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춘담기인 최병채기적

광주시 동구 학동 필문대로329번길 22(武光祠)

1958년

이 춘담기인 최병채기적(春潭奇人崔炳釵紀績)은 동구 학동 구 춘태여상 자리인 무광사(武光祠) 경내에 있다. 춘담 최병채春潭 崔炳釵(1907~1987)의 공적내용을 화강암에 음각하였다.
최병채는 1907년 곡성군 석곡면 운룡리(현 순천시 주암면 운룡리)에서 부친 경환(炅奐)씨와 김해김씨 사이에 장남으로 태어났다. 조선 중엽 중종대에 의정부 사인(舍⼈)을 지낸 최산두의 16대 손이다. 15세부터 순천의 조정림에게 한의학을 배우고 화순 동복의 이진규에게 침구학(鍼灸學)을 배운 후 22세 되던 1928년 한약업사 면허증과 침구사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부족한 공부를 위해 일본 오오사카 하마대라 침구학교에 유학했다. 43세 되던 1949년, 광주광역시 양림동에 인과원(因果院)을 개업한 후 한의사이자 교육자, 사회사업가로 이름을 알렸다.
그는 특히 육영사업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운룡초등학교(곡성 석곡ㆍ1947)를 시작으로 춘태여자고등공민학교(1960), 농업기술학교(화순 이서ㆍ1965), 춘태여자중학교(1966), 신농중학교(1967),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1967), 국제고등학교(1984)를 설립했다.
그는 한의사로 번 전 재산을 궁핍한 사람을 구하고, 거지들을 도와주며, 민족교육을 위해 분토(糞⼟)처럼 쓴 인물로 당시의 사람들은 그를 기인이라 불렀다.
무광사(武光祠)는 그가 1957년 이은상(李殷相)박사의 자문을 받아 건립하였는데, 여기에는 이순신을주벽으로 임진왜란 당시 구국의 횃불을 높이 든 문열공 김천일, 충장공 김덕령, 충장공 정운, 금계 노인,수은 강항, 수사 송희립을 모시고 있다. 무광사에서는 충무공 탄신일인 4월 28일 춘향제(春⾹祭)를, 기일인 12월 16일 추향제(秋⾹祭)를 지낸다.

⼘天下宰相 不許則⼘天下名醫 此以其尊卑雖殊 濟世均也 然余嘗疑其語矣 今⺫擊⽽後 知其不誣也 春潭奇⼈崔炳釵 通政⼤夫光洙之抱寢郞炅奐之嗣 上祖新⿑ 先⽣天性慈孝 才器過⼈ 涉獵經史 嗜軒岐之書⽽知醫 常對證論劑 ⾨庭成市 爲闡家世之潛光幽德 ⽴碑碣建齋閣 所謂 望雲閣 迎⽉軒 翠⾬亭 雙萱橋 在天寺 等 六七棟合三⼗餘間 櫛⽐淹洞壑 ⼭明⽔淸 ⽯奇花繁 有此美莊終⾝ ⼀朝卷歸于光州市楊林洞 ⼈莫知其故也 居無幾庚寅亂作 舊居之雲⻯⾥百餘⼾ 皆化焦⼟ 嚮⽈同隣之張三李四 皆爲劍頭寃魂 若⾮奇⼈不俟終⽇ ⽽作必隨其中矣 不惟⽐也 右建物亦爲獨存之靈光 ⼈以爲神 當戊戌之春 ⼜於府南⼭之顚 拓起⼟⽊ 不數⽉⽽告成 第⼀ 武光祠 配享 李忠武公 ⾦千鎰 ⾦德齡 鄭運 魯認 姜沆 宋希⽴ 七公 興起觀感第⼆ 醉醒院 延賓朋資燕嬉 第三 ⻱蓮菴 供禮 觀世⾳ ⻄⼭⼤師 泗溟堂之影 第四 ⾬花堂 居沙彌淸淨道場 第五 貞蘭室 啓虛菩薩修鍊最後 第六 ⽇⽉閣 藏圖書及國寶繙閱博識 第七 龍鳳院 育孤兒無告 馴致⽂明 第⼋ 烏⾸堂 招迎者宿討論古今 輦巖⽯筧 ⽔泉環築池臺 地勢兀兀落落 如移⼀仙境 放府中之半空 其江⼭之杳靄 市街之參差 眼欲窮⽽膏忽開也 猗歟韙哉 奇⼈ 平⽣⽤金如糞⼟ 療疾病 救窮之憐丐乞 興學校扶會社 布宮室享⻤神 安老少 其廣業崇德 果何如哉 旣⺒有良⼼ 窮⾏實踐 如此 以菲薄⾃奉 ⽽利⼈澤物之功 昭著遐邇 令名之無窮 眞可也 與范⽂正之宰相 相仲也 左記⼈⼠ 欲誇鄕産⽽奇績 ⻱將戴⽯ 放三塔之傍 徵余⽂ ⽂拙雖辭不獲 略擧梗槩 後之君⼦ 覽此⽽宜有以考焉 乃繫之以詩⽈
雲⻯欝盤 洞壑深寬
泉紅苔紫 沙碧松寒
篤⽣異⼈ 才良形端
遷居光州 倍勝⾵流
杏林慈航 花⽯名樓
豚肩不掩 節儉⾃修
祠祀諸公 挽⽇頹⾵
資⽗移居 ⾮孝曷忠
天應有報 昌⼤無窮
檀紀 四⼆九⼀年 戊戌 ⽉ ⽇ 完⼭ 李敎儀 撰

번역

천하에 재상을 바라나 허락하지 않은 즉 천하의 명의를 기대한다. 이는 그 존비가 비록 다르나 세상을구제하는 것은 같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 일찍이 이 말을 의심하였으나 지금 목격한 후로 그것이 거짓이 아니란 것을 알았다. 춘담기인 최병채는 통정대부 광수의 손자요, 경환의 아들이다. 선조는 신제이다.

