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25건)

광주문화재단, 광주 명승 누정 9곳 총서 발간
마을과 자연 사이의 신선계와 같은 공간, 그곳은 누정이다. 산과 물이 있으며 하늘과 바위를 벗 삼아 세상을 의논하거나 시를 읊는 풍류의 장소이기도 하다.광주와 담양 사이에 자리한 9개의 누정들을 쉽게 접근해 읽을 수 있는 총서가 광주문화재단에서 나왔다. ‘광주문화재단 누정총서’(1∼6권)가 그것이다. 도서출판 심미
류평-서산류씨송암선생휘평묘갈명
광주시 광산구瑞山柳氏松庵先生諱玶墓碣銘은 남학교수 이재순 짓다.유평(柳玶, 1577∼1645)은 1577년 광주시 광산구 본덕동 창교에서 태어났다. 자는 화보(和甫)이고 호는 송암(松庵)이며, 서산인(瑞山人)으로 을사명신(乙巳名臣)인 광주 호가정 주인 설강(雪江) 유사(柳泗)의 손자이며, 금호(錦湖) 임형수(林亨秀)의 외손
해광송선생지천
광주시 북구 무등로 1040(화암동)이 해광송선생지천(海狂 宋先生支阡)은  《송자대전》과 《해광집》에는 海狂處士宋公墓表로 기록되었고, 이 해광송선생지천은 석곡수원지 위 관광도로 동쪽에 있던 묘비를 옮겼다.호남에는 옛날부터 으뜸가고 위대하며 어질고 뛰어난 선비들이 많았지만 그중에서도 세상을 잘못
김덕령-형조좌랑증좌찬성충장김공신도비명
광주시 북구 송강로 13(금곡동)2004년증 좌찬성 충장 김공 신도비(贈 左贊成 忠壯 金公 神道碑)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우리 선조(宣祖)께서 국운을 어루만지신 지 20여 년 만에 섬나라 왜적이 크게 방자하여 우리 8도의 백성(生靈)들을 짓밟자, 당시의 의사들이 갑옷 입은 말을 타고서 칼날과 살촉을 뚫고 중흥의 공적을 협
춘담기인 최병채기적
광주시 동구 학동 필문대로329번길 22(武光祠)1958년이 춘담기인 최병채기적(春潭奇人崔炳釵紀績)은 동구 학동 구 춘태여상 자리인 무광사(武光祠) 경내에 있다. 춘담 최병채春潭 崔炳釵(1907~1987)의 공적내용을 화강암에 음각하였다.최병채는 1907년 곡성군 석곡면 운룡리(현 순천시 주암면 운룡리)에서 부친 경환(炅奐)씨
충장공김덕령묘비
광주시 북구 금곡동 10231975년김덕령 묘비는  충장사 내에 있다. 김남중이 글을 짓고 김상필이 글씨를 써서 1975년에 세웠다.
무등산 김현승 시비 '눈물' 기단부 벌어져
 무등산 원효사 가는 길목에 있는 광주의 시인 다형 김현승 시비 '눈물'의 기단부가 크게 벌어져 시급히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광주 서구문화원(원장 정인서) 마을해설사반은 22일 임진왜란 당시 광주 의병 인물인 충장공 김덕령 장군의 충장사와 인근의 유적비와 시비 등 금석문 현장을 답사하는 과정에서 김현
유평(柳玶 : 1577~1645)
지난해도 봄바람 삼월 봄일 때  /한번 둘러 서로 봐 말로는 그려 이제처럼 또 바래 남쪽은 멀어 /예대로 수양버들 푸릇푸릇 나 去歲春風三月時 一回相見語相思 如今又向南天遠 依舊垂楊사명대사(四溟大師)가 송암(松庵) 유평(柳玶)과 헤어지며 이 시를 읊었다.유평(柳玶)은 1577년 설강 유사의 여섯째 아들인 아
김덕령 장군 연극 대본 집단창작 참가자 모집
*사진은 2013년도드리 창작국악단  김덕령장군 추모음악회 스틸 광주의 의병장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인  김덕령 장군에 대한 연극이 만들어진다. 광주 서구문화원(원장 정인서)은 2018문화예술강사 지원사업의 하나로 '나도 극작가! 나도 연기자!' 참가자를 모집한다.이 프로그램은 광주영상위원회가 신청한 '김덕
권필-취시가
聲閒于天  하늘에 대고 고요히 노래하니 忠貫日月  곧은 마음은 해와 달을 꿰뚫으네氣壯山河  기운은 산하에 넘쳐 醉歌於地  이 땅에 취하도록 노래하네 권필權鞸(1569~1612)은 본관은 안동. 자는 여장, 호는 석주.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술과 시를 즐기며 자유분방한 일생을 살았다. 동몽교관으로 추
김만식-暮向梨峴
幽尋弊屟趂凉霄  해진 나막신으로 그윽한 곳 찾으려 서늘한 하늘에 나아가暝入孤邨酒氣消  저물녘에야 외로운 마을에 드니 술기운이 사라지네.小雨纔晴殘水呴  가랑비 잠깐 개니 남은 물 뿜어대고 密雲初散遠峰孤  짙은 구름 막 흩어지니 먼 봉우리 외로워라老去賸逢連日醉  늙어 가며 넉넉한 만남
