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마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병조에서 군정의 감액할 수 등을 기록하여 아뢰다 - 성종 1년

병조에서 지금의 군액 및 분번할 수와 3도 군정의 감액할 수 등을 기록하여 아뢰다 - 성종 1년 경인(1470) 2월 30일(기묘)       


병조(兵曹)에서 아뢰기를,
“지금 전지를 받들건대, ‘국가가 태평한 지가 오래되니, 군액(軍額)이 점점 줄어 들었다. 세조(世祖)께서 국가 대계를 위하여 대신을 보내어 한산(閑散)한 사람들을 찾아 모아서 군액을 보충하게 하였으나 초쇄(抄刷)할 때에 너무 상세한 것을 면치 못하였고, 백성들도 안일한 데에 습관이 되어 혹 도피하는 자가 있었다. 이로 말미암아 군보(軍保)가 충실하지 못하고, 번상(番上)이 빈삭하여 농사에 힘쓸 틈이 없어서 백성이 매우 괴롭게 여기니, 쓸데 없는 군사는 도태하여 버리고, 번차(番次)를 다시 정하여 군사와 백성을 유족하게 함으로써 세조의 군사를 족하게 하고 나라를 튼튼히 하는 뜻에 부합하게 하라.’ 하셨습니다. 신 등이 자세히 참고하건대, 제색(諸色)의 군사가 정한 액수가 너무 많아서 액수를 채우기가 쉽지 않고, 아울러 4번(番)으로 서로 교대하게 하니, 쉬는 날이 많지 않아서 점점 피폐(疲弊)하게 됩니다. 또 을유년에 충청도(忠淸道)ㆍ전라도(全羅道)ㆍ경상도(慶尙道)의 군사를 병적에 올릴 때에 밭[田] 5결(結)로 한 정부(丁夫)에 준(准)하고, 고공(雇工)ㆍ백정(白丁)을 아울러 계산하여 보(保)를 만들었으므로, 그 액수는 비록 많으나 이름만 있고 실상은 없으니, 고쳐서 새롭게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경기(京畿)ㆍ강원도(江原道)ㆍ황해도(黃海道)ㆍ평안도(平安道)ㆍ영안도(永安道) 등의 도는 그때 군안(軍案)을 미처 만들지 못하였는데, 전정(田丁)ㆍ고공(雇工)ㆍ백정(白丁)을 아울러 계산하는 법이 없었기 때문에 군사 액수의 많고 적은 것이 알맞으니, 마땅히 예전 그대로 하소서. 다만 위의 항목에 제도(諸道)ㆍ제읍(諸邑)의 군사는 정한 액수가 없으므로, 이것으로 인하여 번상(番上)이 가지런하지 못합니다. 지금 군액(軍額) 및 분번(分番)할 수와 3도(道) 군정(軍丁)의 감액(減額)할 수와 아울러 응당 행해야 할 사건을 가지고 개록(開錄)하여 아룁니다.

<중략>

전라도(全羅道)에 있어서, 창평(昌平)은 제색 군사가 4백인데 지금 3백 70으로 정하고, 곡성(谷城)은 4백 41인데 지금 4백 10으로 정하고, 함평(咸平)은 9백 16인데 지금 8백 80으로 정하고, 무장(茂長)은 1천 43인데 지금 1천 10으로 정하고, 남평(南平)은 5백 21인데 지금 4백 80으로 정하고, 무주(茂朱)는 3백 17인데 지금 2백 70으로 정하고, 광양(光陽)은 2백 59인데 지금 2백 20으로 정하고, 화순(和順)은 3백 37인데 지금 3백으로 정하고, 동복(同福)은 5백 29인데 지금 5백으로 정하고, 순천(順天)은 6백 55인데 지금 6백 30으로 정하고, 고산(高山)은 5백 79인데 지금 5백 40으로 정하고, 무안(務安)은 3백 5인데 지금 2백 80으로 정하고, 흥양(興陽)은 5백 19인데 지금 4백 71로 정하고, 진도(珍島)는 1백 98인데 지금 1백 80으로 정하고, 해남(海南)은 6백 46인데 지금 6백 10으로 정하고, 만경(萬頃)은 3백 78인데 지금 3백 30으로 정하고, 임피(臨陂)는 7백 69인데 지금 7백 20으로 정하고, 옥구(沃溝)는 4백 31인데 지금 3백 90으로 정하고, 임실(任實)은 7백 48인데 지금 7백 10으로 정하고, 영광(靈光)은 1천 1백 83인데 지금 1천 1백 50으로 정하고, 금구(金溝)는 4백 58인데 지금 4백 20으로 정하고, 운봉(雲峰)은 4백 26인데 지금 3백 80으로 정하고, 장흥(長興)은 8백 81인데 지금 8백 60으로 정하고, 고창(高敞)은 3백 95인데 지금 3백 60으로 정하고, 낙안(樂安)은 2백 29인데 지금 2백으로 정하고, 태인(泰仁)은 1천 1백 11인데 지금 1천 80으로 정하고, 광주(光州)는 9백 29인데 지금 9백으로 정하고, 고부(古阜)는 1천 1백 42인데 지금 1천 1백 12로 정하고, 진산(珍山)은 2백 50인데 지금 2백으로 정하고, 순창(淳昌)은 9백 30인데 지금 9백으로 정하고, 보성(寶城)은 6백 6인데 지금 5백 76으로 정하고, 정읍(井邑)은 4백 92인데 지금 4백 50으로 정하고, 강진(康津)은 1천 7인데 지금 9백 80으로 정하고, 흥덕(興德)은 4백 56인데 지금 4백 20으로 정하고, 구례(求禮)는 1백 57인데 지금 1백 20으로 정하고, 남원(南原)은 1천 8백 57인데 지금 1천 8백 30으로 정하고, 나주(羅州)는 1천 4백 15인데 지금 1천 3백 90으로 정하고, 영암(靈巖)은 2백 7인데 지금 1백 70으로 정하고, 전주(全州)는 1천 8백 91인데 지금 1천 8백 65로 정하고, 담양(潭陽)은 8백 10인데 지금 7백 75로 정하고, 진안(鎭安)은 4백 18인데 지금 3백 84로 정하고, 함열(咸悅)은 4백 36인데 지금 3백 90으로 정하고, 장성(長城)은 5백 14인데 지금 4백 70으로 정하고, 장수(長水)는 3백 78인데 지금 3백 30으로 정하고, 익산(益山)은 3백 82인데 지금 3백 30으로 정하고, 금산(錦山)은 6백 24인데 지금 지금 5백 90으로 정하고, 옥과(玉果)는 4백 29인데 지금 3백 90으로 정하고, 김제(金堤)는 9백 41인데 지금 9백 10으로 정하고, 부안(扶安)은 1천 1백 61인데 지금 1천 1백 30으로 정하고, 용담(龍潭)은 1백 14인데 지금 80으로 정하고, 용안(龍安)은 1백 64인데 지금 1백 19로 정하였습니다. 총계가 예전에는 3만 3천 6백 39였는데, 1천 9백 53을 줄이고, 지금 정한 것이 3만 1천 6백 86입니다.

<중략>

하니 그대로 따랐는데, 총계가 11만 4백 68이었다.


【원전】 8 집 473 면

【분류】 군사-군정(軍政) / 군사-군역(軍役)


[주-D001] 을유년 : 1465 세조 11년.
[주-D002] 보(保) : 봉족(奉足).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