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보리종자를 더 나누어 줄 것을 순영(巡營)에 요청한 보고, 1766.9월 12일 -광주목사

보첩고(報牒攷)○영조(英祖) / 영조(英祖) 42년(1766)


첩보(牒報)하는 일. 본주(本州)의 농사가 거듭 흉년이 든 데다 금년의 농사까지 또 흉년이 든 바람에 여름부터 가을에 이르기까지 민간의 호구지책(糊口之策)이 오로지 보리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나누어 주어야 할 겉보리가 모두 7천 9백여 석에 불과합니다.  그 가운데 특히 심한 자만 각별히 정밀하게 뽑아서 조금씩 대여해 주어 황급한 형편을 구해 주었습니다. 그런데 나누어 줄 수량이 원래 넉넉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 남아 있는 것이 단지 2천여 석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지금 가을보리를 파종할 시기가 닥쳤으나 민간의 독이나 항아리에 있는 곡식이 이미 호구하느라 바닥이 나버리고 시장에서 곡물의 매매도 희귀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바람에 스스로 보리종자를 마련한 자는 열 명 중에 한두 명도 채 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보리종자를 나누어 줄 것을 청하는 하소연이 분분하니, 비록 십분 정밀하게 뽑아서 조금씩 나누어 주더라도 이 2천여 석 가지고는 경내에 응당 나누어줘야 가호에게 분배할 수 없습니다.

보리종자는 바로 명년 한 해를 이어갈 근본이니만큼 넉넉히 나누어 주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조정의 금령(禁令)이 지엄하여 목사(牧使)가 임의로 분배할 수 없어서 일이 매우 민망하기에 감히 민정(民情)을 거론하여 이와 같이 첩보하오니, 사또(使道)께서 민정을 참작하고 상량하여 본주의 창고에 유치해있는 겉보리 2천여 석을 특별히 더 분배해 줄 것을 허락해 주어 보리종자에 보태어 제때에 나누어 줄 수 있도록 해 주셨으면 합니다.

제사(題辭)

더 분배해 주는 것은 본주(本州)만 임의로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영문(營門)도 그러하니, 상고하여 시행해야 할 것이다.

호남 암행 어사(湖南暗行御史) 이경옥(李敬玉)의 서계(書啓 임금의 명을 실행한 신하가 결과를 보고하는 문서) 별단(別單 서계(書啓)나 장계(狀啓)와는 별도로 작성하여 올리는 문서)

신이 7월 초7일에 호남 6개 고을의 수재와 한재를 살펴본 일로 삼가 성상의 하교(下敎)를 받들고 본도(本道)로 달려가서 방방곡곡(坊坊曲曲)을 출몰하면서 두루 전지를 답사하여 농형(農形)을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그 결과  도내의 열읍(列邑)이 하나도 빠짐없이 균등하게 한재를 입었는데, 물 근원이 있는 곳을 제외하고 거의 다 황폐해졌습니다.

신이 처음 경유한 생읍(栍邑) 남원(南原)ㆍ임실(任實)ㆍ운봉(雲峰)ㆍ동복(同福)ㆍ능주(綾州)ㆍ창평(昌平) 및 연로의 여산(礪山)ㆍ전주(全州)ㆍ곡성(谷城)ㆍ순천(順天)ㆍ화순(和順)ㆍ광주(光州) 등의 고을로 논한다면 재해를 입은 천심(淺深)과 이앙의 다과(多寡)는 비록 저곳이 이곳보다 못하고 이곳이 저곳보다 나은 바가 없지 않았으나 이미 이앙한 것 가운데도 마른땅에 파종한 것과 늦게 이앙한 것의 구별이 있었으며, 한 들판의 안에서도 위에는 풍작이고 아래는 흉작의 다름이 있었습니다. 이를 통틀어 말한다면 이미 이앙한 수는 혹은 3분의 1정도 되기도 하고 혹은 5, 6분의 1, 2정도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런데 호미로 옮겨 심은 곳은 - 이하 약5행 판독 불가 -

일로(一路)의 여론이 모두 산협(山峽)의 지대가 연해안 지역보다 형편이 조금 낫다고는 하나 신이 경유하며 본 바로는 비록 협곡의 고을이라도 실농(失農)의 참담함이 이와 같으므로 연해안 여러 고을은 보지 않아도 미루어 알 수 있었습니다. 간혹 출도(出道)할 경우에는 촌락마다 수백 명씩 무리지어 나와 말을 에워싸고 읍소(泣訴)하기를, “금년의 흉년이 지난 신임년(辛壬年)보다 배나 더 심합니다. 지금은 그래도 콩잎이나 채소뿌리를 따서 연명할 길이 있기 때문에 백성이 더러 안도(安堵)하고 있습니다만 서리가 내려 풀이 말라버린 뒤에는 살 길이 막막하여 생활할 형세가 전혀 안됩니다. 그런데 삼세(三稅)와 환자(還上) 및 군포(軍布) 등을 재촉하는 각종의 영(令)이 내려 다시 독촉할 경우에는 사세상 뿔뿔이 흩어져 수렁으로 굴러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오직 바라건대, 돌아가 주상께 주달하여 군포를 견감해 주고 환자를 뒤로 연기해 주어 전부 쓰러져 죽는 지경에 이르지 않도록 해 주었으면 합니다.”라고 마지않고 누누이 말하였습니다.

가을을 당하여 민정이 이처럼 황급하니, 내년의 상황은 말하지 않아도 상상할 수 있으니, 백성을 구제하는 대책을  서둘러 정부로 하여금 속히 강구하여 백성이 수렁으로 굴러떨어지는 환난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였으면 합니다.

그리고 전주(全州)ㆍ익산(益山)ㆍ금구(金溝)ㆍㆍ만경(萬頃)ㆍ임피(臨陂)ㆍ옥구(沃溝)ㆍ함열(咸悅)ㆍ부안(扶安)ㆍ고부(古阜)ㆍ진도(珍島)ㆍ흥양(興陽)ㆍ용안(龍安) 등의 13개 고을은 신이 이하 판독 불가

[주-D001] 생읍(栍邑) : 추첨으로 뽑은 고을이라는 의미임.

[주-D002] 삼세(三稅) : 조선 후기 국가의 중요 재정 수입원이었던 3종의 부세(賦稅)로 전세(田稅)ㆍ대동미(大同米)ㆍ삼수미(三手米)를 가리킨다. 1결(結)에 전세미는 6두, 대동미는 12두, 삼수미는 1두 2승이었음.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