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599건)

광주가 올여름 유난히 뜨거운 이유
광주 사람들은 올 여름 예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뜨거운’ 시간을 보냈다. 내년 여름도 올해보다 더 뜨거울 것이라고 한다. 연일 40도에 가까웠던 폭염이라면 내년에는 한두달쯤 어디론가 탈출하고 싶다는 게 지역민들의 꿈이 될 정도다.이렇게 뜨거운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이상기후일 수도 있고 지나친 도시화로 인해
고광선-掩耳齋原韻
結盧掩耳洞  엄이동 골짜기에 띠집을 지어 놓으니 日與洞雲隣  날마다 골짜기는 구름과 이웃 하오明月寒泉夜  밤이면 밝은 달 찬 샘물에 뜨고 流霞孤島晨  새벽이면 외로운 섬에 노을 흐르네.巖間垂死跡  바위틈에 죽은 자취 드리우는데 世外一遺民  나라 잃고 세상 등진 백성의 모습이라不道
오횡묵-光州皇華樓下有吟
皇華樓畔縟儀雍  황화루 가에 성대한 위의가 화락하니稽首微臣懍所鍾  미천한 신하 두려움으로 머리 조아리네榮寵忝叨新拜職  외람된 총애를 받아 새 직책 받았으나愚痴長似舊時容  어리석음은 늘 예전의 모습과 같구나計程麗郡三舂近  여수군 여정을 헤아리니 근 300리 길赴莅政堂八日庸 
고경명- 경양 모정에서 국보를 위해(景陽茅亭 國保請賦 時爲察訪)
客久同吾土 떠도는 신세 어디고 다 고향같지官閑似馬曹 일 없는 관직 마조보다 한적하구나郊墟紆井邑 넓은 들판은 정읍으로 통했는데亭沼面林皐 한 모퉁이 모정이 아담하네頓覺襟靈爽 문득 기분이 상쾌함을 느끼고深嗟意匠高 구상의 높음을 깊이 감탄하네紛紛坐馳者 분분하게 저 좌치만 일삼는 이는 終歲不知勞 죽을 때까지
학정서예연구원, 제 37회 세계청소년서예대전 작품 공모
청소년들에게 우리 서예의 우수성과 멋을 알리기 위한 제 37회 세계 청소년서예대전 공모가 실시된다.세계청소년서예대전은 사)학정서예연우회가 주최하고 학정서예연구원이 주관한다. 19세 미만의 청소년이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며 국한문 모두 가능하다. 작품의 규격은 화선지 2분의 1사이즈(가로 35 ×세로 1
윤지화(尹之和)
조선 전기의 문신 남촌(南村) 윤지화(尹之和 1476~1558)의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순경(順卿)이다. 현감(縣監) 윤응(尹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봉상시(判奉常寺事) 윤기견(尹起畎) 또는 윤기무(尹起畝)이다. 연산군의 외삼촌인 참판(參判) 윤구(尹遘)의 아들이자, 첨정(僉正) 윤지임(尹之任)의 동
고제림-到元曉寺
十里山行境復佳  십 리 산행(山行)에 경계는 다시 아름다워 雨中元曉夕陽崖  빗속의 원효사(元曉寺) 석양 끝에 이르렀네白雪守壑如相護  흰 눈은 골짝 지켜 서로를 보호하는 듯/瑞石齊天此可階  상서로운 바위 하늘에 가지런히 섬돌 될 만하네遠客靑藜三日是  먼 손님의 푸른 지팡이 삼 일
임영-풍영정경차죽음선생운(風詠亭敬次竹陰先生韻)- 창계집 제2권
임영-풍영정경차죽음선생운(風詠亭敬次竹陰先生韻)- 창계집 제2권 : 창계(滄溪) 임영(林泳, 1649~1696)客行未可發  나그네 아직 길을 나서지 못함은 江雨復今夕  강에 비가 오늘 저녁 다시 내림일세名亭佳麗地  이름난 정자 아 름다운 풍광 속에 一醉如有約  약속이나 한 듯 한번 취해 보노라窓前白玉樹
홍명하-황룡강에서
夕陽無語對黃花  해질 무렵  말없이 국화를 보노라니秋水龍江渡一槎  가을 짙은 용강에 배 한 척 지나가네先我松翁知出處  송옹은 나보다 먼저 출처를 알았나 보다至今詩禮子孫家  지금도 자손들이 시와 예로 살고 있네조선 후기 삼정승에 오른 홍명하(洪命夏 1608선조 41~1668 현종 9)가
최원우-제무진객사(題茂珍客舍)
脩竹家家翡翠啼  대수풀 집집마다 비취가 우는데雨催寒食水生溪  비는 한식을 재촉해 시내에 물이 나네 蒼苔小草官橋路  푸른 이끼와 잔 풀이 돋은 관교의 길에  怕見殘紅入馬蹄  쇠잔한 꽃이 말발굽에 들어가는 것을 볼까 두려워한다고려 문신이요 1326년(충숙왕 13)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
정인서 문화비평10. 광주아트페어 왜?
