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82건)

남강정2 南江亭
광산구 첨단1동 (미산마을)   광산구 오룡동 미산마을 뒷산 정마봉停馬峰 아래 영산강이 바라보이는 곳에 임진왜란 이전 15세기 무렵에 도총부도사都摠府都事 등을 지낸 남강노어南江老漁 이몽린李夢麟이 지었던 정자가 있었다.정마봉은 모악(暮嶽) 권율(權慄 1537 ~ 1599)장군이 전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에 제수되
난계초당 蘭溪草堂 (난계정사)
남구 양과동 조선 중기의 문인,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난계 박종정朴宗挺(1555~1597)이 1576년 식년시에 진사 2등 21위로 합격했다. 뜻을 더해 송광사에서 열심히 공부했으나 건강이 좋지 않아 집에 돌아와 난계蘭溪라는 초당을 지었다. 당쟁에 가담하지 않고 자기 마음대로 자유롭고 마음 편히 살다 떠난 곳
남강정1 南康亭
남구 포충로 701 (원산동)   제봉산 하록에 있었다고 하는 남강정은 지금은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일설에는 참판 이시원(李始元)과 집의 이조원(李調元)이 여러 동생들과 참의인 하천 고운과 함께 계를 경영했다는 수계소修契所라는 기록도 있다. 옛날 그 자리에 황산사黃山祠의 강당인 숭의당崇義堂이 들어서
광풍정 光風亭
북구 석곡동 환학喚鶴 조여심(曺汝諶, 1518~1594)의 은거터로 그가 학문을 닦으며 유유자적했던 정자가 있다. 석곡동은 무등산 자락 북쪽에 위치한 무등산수박이 유명한 곳이다. 조여심은 학과 같이 살겠다는 뜻으로 스스로 호를 붙였다. 송순, 임억령 등과 같은 시대에 살면서 시우詩友로서 교유했던 서파 오도일이 “
관포당 灌圃堂
광산구 풍영정길 21 (신창동)풍영정을 지은 칠계 김언거金彦据(1503∼1584)의 아들 관포당灌圃堂 김광부金光符가 극랑강변 어딘가에 지어 지냈다. 김광부는 선무랑 군자감주부이다. 이황이 김언거에게 보낸 '기제관포정(寄題灌圃堂)'이란 시에  ‘관포당(灌圃堂)’이 나온다. 寄題灌圃堂 漆園傲吏離風塵 千載同歸漆水
강정 江亭
남구 구소동 (지석천)송암松巖 최응룡崔應龍(1537~1592)의 본관은 삭녕朔寧이며 자는사서士瑞, 별호는 충절忠節이다.통덕랑 강정 최경립의 아들로 남평 출신이다. 형조참판에 올랐지만 온갖 사화로 세상이 어지러워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낙향했다. 지석천 강변 소나무숲에 정자를 짓고 은거하며 책을 읽고 자연을 즐기며
고경명高敬命(1533~1592)
고경명(高敬命. 1533-1592)의 본관은 장흥. 자는 이순, 호는 제봉ㆍ태헌이다. 환갑의 나이, 임진왜란 때 6,000여 명의 의병을 이끌고 금산에서 왜적과 싸우다 순절해 광주의병의 첫머리에 오르내린다. 아버지는 대사간 맹영이다. 1552(명종7년)년 진사가 되고 1558년 식년문과에 장원했다. 공조좌랑ㆍ전적ㆍ정언
김덕령(金德齡)
임란 최후 의병장이자 조선의병 총수인 김덕령(1568∼1596)의 자는 경수(景樹)로 광산이다. 양녕대군의 장인인 한로(漢老)의 12세손이며 1470년 무렵 광주 서구 금호동에서 충효마을(당시, 석저촌)로 터를 옮긴 문손(文孫)은 그의 고조부이다. 1568년 12월 29일 붕변(鵬變)과 남평 반씨 3남 3녀 중 둘째아들로 석저촌(石底村)
김덕홍(金德弘)
김덕홍(1558∼1592)은 김덕령의 형이다. 호는 성암(省菴)으로 아우 덕령과 매형 김응회와 함께 우계 성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그는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덕령과 덕보 두 동생과 함께 어머니를 모셨는데 효우가 지극하였다.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거의의 뜻을 가지고 어머니께 하직하고 아루 김덕령과 함께 의병을 불러 모
포충사 / 褒忠祠
광주광역시 광산구 원산동 947-4(포충로767)고경명(高敬命), 고종후(高從厚), 고인후(高因厚) 3부자와 유팽로(柳彭老), 안영(安瑛)을 배향한 사우장의(掌議) 2인, 색장(色掌) 2인, 원생(院生) 20인이다.1601년 창건1601년(선조 34) 호남 유생들이 사우건립을 청하고, 광주 제봉산(霽峯山) 아래에 사당을 건립1603년(선조 36)
