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김덕령(金德齡)

임란 최후 의병장이자 조선의병 총수인 김덕령(1568∼1596)의 자는 경수(景樹)로 광산이다. 양녕대군의 장인인 한로(漢老)의 12세손이며 1470년 무렵 광주 서구 금호동에서 충효마을(당시, 석저촌)로 터를 옮긴 문손(文孫)은 그의 고조부이다.

1568년 12월 29일 붕변(鵬變)과 남평 반씨 3남 3녀 중 둘째아들로 석저촌(石底村)에서 태어났다. 종조인 사촌(沙村) 김윤제(金允悌)로부터 공부를 시작하여 17세에 향해(鄕解, 초시)에 합격하고, 18세 때 담양에 사는 흥양이씨 부인과 혼인하였다. 20세 되던 해에는 형 덕홍과 자부(姊夫) 김응회(金應會)와 함께 우계 (牛溪)  성혼(成渾)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92년 4월 13일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6월 형 덕홍과 함께 고경명 막하에 들어가지만 어머님 봉양을 위해 다시 광주로 귀향 후, 주검동(鑄劒洞)에서 무기를 만들어 전쟁터로 보급하는 등 후방에서 관․의병 지원활동을 하였다.

김덕령(金德齡), 湖節2上-001-1, 光州, 壬辰, 忠勇將 -《호남절의록》(1799)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조선군이 대패함에 따라, 조정에서 호남에서 유능한 장수를 뽑아 경상도로 보내기로 하여 김덕령을 담양부사 이경린(李景麟)과 장성현감 이귀(李貴)가 추천하고, 전라도순찰사 이정암(李廷馣, 1541∼1600)의 조정에 천거가 있은 뒤, 12월 27일 분조인 전주 무과시험장에서 수많은 수험생들 앞에서 무예 시범을 보임으로써 국가와 백성들이 인정하는 장수가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곧바로 세자(광해군)로부터 익호장군(翼虎將軍)의 군호를 받고, 왕(선조)으로부터 충용군(忠勇軍)이란 호칭을 받게 된다.
1594년 1월 22일 담양을 출발하여 남원에서 도착하여 남원사람 최담령(崔聃齡)을 별장으로 삼고, 군사훈련을 시킨 다음, 함양, 산청을 거쳐 4월 초 진주 대곡면 대곡리에 도착하여 이곳에 진을 치고 있을 무렵, 왕의 특명으로 제도의 의병을 혁파하여 장군에게 예속시킴에 따라 조선의병의 총수가 된다.

그해 여름 진지를 대곡리에서 대여촌(현, 금산면 가방리)으로 진을 옮기고 군사 훈련에 박차를 가하면서 진주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월아산(482m) 정상에 목책을 설치하여 왜군의 침입에 대비하는가 하면 정상부근에 제무소를 두어 무기를 직접 만들기까지 하였다.
김덕령이 의병을 일으킨 시기는 강화교섭기로서 큰 전과는 없었지만, 고성․창원․정암진 전투의 전과를 통해 왜군이 진주 일원의 지역에 다시는 출현할 수 없도록 하여 결국 전라도를 온전히 보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1594년 9월, 곽재우․이순신․원균과 함께 참전한 수륙연합 장문포 해전에서의 별 전과를 거두지 못하자 도체찰사 윤두수가 체직되고, 김덕령 장군 또한 조정과 여러 사람들로부터 기대를 잃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만다.
1595년 12월, 김덕령은 엄격한 군율 적용하였다하여 살인죄로 체포 구금되지만 무고가 드러나, 왕의 특명으로 이듬해 2월 말 석방된다. 하지만 1596년 7월, 충청도에서 일어난 ‘이몽학의 난’에 연루되었다는 무고로 다시 잡혀가 옥에 갇혀 혹독한 고문을 당한 장군은 “충효로서 죽음을 삼은 죄밖에 없습니다.”라는 말을 남긴 채, 1596년 8월 21일 여섯 차례의 고문을 받은 끝에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고 만다.

당시 장군의 나이는 겨우 29세였다. 장군이 죽기 직전 옥중 생활의 심정을 한탄하면서 춘산곡 을 노래했는데 현대어로 풀어보면 다음과 같다.


봄철의 산에 불이 나니 피지도 못한 꽃들이 불이 붙어 다 타는구나.

저 산에 일어난 불은 물을 뿌려 끌 수 있지만

이 몸에 연기도 없는 불이 일어나니 이 불은 끌 물조차 없는 것을 한탄하노라.


이 노래는 억울한 누명을 내(연기)없는 불에 비유해 산불은 끌 수 있으나 자기의 몸속에 붙어 타오르고 있는 억울한 마음의 불은 끌 수 없음을 비유하여 한탄하는 의기가라 하겠다.
김덕령 장군이 억울하게 죽은 지 65년이 지난 1661년(현종 2) 왕의 특명으로 신원(伸寃)되었다. 이후 1668년(현종 9) 병조참의에 증직되고, 1681년(숙종 7) 병조판서로 가증되었다.

1785년(정조 9) 충장(忠壯)이란 시호(諡號)가 내려지고, 3년 뒤인 1788년(정조 12) ‘정려비와 충효리’를 하사한다.

1789년(정조 13) 또다시 종1품 관직인 좌찬성(左贊成)에 가증되었다. 


*《광주읍지(1879), 국역 김충장공유사(1979), 김덕령 평전(2006)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