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599건)

만귀정시사창립기념비
일제강점기에 결성된 시회, 만귀정시사 당시 만귀정에서는 멋스러움을 한시로 읊으며 세상을 논하는 시회가 결성되었다. 1939년 송광세(宋光世)가 지은 <만귀정시사창립기념비>가 세워져 있는데, 이 비문의 내용을 통해 1939년경 '만귀정시사(晩歸亭詩社)'라는 시회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만귀정은 현재 광주광역시
정인서 문화비평 39, 옛 전남도청, 복원일까 재현일까?
1980년 광주5·18민주화운동의 상징이며 최후 항전지였던 옛 전남도청을 복원한다고 한다. 건물을 복원하는 것도 의미는 있지만 여기에 덧붙여 5·18 당시의 시민군의 항전 모습을 함께 재현한다는 계획도 들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조화가 이루어진다면 5·18세대는 물론 5·18 이후의 세대들에게 공감을 주고 역사를 기
서구 공원활동가 모집 3월 22일까지
광주광역시 서구 공고 제2019-373호광주광역시 서구청에서는 아이들이 재미있고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는 공원을 만들기 위해 『우리동네 공원에서 놀자!』프로그램에 함께할 열정적인 공원활동가를 아래와 같이 모집하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2019년  3월  13일광주광역시서구청장2019년 “우
고령친화도시 지정 위해 조례 제정
광주 서구(구청장 서대석)가 WHO(세계보건기구) 고령친화도시 지정을  위해 조례 제정 등 본격적인 발걸음에 나섰다.지난 2월 서구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제도적 근거 마련을 위해 ‘광주광역시 서구 고령친화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조례는 3월 중 공포,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다.이번에 제정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잘 되고 있나?"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특별법에 따른 문화도시 개발사업이 오는 2023년까지 불과 4년여 남은 시점에 그간의 성과를 총점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광주광역시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관련 사업을 매년 점검하고 연차별 실시계획 등을 내놓고는 있지만 아직도 한국문화기술(CT)연구원 등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데다 지역인
정인서 문화비평 38, '작당'해야 할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작당하다’라는 말이 있다. 대개 ‘작당’은 안좋은 의미로 사용하지만 꼭 그렇게만 생각하고 싶지 않다. 작당은 한자어로 ‘作黨’이라 쓰는데 이는 한 패의 무리를 이룬 경우를 말한다. 이런 사례는 정치적 견해가 같은 사람들끼리 당을 만드는 결당(結黨)과 같은 의미이다.정당은 국민을 위해서 정치적 봉사를 하려고 모인 사
'제1회 광주광역시 창작희곡 공모 요강' 발표
올해 11월에 열릴 예정인 광주시민연극제는 광주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한바탕 연극마당을 열 예정이다.이에 앞서 광주 서구문화원(원장 정인서)은 광주의 수많은 역사 문화자원과 다양한 이야기들을 연극으로 펼쳐내기 위한 ‘제1회 광주광역시 창작희곡 공모 요강’을 발표했다.올해 제5회째를 맞이한 광주시민연극제가 지역
광주 서구, 평생학습 프로그램 지원 사업 공모
인문학 활성화 지원, 장애인대상 프로그램 지원, 다문화 여성 외국어강사 양성 등 광주 서구(구청장 서대석)가 2월 26일까지 평생교육 기관‧단체 및 동아리 등을 대상으로‘2019년도 평생학습 프로그램 지원 사업’을 공모한다. 우수 프로그램을 지원함으로써 주민들에게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열린 평생학습 문화를 조
제39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행사 슬로건 공모
*2018년 오월 슬로건 포스터광주광역시는 제39주년을 맞는 5·18민주화운동 기념행사의 슬로건을 22일까지 공모한다고 밝혔다.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이하 ‘5·18행사위’)는 이번 기념행사의 기조와 방향을 ▲5·18민중항쟁 역사적 의의와 현재적 가치 ▲5·18진상규명, 책임자처벌, 옛 전남도청 복원 등 오월현안 해결 ▲한반
정인서 문화비평 36, 교통문화지수 특광역시 1위 ‘통계의 맹점!’