장흥고씨삼강문 / 長興高氏三綱門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촌 갑촌리 압촌동 마을 입구1595년 임진왜란 공신인 고경명 일가의 忠孝烈行의 뜻을 기리고자 유림들의 천거로 선조가 命旌, 문중에서 목조와가로 건립조선 중기의 문관·의병장인 고경명 일가삼강문옆에 문중 제각인 追遠閣이 있음長興 / 高敬命長興 / 高從厚長興 / 高因厚長興 / 高氏長興 / 高傳金光山
회재로
회재로는 전남 나주시 남평읍에서 지석천을 건너 서창방면 좌측 도로에서 바로 시작해 광주광역시 남구 독립로까지 이어진 15.534km 연장의 꽤 긴 도로다. 또 광주에서 나주로 가는 또 하나의 통로이기도 하다.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옛 광이리에서 1번지를 시작하는 회재로를 따라 달리다 보면 먼저 하얗게 무리지어 늘어
진정한 광주인, 박광옥
그때 회재 박광옥(朴光玉) 선생은 20여 년간의 관직에서 물러나 광주 집에 돌아와 있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파죽지세로 쳐들어오는 왜군에 경상도 상주가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듣는다.회재는 수레를 타고 달려가 광주목사 정윤우를 급히 만나 전라도 순찰사 이광에게 어서 가서 왜군을 막기 위해 북쪽 요새지 길목
하천 고운 묘역
광주시 남구 압촌동 산 23-1의병장 고경명의 조부 하천霞川 고운高雲 묘소로 가기 전에 재실 송산재松山齋가 있다. 고운(1479∼1530) 본관 장흥. 자 종룡從龍, 호 하천霞川이다. 그의 아들은 대사간 고맹영高孟英, 손자는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이다.묘역에는 2기의 묘가 앞뒤로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앞쪽 묘는&nbs
수촌 고정봉 묘역
광주시 남구 이장동수촌 고정봉⽔村 ⾼廷鳳(1743∼1822)의 묘역에 묘비는 정원용이 찬했다.髙廷鳳의 자는 鳴國이요, 호는 水村,  부친 髙暎과 모친 서산김씨 麒瑞의 딸 사이에서 1745년에 태어났다. 모친이 태몽에서 상서롭게 떠오르는 해를 안는 꿈을 꾸어 어려서의 이름은 ‘捧日’이라고 불렸다. 고정봉의 집안은 역대
월봉서원 묘정비
광주시 광산구 광곡길 133 너브실마을월봉서원 연혁과 고봉 기대승 선생의 행장 등을 기록한 묘정비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 1527~1572)을 기리는 월봉서원은 고봉 사후 7년만인 1578(선조 11)년 호남유생들의 공의로 지은 신룡동의 망천사(望川祠)로부터 비롯되었다.그 후 정유재란의 화로 피해를 입고 월봉산 아래
고원희가옥
광주시 남구 압촌길 68(압촌동)1917년남구 압촌동의 고씨삼강문과 추원각을 지나 오른쪽 길로 들어서면 솔숲을 배경으로 산기슭에 자리잡은 고원희 가옥이 있다. 고택에 못미쳐 작은 정자가 하나 있는데 이름하여 ‘파향정(把香亭)’이다. 정자 옆으로는 고원희 가옥과 담장 하나를 사이에 두고 콩문화센터가 있다. 대문채
해광송선생지천
광주시 북구 무등로 1040(화암동)이 해광송선생지천(海狂 宋先生支阡)은  《송자대전》과 《해광집》에는 海狂處士宋公墓表로 기록되었고, 이 해광송선생지천은 석곡수원지 위 관광도로 동쪽에 있던 묘비를 옮겼다.호남에는 옛날부터 으뜸가고 위대하며 어질고 뛰어난 선비들이 많았지만 그중에서도 세상을 잘못
고경명-蘆洲風颭雪漫空
蘆洲風颭雪漫空  갈대 섬에 바람이니 눈 흩날리고沽酒歸來繫短蓬  술 사사서 돌아와 뜸집에 배 매놓았네橫笛數聲江月白  몇 가락 피리소리, 강물에 달빛 밝아오고宿鳥飛起渚煙中  잠자던 새도 물가 안개 속에서 날아오르네임진왜란 당시  전라도 의병장인 전 동래 부사(東萊府使) 고경명(高
청심당 淸心堂
《광주읍지》(1879, 1924)에는 주의 서남쪽 30리에 있는 데 집의 청심당 이조원(李調元, 1433~1510)이 건립했다. 현재의 광주시 남구 구만산길 34, 광산이씨 상서공파의 여재각 옆에 있었다고 한다. 필문 이선제의 셋째아들이다. 아버지의 시묘를 마친 후 그 옆에 다시 이 당을 지어 그의 생활공간으로 활용한 건물이다. 청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