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213건)

“환희를 향한 시간과 기억의 미학”
‘점’이라는 조형 요소를 통해 인생의 찬란한 환희를 시각화한 정송규 화백의 개인전이 오는 4월 4일부터 5월 25일까지 무등현대미술관에서 열린다.이번 전시는 정 화백이 2001년부터 20여 년 넘게 이어온 대표 연작인 시리즈 중 주요 작품 100여점 중 29점을 엄선해 선보이는 자리이다.《Delight - 환희를 향한 시간과 기억
물(水)에서 피어난 소리, 40년 예술의 길을 묻다
“화폭 위로 흐르는 물결은 곧, 삶과 역사의 궤적이었다.”3월 28일(금) 오후 2시, 광주시립미술관 세미나실에서는 《송필용: 곧은 소리》 전시의 하나로 ‘작가와의 대화’ 자리를 마련했다. 주제는 “물의 사유로 귀착한 송필용 예술세계”이다.이번 대화의 중심에는 송필용 작가 본인은 물론, 그와 오랜 시간 예술적 맥락을 공
신학철 미술비평문: 시대와 역사를 그리는 거장의 예술세계
신학철은 한국 현대미술, 더 깊이 들어가면 역사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라 할 수 있다. 그의 작품은 한국 사회의 격동적인 근대사와 현대사 그리고 광주를 보다 깊이 있게 화면에 담아내며 시대를 살아가는 민중의 삶과 정서를 대변해왔다.광주시립미술관에서 열리는 《신학철_시대의 몽타주》 전시는 그의 방대한 작품 세계를
송필용 미술비평문: 역사의 굴곡과 땅과 물의 상징
송필용 작가는 한국의 비극적 현대사를 중심으로 민중의 삶과 역사를 탐구하며 독창적인 조형 언어를 구축해 온 예술가다. 그의 작품은 땅에서 물로 이어지는 상징적 전환을 통해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과 희망, 치유의 메시지를 전달한다.미술비평적 관점에서 그의 작업은 한국 미술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시대적
이방주(李邦柱)
이방주(李邦柱, 1542~1597)의 본관은 함평이며, 자는 임중(任重), 여경(汝擎), 중경(重卿)이다. 증조부는 이종우(李從愚),조부는 이정전(李庭荃), 부친은 성균진사(成均進士) 이준(李俊)이다. 첫째 부인은 송붕표(宋弸彪)의 딸 신평송씨(新平宋氏)이고, 둘째 부인은 송정수(宋廷秀)의 딸 홍주송씨(洪州宋氏)이다.이방주는 15
고경조(高敬祖)
고경조(高敬祖, 1528~?)의 본관은 장흥(長興)이며, 자는 이원(貽遠), 호는 구암(龜巖)이다. 조부는 형조좌랑(刑曹佐郎)을 지낸 고운(高雲), 부친은 고중영(高仲英)이고,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사촌이다. 김지달(金之達)의 딸인 영광김씨(靈光金氏)와의 사이에서 4남을 두었는데, 장남은 고성후(高成厚), 차
민종열 閔種烈 고종 30년(1893) 11월 20일∼고종 32년(1895) 7월 18일
민종열 閔種烈 고종 30년(1893) 11월 20일∼고종 32년(1895) 7월 18일민종열(1831∼1899)의 본관은 여흥(驪興)이며, 자는 무경(懋卿), 호는 지담(芝潭)이다. 아버지는 민승세(閔承世)이다. 1865년 식년시 생원에 합격하여 1869년 경릉참봉, 1871년 제용감 봉사·금부도사, 1873년 예빈시 직장, 1874년 형조좌랑, 1875년 형
이명중 李明中 영조 51년(1775) 3월 14일∼정조 즉위년(1776) 7월
이명중 李明中 영조 51년(1775) 3월 14일∼정조 즉위년(1776) 7월이명중(1712∼1789)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상경(尙褧)이다. 할아버지는 영의정 이유(李濡)이고, 아버지는 현감 이현응(李顯應)이며, 영의정 김재로(⾦在魯)의 사위이 다. 1755년 3월부터 1756년 5월까지 나주목사를 지낸 이시중(李時中)이 형이며, 이
이시중 李時中 영조 31년(1755) 3월 16일∼영조 32년(1756) 5월
이시중 李時中 영조 31년(1755) 3월 16일∼영조 32년(1756) 5월이시중(1707∼1777)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의백(宜⽩)이다. 할아버지는 영의정 이유(李濡)이고, 아버지는 현감 이현응(李顯應)이며, 어머니는 홍중기(洪重箕)의 딸이다. 1775년 3월부터 1776년 7월까지 나주목사로 재임한 이명중(李明中)이 동생이다.&n
박중규 朴重圭 숙종 30년(1704) 10월 2일∼숙종 33년(1707) 1월 22일
박중규 朴重圭 숙종 30년(1704) 10월 2일∼숙종 33년(1707) 1월 22일박중규(1652∼?)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자는 기경(器卿)이다. 아버지는 통훈대부 행평안도사 박천영(朴千榮)이다. 1675년 식년시 진사에 합격하여 1685년 금부도사·군자주 부·형조좌랑, 1686년 은율현감, 1687년 면천군수, 1690년 형조좌랑, 1693년 청주
이유겸 李有謙 효종 원년(1649) 8월 6일∼효종 1년(1650) 1월 12일
