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구 하백로29번길 24 (매곡동)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북쪽 10리 거리에 김기현이 건립하였다. 후석 오준선의 기문이 있다. 이 기문에 백암은 서석산 북쪽의 연화봉 아래 있다고 하였다. 김기현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화순 동복에 거주한 농재 김곤변의 8세손 김윤겸金潤謙의 아들이다김기현이 작고한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 산96 나옹선사(1320~1376)는 1340년 허망하게 요절한 친구의 죽음에 무상함을 느끼고 그길로 공덕산 묘적암에서 요연선사에게 출가한다. 1344년에는 회암사에서 큰 깨달음을 얻게 되면서 원나라에 가서 연경의 법원사에 머물며 4년여를 지공에게 수학하였다구월산ㆍ용문산ㆍ원적산ㆍ금강산 등
동구 지산동 동쪽으로 5리에 있으며 구단舊丹 사동砂洞 서암瑞岩 조병훈趙秉勳이 지어 지냈던 곳으로 《조선환여승람(1935)》에 전하고 있다. 화순 능주 광덕리 출신 방은(芳隱) 임호응(林鎬應, 1870~?) 등이 다녀가며 시를 남겼다고 전한다. 임석주(林碩周)의 아들로 어려서부터 나주의 신 모에게서 수업을
규봉암(圭峯菴) 누각은 문루 겸 종각이다. 무등산 중턱에 있는 규봉암은 조선 전기 세종, 문종, 단종 때의 문신으로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던 영의정에 추증된 습재(習齋) 권극화(權克和)의 서석규봉기(瑞石圭峯記) 에 따르면 신라시대 의상대상(義湘大師)가 지었다고 한다. 현재 무등산 소재 사찰 중에서 가장 높은
남구 대지동 윤태한(尹泰翰. 1857~1932)은 본관이 남원이고 호는 한암(漢菴)이다. 1882년(고종 19) 25세에 동학의 교리에 심취하여 제2대 동학교주인 최시형(崔時亨)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동학에 입도하였다.32세에 동학접주가 되어 광산(光山)‧화순(和順)‧나주(羅州) 지역에서 포교 활동을 하였으며, 1894년(고종 31)
지리산을 중심으로 의병활동을 펼친 신덕균(1878∼1908)은 광주 우산동(또는 각화동 277) 출신이다. 초명(初名)은 덕순(德淳), 자는 정효(正孝), 호는 몽암(夢菴), 본관은 평산으로 신태수(申泰洙)의 아들이다.일찍이 기우만(奇宇萬)과 전우(田愚)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학문에 뛰어났다.광주북구지(1994)에는 우산동 출신으로
광주, 담양 등지에서 일제군경과 친일파를 응징한 김동수(1879∼1910)는 본관은 김해로 광주목 경양면景陽 병문리屛門 , 현 북구 우산동 283번지에서 태어났다. 처가는 중흥동 84-3번지이다.(후손 김홍두 증언) 그는 포목상과 농업에 종사하였다. 한말의 망국과정을 지켜보면서 의분을 품고 살다가 결국 의병을 주도한 전남의
광주주 서구문화원(원장 정인서) 마을인문학반은 11월 4일 조광조와 양팽손의 지란지교(芝蘭之交), 정율성의 능주초등학교, 주자의 증손자인 주잠의 묘가 있는 주자묘 등 화순 능주지역 문화답사를 가졌다. 우리 지역의 정신과 사상을 오늘에 되살리기 위해 지역 문화답사를 갖고 있는 마을인문학반은 먼저 조광조 유배
민선7기 이용섭 광주시장에 대한 지난 1년의 평가는 어떠할까.좋은 평가도 있고 좋지 않은 평가도 있을 것이다. 그것은 사람들이 자기와의 관계성에 따라 자기중심으로 평가를 하기 때문이다.지난 1년 동안 광주시의 각종 현안사업과 앞으로의 미래사업들에 대한 수많은 내용들이 있겠지만 우선 시민들이 시장을 바라보는 인
바이올리니스트 김수진의 하우스콘서트가 25일 전남 화순의 아트카페 연인에서 열린다.아트카페 연인은 문화공간을 지향하면서 미술작가들의 전시공간과 음악공간으로 지역민들에게 문화향유를 펼친 가운데 정기공연의 형태로 제1회 연인 하우스콘서트를 마련했다.이번 공연은 광주여성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단원이며 사단법
광주시 동구 증심사길 71(운림동) 무등산 세계지질공원 탐방지원센터 옆2018년범대순 (1930∼2014) 시인은 생전에 무등산 1,100회, 서석대 160회를 오르 내렸다고 한다. 그의 산행이 단순한 횟수가 아닌 이야기이다. 그는 4계절을 끊임없이 무등산의 역사를 그 흔적으로 남겼다.그의 광주에 대해 사랑과 인간에 대한 존재론적
광주시 북구 송강로 13(금곡동)2004년증 좌찬성 충장 김공 신도비(贈 左贊成 忠壯 金公 神道碑)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우리 선조(宣祖)께서 국운을 어루만지신 지 20여 년 만에 섬나라 왜적이 크게 방자하여 우리 8도의 백성(生靈)들을 짓밟자, 당시의 의사들이 갑옷 입은 말을 타고서 칼날과 살촉을 뚫고 중흥의 공적을 협
광주시 동구 학동 필문대로329번길 22(武光祠)1958년이 춘담기인 최병채기적(春潭奇人崔炳釵紀績)은 동구 학동 구 춘태여상 자리인 무광사(武光祠) 경내에 있다. 춘담 최병채春潭 崔炳釵(1907~1987)의 공적내용을 화강암에 음각하였다.최병채는 1907년 곡성군 석곡면 운룡리(현 순천시 주암면 운룡리)에서 부친 경환(炅奐)씨
광주시 남구 진월동 500-1통정대부고공성운시은불망비는 효덕동주민센터 입구에 있다. 1931년 신미년 4월에 효천면 소작인들이 고성운(1857∼1936)의 시은에 보답하는 뜻으로 공동으로 세웠다.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잠정리 산 33-1번지 삼충각에 마애비가 또 있다. 通政大夫 高聖運 彰善碑(통정대부 고성운 창선비)는
광주시 북구 청풍동 209-5 청품쉼터 박홍원의 '아, 무등' 시비는 무등산 청풍쉼터에 있다.경산(鯨山) 박홍원(朴烘元, 1933~2000)은 전남 신안군 도초면 발매리 출신으로 1952년 목포사범학교 재학중 문학에 뜻을 두고 당시 조선대 문학과 교수였던 김현승 시인을 만나 본격적인 문학 수업을 하게
광주시 북구 금곡동 산 164-1(충장사 주변)1978년이 서하당 김선생 모호산 순효비(棲霞堂金先生母護山殉孝碑)는 전남 화순군 남면 복교리에 세워졌다가 1990년대에 광주로 옮겼다. 충장사 입구에서 충효동 쪽으로 송강로길을 타고 150m 지점의 길 우측에 있다. 옆에는 김성원(金成遠)의 할아버지인 김함(김감)의 신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