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47건)

오지호(吳之湖 ; 1905~1983)
오지호(吳之湖 ; 1905~1983)는 화순 출신으로 인상주의 회화 양식을 우리 나라에 토착화시켜 구상화만을 고집하면서 독특한 회화세계를 보여준 우리 나라 현대 회화사의 선구적인 인물이다. 예술원종신회원이며, 국전심사위원장을 역임한 서양화의 원로였던 오지호는 망국을 재촉하는 을사조약이 체결된 직후인 1
전라도에 벼락이 쳐서 사람이 많이 죽다 - 인조 18년
전라도에 벼락이 쳐서 사람이 많이 죽다 - 인조 18년 경진(1640) 6월 21일(신미)        전라도 광주(光州)ㆍ태인(泰仁)ㆍ임피(臨陂)ㆍ영암(靈巖)ㆍ구례(求禮)ㆍ화순(和順) 등읍에 벼락이 쳐서 사람과 가축이 많이 죽었다.【원전】 35 집 92 면【분류】 과학-천기(天氣)
진인의 출현에 대한 변란의 조처 - 인조 6년
진인의 출현에 대한 변란의 조처 - 인조 6년 무진(1628) 12월 18일(갑진) 남원 사람 송광유(宋匡裕)가 언문으로 상변(上變)하기를,“전 좌랑 윤운구(尹雲衢)가 신과 친한데, 하루는 신에게 말하기를 ‘나라가 망하려고 하여 진인(眞人)이 이미 나왔다. 한 술서(術書)에 「하늘이 사람을 내렸으니 그 나라는 반드시 멸망할
왜노에게 침탈당한 도와 침범당하지 않는 도에 대한 상세한 기록 - 선조 26년
왜노에게 침탈당한 도와 침범당하지 않는 도에 대한 상세한 기록 - 선조 26년 계사(1593) 6월 5일(무자)        경략이 이자(移咨)하였는데 대략에,“본국의 팔도 중에 어느 도 어느 읍은 모두 왜노가 점거하였고, 어느 도는 침범당하였으며, 어느 도는 아직 침범받지 않았고, 어느 곳
상도ㆍ하도를 좌도ㆍ우도로 하고 소속 고을을 정하다 - 선조 2년
나주 부거 유생의 청에 따라 상도ㆍ하도를 좌도ㆍ우도로 하고 소속 고을을 정하다 - 선조 2년 기사(1569) 7월 13일(갑신)        나주(羅州)의 부거 유생(赴擧儒生)이, 상도(上道)ㆍ하도(下道)를 좌도(左道)ㆍ우도(右道)로 고쳐 줄 것을 청하니 감사(監司)가 따랐다. 좌도는 광주(光
오시에 태백이 신방에 나타나다 - 명종 7년
오시에 태백이 신방에 나타나다 - 명종 7년 임자(1552) 2월 14일(병인) 오시(午時)에 태백이 신방(申方)에 나타났다. 밤에 달무리가 졌다. 전라도 담양(潭陽)ㆍ나주(羅州)ㆍ광주(光州)ㆍ해남(海南)ㆍ임실(任實)ㆍ화순(和順)ㆍ고창(高敞)ㆍ진원(珍原)ㆍ무안(務安)에 5일 동안 흙비가 내렸다.【원전】 20 집 74 면【분류】
전라도 일부 지방에 새알만 한 우박이 내리다 - 중종 25년
충청도와 전라도 일부 지방에 새알만 한 우박이 내리다 - 중종 25년 경인(1530) 5월 15일(갑진)        충청도 괴산(槐山)에 비바람이 크게 불고 우박이 섞여 내렸는데, 우박의 크기는 새알만 했고, 쌓인 양은 5촌(寸)쯤이나 되었다. 보리와 밀에 피해가 있었고, 까치와 참새가 모두
전라도 일부가 지진으로 집이 흔들리다 - 중종 20년
경상도ㆍ전라도ㆍ충청도 일부가 지진으로 집이 흔들리다 - 중종 20년 을유(1525) 4월 5일(갑오) 경상도 진주(晉州)ㆍ창원(昌原)ㆍ산음(山陰)ㆍ밀양(密陽)ㆍ김해(金海)ㆍ양산(梁山)ㆍ합천(陜川)ㆍ함양(咸陽)ㆍ남해(南海)ㆍ안음(安陰)ㆍ거창(居昌)ㆍ진해(鎭海)ㆍ웅천(熊川)ㆍ사천(泗川)ㆍ언양(彦陽)ㆍ기장(機張)ㆍ영해(寧海
전라도에 뇌성 번개가 치다 - 중종 16년
전라도에 뇌성 번개와 강원도에 지진이 있다 - 중종 16년 신사(1521) 12월 22일(경자)       전라도 장성(長城)ㆍ광주(光州)ㆍ남평(南平)ㆍ낙안(樂安)ㆍ남원(南原)ㆍ나주(羅州)ㆍ담양(潭陽)ㆍ진원(珍原)ㆍ화순(和順)ㆍ해남(海南)에 큰 바람이 불고 비 오며 뇌성 번개를 했고, 강원도 간성(
광주 등지에 지진과 뇌동이 있다 - 중종 15년
전라도 능성ㆍ남평ㆍ화순ㆍ광주 등지에 지진과 뇌동이 있다 - 중종 15년 경진(1520) 12월 2일(병술)        전라도 능성(綾城)ㆍ남평(南平)ㆍ화순(和順)ㆍ광주(光州)ㆍ담양(潭陽)ㆍ장흥(長興)ㆍ강진(康津)ㆍ해남(海南)ㆍ동복(同福) 등 고을에 지진과 뇌동(雷動)이 있었다.【원전】 16
하책봉사 안처량이 최부의 일을 치계하다 - 성종 19년
하책봉사 안처량이 돌아오다가 요동에 이르러 통사를 보내어 치계하다 - 성종 19년 무신(1488) 4월 15일(무신)하책봉사(賀冊封使) 안처량(安處良)이 돌아오다가 요동(遼東)에 이르렀는데, 먼저 통사(通事)를 보내어 치계(馳啓)하기를,“신(臣)이 북경(北京)에 있으면서 지난 3월 16일에 상마연(上馬宴)을 한 뒤 20일에 통
우윤공이 부상한 사건에 대한 추국을 위해 이종호를 보내다 - 성종 18년
광주 판관 우윤공이 부상한 사건에 대한 추국을 위해 이종호를 보내다 - 성종 18년 정미(1487) 11월 13일(무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 이철견(李鐵堅)이 와서 아뢰기를,“광주 판관(光州判官) 우윤공(禹允功)은 신의 생질(甥姪)인데, 이달 초2일 밤2경(更)에 관아(官衙)
병조에서 하삼도의 군액 감소 계획을 올리니 받아 들이다 - 성종 3년
병조에서 하삼도의 군액 감소 계획을 올리니 받아 들이다 - 성종 3년 임진(1472) 2월 1일(무진)       병조(兵曹)에서 아뢰기를,“지난 번에 전지를 받으니, ‘제도의 군액(軍額)이 너무 많다. 병사는 많은 것보다 정한 것이 귀중하니, 재주를 시험하지 않은 군사는 그 수를 적당히 감하라.’
