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마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무진군(茂珍郡) - 세종실록 지리지

무진군(茂珍郡) - 세종시록 지리지 / 전라도

본래 백제의 무진주 도독(武珍州都督)이었는데, 【일명 노지(奴只)라고 한다.】 신라에서 백제를 차지하여 그대로 도독(都督)으로 하였고, 경덕왕(景德王) 16년 정유 【당나라 숙종(肅宗) 지덕(至德) 2년.】 에 무주 도독(武州都督)으로 고쳤다. 진성왕(眞聖王) 6년 임자 【당나라 소종(昭宗) 경복(景福) 원년.】 에 견훤(甄萱)이 무진주(武珍州)를 습격하여 빼앗아 웅거하고 후백제왕(後百濟王)이라 일컫다가 드디어 전주(全州)로 옮겼다.
견훤 20년 신미 【양(梁)나라 태조(太祖) 건화(乾化) 원년.】 에 후고려왕(後高麗王) 궁예(弓裔)가 고려 태조(太祖)를 정기 태감(精騎太監)으로 삼아서 뱃군사[舟師]를 거느리고 무진 지경을 공략하여 차지하게 하였는데, 성주(城主) 지훤(池萱)은 바로 견훤의 사위였으므로 견훤과 서로 응(應)하여 굳게 지키고 항복하지 아니하였다.
고려 태조 23년 경자 【진(晉)나라 고조(高祖) 천복(天福) 5년.】 에 이르러 광주(光州)로 고쳤고, 성종(成宗) 15년 병신 【송나라 태조(太祖) 지도(至道) 2년.】 에 광주 자사(光州刺史)로 강등하였고, 그 뒤에 또 해양 현령(海陽縣令)으로 강등하였다가 고종(高宗) 45년 무오 【송나라 이종(理宗) 보우(寶祐) 6년.】 에 공신(功臣) 김인준(金仁俊)의 외향(外鄕)이라 하여 지익주사(知翼州事)로 고쳤고, 뒤에 광주목(光州牧)으로 승격하였고, 충선왕(忠宣王) 원년 경술 【원나라 세조(世祖) 지대(至大) 3년.】 에 화평부(化平府)로 고쳤고, 공민왕(恭愍王) 11년 임인 【원나라 순제(順帝) 지정(至正) 22년.】 에 무진부(茂珍府)로 고쳤고, 【혜묘(惠廟)의 휘자(諱字)를 피하여 ‘무(武)’를 ‘무(茂)’자로 고쳤다.】 23년 갑인 【명나라 홍무(洪武) 7년.】 에 광주목으로 승격하였다.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는데, 금상(今上) 12년 경술에 읍(邑) 사람 노흥준(盧興俊)이 본주(本州) 목사(牧使)를 구타하였으므로 노흥준을 곤장을 때려 변방(邊方) 지방으로 유형시키고 그 가족도 이주시키고서, 군(郡)으로 강등하였다. 별호를 광산(光山), 또는 익양(翼陽)이라고 한다. 고속부곡(古屬部曲)이 2이니, 양과(良瓜)ㆍ경지(慶指)다.


진산(鎭山)은 무등(無等)이다. 【군의 동쪽에 있다.】 병로지 용당(幷老只龍堂) 【사전(祀典)에는 용진 연소(龍津衍所)라 하였는데, 봄ㆍ가을에 이 고을 관원이 제사를 지낸다.】 벽진도(碧津渡) 【군의 서쪽에 있다.】 거진도(巨津渡) 【군의 북쪽에 있다.】 사방 경계[四境]는 동쪽으로 창평(昌平)에 이르기 15리, 서쪽으로 나주(羅州)에 이르기 28리, 남쪽으로 화순(和順)에 이르기 14리, 북쪽으로 진원(珍原)에 이르기 24리이다.


호수가 8백 60호요, 인구가 4천 1백 82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75명이요, 영진군(營鎭軍)이 2백 69명이요, 선군이 5백 71명이요, 수성군(守城軍)이 8명이다.