유평-折楊樓有感(樓卽募義廳)
亂離消息若難眞  난리의 소식이 진실을 알기 어려워仗義忘生問幾人  몇 사람 의를 위해 생명을 버렸던가遺散官軍爭棄甲  무너진 관군들 앞 다투어 병갑을 버리고智謀諸將競全身  지모있다는 장수들 목숨보전 급급했다望南漢日膓如裂  남한산 바라보면 창자가 찢어진 듯拱北辰時淚滿巾  북진을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홀로그램 콘텐츠 ‘번개맨’·‘덕령이’
광주에서도 홀로그램·VR 등의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를 만나볼 수 있다.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홀로그램 극장은 EBS 교육방송의 어린이 캐릭터 라이선스 보유사인 ㈜애드칸과 KT, 광주문화재단이 공동투자해 홀로그램 뮤지컬 ‘번개맨과 신비한 우주여행’ 제작에 돌입했다.  미디어놀이터 역시 빈센트 반 고흐
김함-찬성 김공함 신도비
광주시 북구 금곡동 산 164-1(충장사 주변)1830년이 유명조선국숭정대부판결사의정부예의찬성김공함신도비(有明朝鮮國崇政大夫判決事議政府禮義贊成金公瑊神道碑)는 金致洙 쓰다.<광주읍지>에 따르면 주(州)의 동쪽 20리의 거리인 배재(梨峙)마을에 있는 비석이다. 후손 면식(冕植)이 이를 세웠다. *瑊은 올돌 감, 또
김덕령은륜비-有明朝鮮國贈崇政大夫議政府左賛成謚忠壯行通政大夫承政院承㫖忠勇將軍金公德齡恩綸碑
광주시 북구 송강로 13(금곡동) 충장사 내1842년김덕령 은륜비각이 있고 그 안에 비석이 있다. 원래는 충효동 배재마을 899번지에 백비로 있었으나 나중에 목사 조철영이 이 사실을 알고 글을 새겨 충장사로 옮겼다.은륜비(恩綸碑)는 <광주읍지>에 따르면 주(州)의 동쪽 20리의 거리에 있는 빗돌로 명나라 영력(永曆)
김덕령-충효동정려비각(조선국증좌찬성충장공김덕령증정경부인흥양이씨충효지리)
광주시 북구 충효샘길 7(충효동)1789년충장공 김덕령 충효리비(忠孝里碑)는 <광주읍지>에 따르면 주(州)의 동쪽 30리에 있다.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고비(古碑名)로 朝鮮國 贈左贊成 忠壯公 金德齡 贈貞敬夫人 興陽李氏 忠孝之里충효동 정려비忠孝洞旌閭碑는 김덕령金德齡(1567-1596)과 그의 가족의 충효와 절개를 기
김만식-望光山舊墟
碧蘿小屋紫苔庭 凉雨初過病肺醒鶴老也同閒處啄 蟬淸最合靜中聽烏巾隨意雲相遂 白髮偏憐雪半零山外故人如問我 爲言家事付樵靑-난실유고(蘭室遺稿) 권1김만식(金晩植, 1845-1922)의 자는 사성(司晟)이며 호는 난실(蘭室)이다. 본관은 광산이다. 충장공 김덕령의 후손으로 광주 충효동에서 출생하였다. 고향에서 살면서  1
권율-도원수충장권공창의비
광주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 (광주공원內)행주산성 전투로 잘 알려진 권율 장군의 도원수충장권공창의비(都元帥忠莊權公倡義碑)는 사적비군 입구 은행나무 정중앙 앞자리에 자리하고 있다. 가장 갚진 비다. 권율 장군은 팔도 총사령관이었으며 광주목사와 도원수를 지내며 이순신 장군과 함께 육지는 권율, 바다는
벽진서원 복원 '위패봉안' 행사 7일 갖는다
벽진서원이 복원된다.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지 150년만의 일이다.벽진서원위패봉안추진위원회는 오는 7일 오전 11시 광주서 서구 풍암동 769-1번지에 회재 박광옥 선생의 영정을 모시고 있던 운리사 일대를 벽진서원으로 복원하는 행사를 갖는다.회재 박광옥 선생은 1526년 1월26일 광주 서구 매월
옥녀봉과 김덕령 장군의 사랑
풍암지구를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금당산金塘山은 해발 304m로 옥녀봉과 황새봉을 거느리고 있지요. 금당산에서는 일찍부터 옥녀봉과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인 충장공忠壯公 김덕령金德齡(1567∼1596) 장군 사이에 얽힌 설화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먼저 옥녀봉을 알면 이 이야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요. 풍암지구가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