병조에서 군정의 감액할 수 등을 기록하여 아뢰다 - 성종 1년
병조에서 지금의 군액 및 분번할 수와 3도 군정의 감액할 수 등을 기록하여 아뢰다 - 성종 1년 경인(1470) 2월 30일(기묘)        병조(兵曹)에서 아뢰기를,“지금 전지를 받들건대, ‘국가가 태평한 지가 오래되니, 군액(軍額)이 점점 줄어 들었다. 세조(世祖)께서 국가 대계를 위하여
병조의 건의로 각도의 중익ㆍ좌익ㆍ우익을 혁파하고 거진(巨鎭)을 설치하다 - 세조 3년
병조의 건의로 각도의 중익ㆍ좌익ㆍ우익을 혁파하고 거진(巨鎭)을 설치하다 - 세조 3년 정축(1457) 10월 20일(경술)병조에서 아뢰기를,“이제 전지(傳旨)를 받들어 제도(諸道)의 중익(中翼)ㆍ좌익(左翼)ㆍ우익(右翼)을 혁파하고, 양탁(量度)하여 거진(巨鎭)을 설치하여, 소속된 바의 모든 고을을 마감하여 계문(啓聞)합니
의정부에서 도회소에서 만드는 군기의 일정 액수를 정하기를 청하다 - 단종 1년
의정부에서 여러 도의 도회소에서 만드는 군기의 일정 액수를 정하기를 청하다 - 단종 1년 계유(1453) 6월 9일(갑오)       의정부에서 병조(兵曹)의 정문(呈文)에 의거하여 아뢰기를,“전라도ㆍ경상도ㆍ충청도ㆍ강원도 등 여러 도(道)의 도회소(都會所)에서 만드는 군기(軍器)가 일정한 액
의정부에서 봄ㆍ가을에 1도의 1도회에서 염초를 구워내도록 아뢰다 - 문종 즉위년
의정부에서 봄ㆍ가을에 1도의 1도회에서 염초를 구워내도록 아뢰다 - 문종 즉위년 경오(1450) 9월 19일(경신)        의정부(議政府)에서 병조(兵曹)의 정장(呈狀)에 의거하여 아뢰기를,“군기감(軍器監)에서 염초(焰硝)를 구워 내는 방법은 이보다 먼저 각도(各道)에서 도회(都會)를
무진군(茂珍郡) - 세종실록 지리지
무진군(茂珍郡) - 세종시록 지리지 / 전라도 본래 백제의 무진주 도독(武珍州都督)이었는데, 【일명 노지(奴只)라고 한다.】 신라에서 백제를 차지하여 그대로 도독(都督)으로 하였고, 경덕왕(景德王) 16년 정유 【당나라 숙종(肅宗) 지덕(至德) 2년.】 에 무주 도독(武州都督)으로 고쳤다. 진성왕(眞聖王) 6년 임자 【
전라도(全羅道) - 세종실록 지리지
전라도(全羅道) - 세종실록 지리지 / 전라도 본래 백제의 땅이다. 의자왕(義慈王) 19년 경신에 【당나라 고종(高宗) 현경(顯慶) 5년.】 신라 태종왕(太宗王)이 당나라 장수 소정방(蘇定方)과 더불어 백제를 멸하고 드디어 그 땅을 합쳤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전주(全州)ㆍ무주(武州) 두 도독부(都督府)로 나누었다. 진
경상도와 전라도 일대에서 지진이 발생하다 - 세종 12년
경상도와 전라도 일대에서 지진이 발생하다 - 세종 12년 경술(1430) 4월 17일(정해)   경상도 <중략> 전라도 남원(南原)ㆍ익산(益山)ㆍ남평(南平)ㆍ담양(潭陽)ㆍ보성(寶城)ㆍ동복(同福)ㆍ능성(綾城)ㆍ흥덕(興德)ㆍ고흥(高興)ㆍ강진(康津)ㆍ순천(順天)ㆍ장성(長城)ㆍ영암(靈巖)ㆍ고창(高敞)ㆍ무장(茂長)ㆍ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