시문을 남겼다.

후손인 최병채崔炳彩1967년에 흩어진 유고를 모아 《죽파유고竹坡遺稿》 41책을 석인본으로 간행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