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158
게시물 검색 폼
  • 서강김용암모선기실비
    광주시 북구 두암동 837-1(두암사 내)1977년이 서강김용암모선기실비(瑞岡金容岩慕先紀實碑)는 윤정복(尹丁馥)이 글을 짓고 강인환(康仁煥)이 글씨를 쓰다.
    2018-11-12 | NO.98
  • 서봉광산김공덕규공적비
    광주시 북구 금곡동 배재1986년이 서봉광산김공덕규공적비(瑞峰光山金公德圭功績碑)는 이치 부락민 일동 건립했다.
    2018-11-13 | NO.97
  • 석곡면장최달석공덕불망비
    광주시 북구 망월동 668-3(동주민센터내)1920년이 석곡면장최달석공덕불망비(石谷面長崔達錫功德不忘碑)가 있다.
    2018-11-13 | NO.96
  • 석서김공상기위성기실비
    광주시 남구 노대동 707, 신기마을 양양재1981년이 김공상기위성기실비石西金公相基衛聖紀實碑는 남구 노대동 신기마을 뒤편 양양재(洋洋齋) 제각 한 편에 있다. 자흥 고운석高云錫이 찬하고 행주 기재섭이 글씨를 썼다. 1981년에 세웠다.
    2018-09-07 | NO.95
  • 석재이용세모선기적비
    광주시 동구 운림길 57-122012년이 석재이용세모선기적비는 충의사 옆 광산이씨 재각인 추원재 앞에 있다.
    2018-11-22 | NO.94
  • 석천김양태기공비
    광주시 북구 두암동 837-1(두암사 내)1979년이 석천김양태기공비(石泉金羊泰紀功碑)는 김형재(金亨在)가 짓고 위계도(魏啓道)가 글씨를 쓰다.日本祠 임원일동 건립하다.
    2018-11-12 | NO.93
  • 성균생원제주양공기적비
    광주시 북구 문흥동 995-4(느티나무공원 내)1967년이 성균생원제주양공기적비(成均生員濟州梁公紀蹟碑)는 呂昌鉉 짓고 梁守根 쓰다.
    2018-11-13 | NO.92
  • 성균진사석촌박선생기적비
    광주시 광산구 진곡동1974년成均進士石村朴先生紀績碑는 파평 윤정복이 짓고 전주 이학용이 쓰다.
    2018-12-02 | NO.91
  • 성산김윤문위선기실비
    광주시 북구 두암동 837-1(두암사 내)1977년이 성산김윤문위선기실비(聖山金允文爲先紀實碑)는 강인환(康仁煥)이 글을 짓고 글씨를 쓰다.
    2018-11-12 | NO.90
  • 성재최공홍진공적비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 1237-11963년이 성재최공홍진공적비(省齋崔公鴻鎭功績碑)는 1963년 계묘년에 양과제유지계원들이 건립했다. 대촌 양과동에서 포충사로 들어가는 큰길의 공예창작촌 입구 옆에 경운 박재룡비와 함께 세워져있다.공적의 내용은 주로 양과 저수지 축조에 공적을 세운 내용으로 되어 있다. 원문은 다음과 같다.省齋 崔公鴻鎭 功績碑往在⾟⺒年間 我東戰亂之厄會也 ⼈命糧穀 蒐括無遺 ⺠⽣塗炭 莫此爲甚 天且不⾬ ⾭草焦原 時則 慶州崔公鴻鎭 蹶然⽽起⾝ 擔⾯事 凡所以蠹⺠害物者 極⼒擠排 承洞⽗⽼之命 交涉當局 築良苽堤於⼱川上流 經始不幾⽉ 厥功告訖 ⽽旱魃不能逞其毒 洞⼈⼠ 恐其年久 ⽽泯其蹟 謀代⽯⽽表之 窃惟公 平⽇志⾼局宸 不欲以⼀善成名 況伐已功⽽誇於⼈ ⾮其素志也 雖然 ⼀飯之德 不敢忘 諸彛性之所同也 ⽽闔境⼈⺠⻝息笑語 其⾮攸賜則 吾等之欲揭 短碣⽽圖 不朽於百也 奚可已乎 遂書之 以⽰來後檀紀 四千⼆百九⼗六年 癸卯 ⼗⽉ 良苽堤維持契員⼀同竪檀紀四千二百九十六年癸卯十月 良苽堤維持契員一同堅번역지난 신사연간에 우리 동양은 전란의 재액을 만났다. 인명양곡을 수탈당해 남은 것이 없어서 민생이 도탄에 빠진 것이 이처럼 심함이 없었다. 