광주아트페어는 올해 참 힘들 것 같다. 이제 4개월여 남았는데 아직도 조직을 제대로 꾸리지 못했으니 염려된다는 것이다. 이렇게까지 광주아트페어가 어려워진 배경에는 광주광역시와 한국미술협회광주광역시지회(광주미협)의 책임이 크다. 기본적으로 광주시가 늦게 공모절차를 밟았고 미협은 우왕좌왕했다.이 정도의 규모
재명석등(在銘石燈)
광주시 동구 광산동 13번지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호석등롱(石燈籠)은 광주 성내면(城內面)에 있던 고비명(古碑名)이다. 남내리(南內里)에 소재하고 신라시대 유물이다.  옛 광주 읍성 남문안의 대황사터에 있었던 석등이다.8각 기둥에 "무진년에 임금이 오래 살고 나라가 편안하기를 바라며 세웠다."
정인서 문화비평7. 518타워 필요할까?
5.18타워 건립을 놓고 말들이 많다. 결론부터 말한다면 건립해도 좋을 듯싶다. 518타워를 괴물로 보거나 대형 공사로만 생각하지 말고 광주의 미래와 광주정신을 살릴 수 있는 광주의 상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518타워의 장소이고 무엇을 그 안에 담아내느냐는 운용적인 문제이다. 세계의 큰 도시에는 대부
전상의 장군 예장석묘(묘비)
광주시 북구 화암동 산239전상의장군예장석묘(全尙毅將軍禮葬石墓)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전상의(1575∼1627)의 장군의 묘소이다.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3호이다. . 장군은 선조 36년(1603)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을 첫 벼슬로 내외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인조 3년(1625)에는 구성부사로서 좌영장을 겸하였다. 광해군
정인서 문화비평6. 선거캠프의 논공행상과 제 옷 입기
오늘 취임하는 광주광역시장과 5개 구청장에게 축하의 박수를 보낸다. 정말 힘든 여정을 거쳐 오늘의 영광스러운 자리에 올라 가문의 영광이 되고 길이 역사에 남을 것이다. 그런가하면 우리 지역의 앞날을 생각해야 하고 발전을 책임져야 하는 중차대한 과제를 지금부터 떠안아야 하기 때문에 미리 그 노고에 대해 위로의
정인서 문화비평4. 광주생명문학관을 제안한다
오랫동안 광주문학관 건립을 놓고 설왕설래만 하다 시간을 보냈다. 2010년 광주시가 용역 의뢰한 ‘용아.다형 문학관 건립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이라는 보고서가 나온 뒤 강운태 시장, 윤장현 시장을 거치면서 방향을 잡지 못했다.이번 민선7기 이용섭호의 문화공약 가운데 문학유산 계승 및 문학인들의 창작 지원을 위한
서구문화원 올들어 공모사업 3건 1억2천만원 선정
광주 서구문화원(원장 정인서)이 올들어 연달아 3건의 인문공모사업에 선정되어 1억2천1백만원을 지원받아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창달 사업에 기여하게 됐다.서구문화원은 27일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 발표한 2018년 인문활동가 양성 파견사업에 교육강연형과 기획운영형에 각각 선정되어 8월부터 6개월동안 2100만원의
금호최공원택실적비
광주시 광산구 산월로21번길 26 (무양서원)1934년금호최공원택실적비(錦湖崔公元澤實績碑)는 무양서원 앞에 있다. 최원택(崔元澤)의 자는 도경(道京), 호는 금호(錦湖), 본은 탐진이며 벼슬은 참봉, 1862년(임술)생이다.이 비는 1934년(단기 4267년) 2월에 전 가의대부이조참판겸동지 경연의금부춘추관성균관사 규장각
제27회 광주무용제, 30일 아시아문화전당 광장 열려
제27회 광주무용제가 오는 30일 오후 7시 아시아문화전당 분수대야외무대에서 열린다. 한국무용협회 광주광역시지회(지회장 이영애)가 주최하는 이번 대회에는 현대무용의 홍동리무용단, 비상무용단, 한국무용의 서영무용단과 광주뿌리무용단 등 4개팀이 참여한다. 홍동리무용단 ’의 ‘시간의 그늘’(안무:홍동리)은 인간이
호국무공수훈자전공비
광주시 남구 양림동 108-102002년사직공원에 있다. 2002년 11월 5일에 세운 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지난 1950년 6.25전쟁 때 조국을 지켰으며 이역만리 월남전에서 세계의 십자군으로 국위를 선양한 무공수훈자들의 충절은 민족의 역사와 더불어 영원히 빛날 것입니다. 이제 우리는 전쟁으로 점철된 20세기를 보내고 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