이유겸 李有謙 효종 원년(1649) 8월 6일∼효종 1년(1650) 1월 12일현감 이유겸(1586∼1663)의 본관은 우봉(⽜峯)이며, 자는 수익(受益), 호는 만회(晩悔) 이다. 할아버지는 관찰사 이지신(李之信), 아버지는 증 승지 이길(李劼)이다. 1623년 인조 즉위 후 직언하다 죄를 입은 유생으로 김효성 등과 함께 선정되어 6품을 부여받
이갱생 李更⽣ 인조 20년(1642) 10월 10일∼인조 23년(1645) 10월 18일
이갱생 李更⽣ 인조 20년(1642) 10월 10일∼인조 23년(1645) 10월 18일이갱생(1585∼1646)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숙향(叔向), 아버지는 승지에 추증된 이유(李綏)이다. 1623년에 김화현감, 1624년 소모관, 1631년 공조정랑, 1632년에 풍덕군수, 1635년 통훈대부 한성부 서윤, 1638년 청도군수, 1642년 인천도호부사,
조수준 趙守準 선조 31년(1598) 12월 25일∼선조 32년(1599) 8월
조수준 趙守準 선조 31년(1598) 12월 25일∼선조 32년(1599) 8월조수준(1544∼?)의 본관은 풍양(豐壤)이며, 자는 국균(國均)이다. 아버지는 과의교위(果 毅校尉) 조정권(趙廷權)이다. 1576년 식년시 생원으로 합격하였고, 1590년 증광시 문과에서 병과로 급제하였다. 1597년 병조좌랑, 문학, 병조정랑, 필선 등을 역임하였고,
윤우신 尹⼜新 선조 21년(1588) 4월 23일∼선조 22년(1589) 7월 28일
윤우신 尹⼜新 선조 21년(1588) 4월 23일∼선조 22년(1589) 7월 28일윤우신(1534∼1594)의 본관은 남원(南原)이고, 자는 선수(善修)이다. 할아버지는 목사 윤시영(尹時英)이고, 아버지는 영의정에 추증된 윤징(尹澄)이다. 1561년 식년시에 병과에 급제하였다. 아들 윤섬(尹暹)도 문과에 급제하였는데 임진왜란 때 전사하였다.
신일 ⾟馹 명종 20년(1565) 10월 2일∼명종 20년(1565) 10월 11일
신일 ⾟馹 명종 20년(1565) 10월 2일∼명종 20년(1565) 10월 11일신일(1508∼?)의 본관은 영산(靈⼭), 자는 치원(致遠), 호는 삼일당(三⼀堂)으로 아버지는 덕원교수를 지낸 신국균(⾟國鈞)이다. 1538년(중종 33) 별시 병과에 급제한 뒤 벼슬에 올랐다. 1560년 대구부사로 있을 때에 마음을 다해 구황을 하였다 하여 향표리 (
신영홍 申永洪 중종 16년(1521) 10월∼?
신영홍 申永洪 중종 16년(1521) 10월∼?신영홍(1469∼?)의 본관은 고령(⾼靈)이며, 자는 홍지(洪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장 (申檣)이고, 할아버지는 신숙주(申叔⾈)이며, 아버지는 고천군(⾼川君) 신정(申瀞)으로 그의 5대조부터 자신까지 모두 문과에 급제하였다. 1507년(중종 2) 증광시 문과에서 갑과 2등으로 급제하여
이유인 李有仁 성종 18년(1487) 4월 12일∼*성종 21년(1490) 6월
이유인 李有仁 성종 18년(1487) 4월 12일∼*성종 21년(1490) 6월이유인(?∼1492)의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산수(⼭叟), 거주지는 죽산(⽵⼭)이다. 아버 지는 낙안군수 이계번(李繼蕃), 형은 문과에 급제하고 전라감사를 지낸 이윤인이다.1447년(세종 29) 생원시에 합격하고 1459년(세조 5)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1465년 사간
권천 權踐 세종 5년(1423) 7월 19일∼세종 6년(1424) 10월 7일 상경
권천 權踐 세종 5년(1423) 7월 19일∼세종 6년(1424) 10월 7일 상경권천(?∼1431)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백수(伯修)이다. 아버지는 의정부찬성사(議政 府贊成事)를 지낸 권근(權近)이다. 4형제 중 맏이로, 동생 권제(權踶)는 장원급제하고 숭정대부에 올랐으며, 권규(權跬)는 1403년 태종의 셋째 딸 경안공주와 혼인하였
유유 柳濡 공양왕 14년(1365) 10월 29일 ∼ 공양왕 15년(1366) 1월 7일 상경
유유 柳濡 공양왕 14년(1365) 10월 29일 ∼ 공양왕 15년(1366) 1월 7일 상경유유(?∼?)의 본관은 문화(⽂化), 장령 유정(柳靖)의 장남이다. 『고려사』에 나주목사로 오기 전인 1363년(공민왕 12) 5월 26일(음)에 상주도병마사(尙州道兵⾺使)에 제수되었 다는 기록이 있다. 사육신의 한 사람인 유성원(柳誠源)의 증조부가 된다
곽인식(1919~1988) In Dialog, 소통의 여러 방식
유리가 깨졌나? 호기심이 든다. 유리가 깨진 것 같으면서 바탕을 철핀으로 마구 긁어놓은 듯 하다(〈작품 63-G〉, 1963). 도기도 깨졌는데? 너무 불에 구워서 가운데가 벌어진 것 같기도 한데 깨지지는 않았네(〈무제 1981〉, 1981). 아니 이것은 동판이 어디에 부딪혀 가운데가 찢어졌던 것인가?(〈작품 65-5-1〉, 1965).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