가뭄이 심해 하늘 또한 비를 내리지 않아 초원이 불붙는 듯하고 도와주지 않을 때 경주 최홍진이 궐연히 일어나서 면의 일을 에서 백성들을 좀먹고 물건을 해치는 자를 극력 배제하고 부로의 명을 이어 당국과 교섭하여 건천의 상류에 양과제를 축조하였다. 이로부터 몇 달 안에 그 일을 마치고 가뭄에도 그 피해를 입지 아니하여 세월이 오래감에 그 공적이 인멸될까 걱정하여 돌을 깎아 표하기를 꾀하니 그윽이 생각하건대 오직 공의 평소 뜻이 높고 국량이 커서 하나의 선을 해도 이름을 드러내고자 아니하니 황차 자기 공을 자랑하여 남에게 과시함은 그 본래의 뜻이 아니라. 비록 그러나 조그만 은덕이라도 감히 잊지 않는 것이 모든 사람의 본성이라. 주민들이 먹고 쉬고 웃고 말하는 것이 그 공 아닌 것이 없으므로 우리가 작은 비석을 세워 백년토록 잊지 않게 함을 어찌 그만둘 수 있겠는가? 그리하여 사실을 써서 후세에 보임이라.단기 4296년 계묘 10월 양과제유지계원 일동 세움2018.11.26. 수정
    2018-06-11 | NO.89
  • 세심정사사적비
    광주시 동구 동구 운림길 57-15, 세심정사
    2018-11-22 | NO.88
  • 소암김공영철기적비
    남구 군분로77번길 26 (주월2동)소암김공영철기적비(紹菴金公永喆 紀績碑)는 난계정(蘭溪亭) 정자 경내에 있다. 난계정 정자의 주인인 광산김씨 난계(蘭溪) 김태석(金泰錫 1872 ~1933)은 지금의 광주시 남구 주월2동 월산마을(명지아파트 뒤)에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마을 주변이 소구릉의 야산으로 둘러진 곳에 자리하고 있다.  광주시의 남구 주월동과 서구 풍암동 사이의 노인(老人)고개라고 부르는 왼편이다.아들 김영철(金永喆)이 그의 유지(遺志)를 잇기 위해 일제강점기 때인 1938년에 이 정자를 지어 정자 이름을 난계정(蘭溪亭)이라 하였다. 난계정을 가는 길은 월산마을이 끝나는 곳에서 짚봉산 등산로와 갈라지는 첫길 왼편으로 오솔길 따라 100여m 가다 보면 뽕나무밭 뒤에 채소밭 보다 한 단 높은 곳에 창효각(彰孝閣)을 왼편으로 자리하고 있다.최근 이곳으로 지나가는 새 도로가 짓봉터널 아래편 미래로21병원에서 광주국제양궁장가지 뚫려 있어 오른 편 언덕을 바라보면 정자가 산 중턱에 있는 것이 보인다.
    2018-06-13 | NO.87
  • 소정김윤수선생 송덕비
     서구 용두동 734-31소정김윤수선생 송덕비는 용두동 봉학마을 들어가는 입구 쪽에 위치한다. 바로 인근에 고제철박사 공덕비가 있다. 소정 김윤수는 경주김씨 상촌공 제17대손으로 1920년 11월 15일 서구 용두동에서 출생했고 1959년 대전공과학원 측량과를 졸업했다.1981년 대한지적공사 광주시 서구 동구출장소장을 역임했다.비문의 글은 유현 장재철이 짓고, 글씨는 한내 이확성이 썼다.
    2018-05-30 | NO.86
  • 송강밀양박진옥기행비
    광주시 남구 행암동 273-2 1979년송강밀양박진옥기행비는 효천중앙교회 주차장 부근 이름없는 정자 앞에 있다. 1979년 나주 임채우의 글로 기록되어 있다. 박진옥은 도동마을 출신으로 자라 새마을지도자로 농지 및 도로 확장 등에 기여하였고 주거환경 개선에 이바지하여 마을주민들이 세운 것이다.
    2018-10-26 | NO.85
  • 송원고제철박사 공덕비
    광주시 북구 능안로 30(오치동 광주자연과학고) 2009년
    2018-12-10 | NO.84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