선생은 천성이 자효하고 재기가 남보다 뛰어나 경사를 섭렵하고 의서를 좋아하여 의술을 알았으며 항시 병의 증세를 보고 약을 지었다. 문전성시를 이루어 가세의 잠광유덕을 열었으며 비석을 세우고 재각을 건립하였다. 이른바 망운각, 영월문, 취우정, 쌍훤교, 재천사 등 6, 7동을 합하여 30여칸이 즐비하게 마을에 잠겨있어서 산은 밝고 물은 맑고 돌은 기이하고 꽃은 번성하여 이처럼 아름답고 장엄한 곳에서 종신코자 했으나 갑자기 광주시 양림동으로 돌아가니 사람들은 그 까닭을 알지 못했다.

거주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경인란(6.25전쟁)이 일어나 옛 살던 운룡리 백여호가 모두 초토화되었다. 지난 번 마을의 보통 사람들이 다 칼끝의 원혼이 되어 만일 기인이 지체하고 떠나지 아니했다면 반드시 그 속에 들고 말았을 것임은 비할 바가 없다. 위 건물 또한 홀로 노나라의 영광전처럼 남았으니 사람들이 묘하다고 여겼다.
무술년 봄을 맞아 또 광주의 남산 끝자락에 토목사업을 넓혀 일으켜 몇 달 가지 않아 완성하니 제1 무광사로 이충무공 김천일 김덕령 정운 노인 강항 송희립 등 분연히 떨치고 일어난 7공을 배향하였다. 제2성원은 손님을 맞아 연회를 베푸는 곳이고, 제3 구연암은 관세음보살 서산대사 사명당의 영정을 공례한 곳이며, 제4 양화당은 사미가 거하는 청정도량이다. 제5 정난실은 보살이 전심으로 수련하는 곳이고, 제6일월각은 도서 및 귀한 자료들을 저장하는 곳이다. 제7 용봉원은 고아를 길러 순치하여 문명에 이르게 하는 곳이며, 제8 도수당은 초대한 자들과 밤새 고금을 토론하는 곳이다.

좋은 돌을 쌓고 주변에 연못을 둘러 파 지세가 빼어나서 마치 하나의 선경을 옮겨서 시내의 공중에 띄워 놓은 듯하다. 여기에서 보면 강산의 아득함과 시내의 아기자기한 모습을 눈으로 다 볼 수가 있어 마음이 활짝 열리는 듯하다.
아, 위대하다. 기인은 평생 돈을 분토같이 쓰면서 남의 질병을 치료하고 가난한 사람을 구제하고 걸인을 불쌍히 여겨 주고 학교를 세워 배우게 하고 회사를 도와주고 궁실을 지어 귀신을 향사하고 노소를 편안하게 하였으니 그 광업숭덕이 과연 어떠한가? 이미 어진 마음이 있어 궁행실천하기를 이같이 하였다.

이런 선한 마음으로 몸소 실천을 하고 자신은 검소하게 생활해 남에게 이로움을 베풀어 그 공덕이 멀고 가까운 데에 두루 드러나 훌륭한 이름이 한없이 나고 있으니 범문정공의 재상됨과 맞먹을 만하다. 고향사람이라  자랑하고자 하여 기적을 돌에 새겨서 삼탑 옆에 놓고자 내 글을 구하니 글이 졸렬하나 사양하지 못하고 대략 요점만을 들어 온전히 표현하지 못하지만 후의 군자들이 이를 보고 마땅히 살핌이 있으리라. 이어 시로써 말하기를,
雲⻯欝盤 洞壑深寬 운룡마을 울창한 곳에 동학은 깊고 넓어
泉紅苔紫 沙碧松寒 샘이 맑고 이끼 푸르니 모래 푸르고 소나무는 곧네.
篤⽣異⼈ 才良形端 하늘이 이인을 내니 재주 넘치고 몸이 단정하여
遷居光州 倍勝⾵流 광주로 이사하여 풍류는 배로 늘었네.
杏林慈航 花⽯名樓 의원으로서 자비를 베푸니 화석에 명루로다.
豚肩不掩 節儉⾃修 풍족히 먹지 않고 검소함을 스스로 다해
祠祀諸公 挽回頹⾵ 여러 성인을 제사지내며 퇴폐한 풍속을 만회하였네.
資⽗移居 ⾮孝曷忠 아버지 섬기기를 다하니 효 아니면 어찌 충성하리요.
天應有報 昌⼤無窮 하늘이 복을 내려 창대함은 끝이 없구나.
단기 4291년 무술년 완산 이교의 지음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