교통문화지수가 14위에서 2위로 껑충 올라간 도시가 있다. 바로 광주다. 반가운 소식에 깜짝 놀랐다.특별히 교통문화 캠페인을 대대적으로 벌인 것도 아닌데 이처럼 지수가 큰 폭으로 올라갔다니 박수 치고 환영할 일이다. 광주 시민의 교통문화지수가 높아진 일에 고맙기 그지 없다.이처럼 교통문화지수가 단 1년만에 급격
이용섭 광주시장, 민선7기 품격있는 문화도시 만들겠다
이용섭 광주시장이 23일 민선7를 이끌어갈 품격있는 문화도시 광주 정책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오른쪽은 이병훈 문화경제부시장, 왼쪽은 박향 문화관광체육실장이 배석했다.광주시가 '문화도시 광주'를 기치로 내걸고 야심찬 문화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그동안 강운태 시장과 윤장현 시장도 임기 초에 문화를 살리겠다
정인서 문화비평 31, ‘광주학’ 문화도시 광주의 미래
문화도시 광주라는 이름값을 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당연히 광주를 주제로 콘텐츠화 할 수 있는 다양한 자원들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는 일이다. 이러한 자원이 될만한 자료들은 사실 무궁무진하다. 그래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지도 막막할 수 있다.그렇다고 포기할 일은 아니다. 시간을 갖고 순차적으로 하면 될 일이다
이기손-금재 이기손 장군 건립사실기
광주시 광산구 송정공원로 8-13, 송정공원李起巽將軍義積碑建立事實記 李起巽, 1877~1957현 주소: 광주광역시 광산구 북산동 109번지 옛 주소 : 전남 광산군 본량면 북산리 110 사적지 : 한말 의병장 이기손의 생가터 이기손은 오준선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익히고 국운이 쇄하자 구국운동에 나섰다.1907년 황제 폐위 및
이경채-독립운동가 이경채선생 공적비
광주 광산구 (송정동초등학교)광주학생독립운동을 잉태하고, 일본과 중국에서 항일투쟁을 벌인 독립운동가 이경채(1910~1978) 선생의 공적비 제막식이 2017년 5월 30일 송정동초등학교에서 열렸다. 송정동초는 이 선생의 모교로 그가 타개한 지 39년 만에 공적비가 세워졌다.광주학생운동에 불을 붙이다이경채는 인쇄한
김승완-대하 김승완 박사공적비
광주시 북구 동문대로112번길 99(장렬사 내)2015년대하 김승완 모선공적비조상을 숭상하고 종족이 돈목함은 효의 근본이다. 김해인 김승완은 호가 대하이니 가락국 수로대왕의 73세손으로 담양군 고서면 해평리에서 민선면장을 지낸 휘 대성의 1남2녀중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임채갑을 배우자로 맞이하여 슬하에 2남2녀를 두
오남재(吾南齋)
광주시 광산구 임곡용동길 1661560년오남재는 광산구 신룡동 용동마을로 고봉의 부친인 물재物齋 기진奇進(1487~1555)이 동생 복재 기준奇遵(1492~1521)의 기묘사화로 인한 죽음에 서울 생활에 회의를 느끼고 남쪽인 이곳에 처음 내려와 살던 곳이다. 기진은 조선 전기 문인으로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자순子順
조언수-증병조참판조공언수비명
광주시 광산구 명도동순의원종증병조참판조공언수비명殉義原從勳贈兵曹參判曺公彦壽碑銘은 월성 최영조가 짓다.1592년 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서 의병으로 왜적과 싸우다가 순절했다. 호남절의록에 올라 있다.창녕조씨삼강정려(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8호)에 충에 해당한다.
화암사묘정비
광주 광산구 삼도가산안길 3-4 가산마을花巖祠廟庭碑는 진성 이원영 짓고 성주 이백순 쓰다.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 가산마을에 있으며 숭절당(崇節堂)이 있고, 입구에 화암사묘정비(崇節當花巖祠墓庭碑)가 세워져 있다
유애서원 묘정비
광주시 광산구 용아로 460(경장각)유애서원은 광산구 흑석사거리 부근에 1754년 시정 유애사로 건립되어 대원군의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2005년 유애서원으로 복원하여 성균관에 등록하였다. 광주 유림들의 주관으로 매년 (음)2월 20일 문정공 석탄 이신의 선생의 춘향제를 봉행하고 있다. 석탄石灘 이신의李愼儀(1551~16
정인서 원장, 제로베이스 출발하는 광주혁신 위원으로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정인서 원장이 구태, 구습을 벗어나고 끊임없이 미래를 이끌어갈 광주혁신의 첨병이 될 시장 직속의 광주혁신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게 됐다. 정인서 원장은 그동안 문화도시 광주의 발전을 위해 남다른 아이디어를 담은 책을 지속적으로 발간하고 칼럼 등을 매주 언론을 통해 제시하면서 '문화예술&n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