토성(土姓)이 13이니, 탁(卓)ㆍ이(李)ㆍ김(金)ㆍ채(蔡)ㆍ노(盧)ㆍ장(張)ㆍ정(鄭)ㆍ박(朴)ㆍ진(陳)ㆍ허(許)ㆍ반(潘)ㆍ성(成)ㆍ승(承)이요, 촌성(村姓)이 1이니, 유(庾)요, 속성(續姓)이 4이니, 김(金) 【개성(開城).】 ㆍ정(程) 【금산(錦山).】 ㆍ신(申) 【고흥(高興).】 ㆍ최(崔) 【당진(唐津).】 이요, 【모두 향리(鄕吏)이다.】 양과(良瓜)ㆍ경지(慶旨)의 성은 모두 김(金)이요, 벽진도(碧津渡)의 망성(亡姓)이 1이니, 김(金)이다. 인물은 지첨의부사 시 문숙공 김주정(知僉議府事諡文肅公金周鼎)이니,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사람이요, 첨의정승 치사 시 문정공 김태현(僉議政丞致仕諡文正公金台鉉)이니, 충선왕(忠宣王) 때 사람이다.


땅이 메마르며, 【10분의 2이다.】 간전(墾田)이 1만 8백 80결이요, 【논이 조금 많다.】 토의(土宜)가 오곡ㆍ뽕나무ㆍ삼[麻]ㆍ목화ㆍ닥나무ㆍ왕골이다. 토공(土貢)이 표범가죽ㆍ여우가죽ㆍ삵괭이가죽ㆍ잘ㆍ족제비털[黃毛]ㆍ칠(漆)ㆍ등나무상자ㆍ대추ㆍ감ㆍ배[梨]ㆍ석류ㆍ모과ㆍ차(茶)ㆍ표고ㆍ꿀ㆍ밀[黃蠟]ㆍ자리ㆍ왕대요, 약재가 호라비좆뿌리[天門冬]ㆍ겨우살이풀뿌리[麥門冬]ㆍ연꽃술[蓮花蘂]ㆍ말린 새앙[乾薑]ㆍ패랭이꽃이삭[瞿麥穗]ㆍ흰매화열매[鹽梅實]ㆍ복령(茯苓)ㆍ모란뿌리껍질[牧丹皮]이다. 자기소가 1이요, 【군의 동쪽 이점(梨岾)에 있다.】 도기소가 1이다. 【군의 북쪽에 있다.】


읍 석성(邑石城) 【둘레가 9백 72보(步)이다.】 옛 내상 석성[古內廂石城] 【군의 서쪽에 있는데, 둘레가 6백 25보이다.】 무진 도독(武珍都督) 때의 옛 토성(土城) 【둘레가 2천 5백 60보(步)이다.】 역(驛)이 2이니, 경양(景陽)ㆍ선암(仙巖)이다. 예전에 진원역(鎭原驛)이 있었는데, 본조 태종(太宗) 17년 정유에 내상(內廂)을 강진(康津)에 옮길 때 아울러 옮겼다.


이상한 일[靈異]. 지정(至正) 원년 신사 【충혜왕(忠惠王) 복위 2년.】 에 동정 원수(東征元帥) 김주정(金周鼎)이 각 고을의 성황신(城隍神)에 제사지냈는데, 다니며 이름을 부르면 신령한 일이 나타났으니, 군(郡)의 성황(城隍) 가운데 둑(纛)의 방울[鈴]을 흔든 것이 셋이었으므로, 두루 조정에 함께 보고하여 작(爵)을 봉(封)하였다. 무등산(無等山) 꼭대기에 줄바위가 수십 개 있는데, 삐죽하게 선 것이 높이가 백여 자나 된다. 그 산이 오래 가물다가 비가 오려고 하거나 장차 개려고 할 때에는 우뢰 소리 같이 우는 소리가 자주 나는데, 수십리에까지 들린다. 또 읍의 남쪽에 큰 나무가 있어서 이름을, ‘활나무[弓樹]’라고 하는데, 가지와 줄기가 오래되고 울창하여, 둘레가 19자쯤 되고, 높이가 70자쯤 된다. 해마다 봄철이 되어 여러 나무가 잎이 나기 전에 먼저 잎이 나면 그 해에 흉년이 들 징조이며, 여러 나무가 이미 활짝 피었는데도 이 나무가 잎이 나지 않거나 혹 느즈막하게 가지런히 나면 그 해에 풍년이 들 징조이며, 혹은 나무의 네면과ㆍ위ㆍ아래가 가지런하지 않게 잎이 나도 또한 풍년이 들 징조라고 한다. 성중(城中) 사람들이 대개 이것으로써 한 해의 풍년ㆍ흉년을 점치는데, 그 일이 여러번 들어 맞았다.


【원전】 5 집 665 면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