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광역시
북구 청풍동 신촌마을에는 균산정이 있고 주변 좌측에는 석축 토담이 둘러 있고 그 옆에 노암괴석이 있으며 담밖 열 걸음정도의 거리에 죽파재가 있다. 또 죽파재 위에 괴양정이, 그 위에 서석단이라는 단소가 있다. 1891년에 지어진 서석단(瑞石壇), 괴양정(槐陽亭)이 있다.마을 동쪽입구
주(州)의 북쪽 20리의 거리에 위치하여 장경공(壯景公) 최사전(崔思全)을 비롯한 손암(孫菴) 최윤덕(崔允德), 가의(嘉義) 최응원(崔應遠)을 제향한 장소이다.고종 계묘년에 장의(掌議) 2인, 색장(色掌) 2인 원생(院生) 5인이다.- 광주읍지(1924) 무양서원 (武陽書院)은 고려 인종(재위 1122∼1146) 때 어의(御醫)이면서 명신
주검-동(鑄劍洞) 【골】 삼바실 남쪽에 있는 큰 골짜기다. 주검굴이 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 214-1번지 충장공 김덕령이 임진왜란 이전에 병사를 훈련하고 병기를 만든 옛터이다. 광주 무등산 북쪽 기슭에 있는데 광활하고 험준하며 지금도 칼과 화살촉을 만든 주동의 흔
광주광역시는 광주지역 공원이나 녹지에서 나무와 꽃을 심고 가꾸는 자원봉사를 하는 ‘시민 가드너’를 양성한다.시는 지난 3월18일 ‘시민 가드너’ 양성 교육기관으로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을 선정하고, 4월13일부터 5월8일까지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교육 참가자를 모집한다.‘시민 가드너’는 생활권 주변에서 정원을 만들고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기업유치를 위한 투자진흥지구가 대폭 확대된다. 투자기업에 대해서는 각종 세제감면과 함께 시설물 지원 및 다양한 보조금을 지원한다.광주광역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CGI센터권역과 국립아시아문화전당권역의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투자진흥지구를 확대 지정․공고(문화체육관광부 공고 제2020-0109
*문화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의 우리말 순화 사용 정책에 따라서 광주시의 제공 자료 가운데 '시 홈페이지'를 시 누리집으로 변경하여 작성하였습니다.문화예술인도 특수고용직으로 분류되어 코로나19 피해로 인한 생계비를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게 되는 길이 열렸다.광주광역시는 지난 3월23일 코로나19로부터 지역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의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순화 사용정책에 따라서 광주광역시 제공자료 가운데 '리모델링'을 구조변경으로 사용했습니다. 광주의 상징적인 건물이었던 전일빌딩이 오랜 기간 침묵을 지키다가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했다.광주광역시는 구조변경 작업을 거쳐 광주의 시간을 품은 미래문
정대현(鄭大鉉, 1873~1946)의 자는 익삼(益三), 호는 석계(石溪), 본관은 하동(河東) 정씨다. 아버지는 정지초(鄭志楚), 어머니는 강화최씨(江華崔氏) 사이에 광주광역시 오치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천성이 온후하고 행동거지가 단정하였으며,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였다. 어려서부터 영민하여 날마다 책을 읽었으며,
일농(一聾) 최상현(崔相鉉, 1881~1945)은 광주 최부자로 알려진 최명구(1860~1924)의 장남이다. 일제강점기 때 언론에서는 최상현은 좋은 인물로, 때로는 악덕지주로 보도하기도 해 인물에 대한 평가는 전문 역사가들의 몫으로 남겨둔다.1924년 최명구가 세상을 떠나자 장남&n
탁영로는 조선시대 사림파(士林派)의 대표적 인물인 탁영 김일손의 호를 따서 명명된 도로다. 길이는 424m에 불과한 짧은 도로로 2009년 11월 광주광역시 북구청장이 고시했다.탁영의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계운(季雲), 호는 탁영(濯纓) 또는 소미산인(少微山人)이라 불린다. 탁영의 할아버지는 김극일(金克一)이고, 아버
정충신(鄭忠信, 1576~1636), 湖節4中-078-1, 光州, 甲子, 樹勳 -《호남절의록》(1799)정충신의 본관은 금성(錦城).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 고려 말의 명장 정지(鄭地)의 9세손으로, 아버지는 광주 향청(鄕廳)의 좌수(座首) 금천군(錦川君) 정윤(鄭綸)이다. 어머니는 영천 이씨(永川李氏)로 이인
침산 전투지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산동 446-2 일대로 동학농민혁명 당시 손화중이 이끄는 광주지역 농민군과 나주 수성군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다. 『금성정의록』, 『난파유고』 등에 관련 사실이 매우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현재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산 동곡동 침산마을 뒷산이다.1894년 10월
용진산 전투지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선동 산69와 광산구 지산동 산4 일대로 동학농민혁명 당시 손화중이 이끄는 광주지역 농민군과 나주 수성군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다.용진산 전투는 『금성정의록』, 『난파유고』 등에 매우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선동 지산동 사호동에 걸쳐 있다.1
광주집강소 터(관아 터)는 광주광역시 동구 광산동 13 일대로 동학농민혁명 당시 농민군 집강소가 설치되었던 곳이다.광주관아에 집강소가 설치되었던 사실은 「순무선봉진등록」 등에 기록되어 있다. 광주관아의 위치는 현재 아시아문화전당 옛 전남도청과 옛 상무관 일대로 추정되고 있다.
필문대로(蓽門大路)는 필문 이선제를 기리기 위한 도로명이다. 1988년 광주광역시에 의해 지정되었다. 총 길이는 6349m,. 2009년 7월 27일, 광주광역시장이 고시했다.북구 풍향동 서방사거리와 동구 학동 남광주 교차로를 잇는 광주광역시의 도로이다. 이 도로와 죽봉대로, 서암대로,&nb
남구 효덕동 월전(月田)마을월전마을은 진월동 삼익세라믹아파트 일대에 있었던 마을이었다.마을터에서 북동쪽으로 자생이산의 서쪽 산록에는 2채의 재각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하남 정씨(河南 程氏)의 재각인 영모재(永慕齋)이다. 광주에는 하남정씨한산군파종친회가 있다.진월동에는 하남(河南) 정씨(程氏)의 시조, 정사
남구 행안동 구남마을 광유재(光裕齋) 뒤에는 함양윤씨 입향조 윤지화 묘가 있다. 남촌(南村) 윤지화(尹之和 1476-1558)는 연산군 때
중종반정이후 이곳에서 난을 피해 머물렀다.광유재는 광주광역시 남구 효덕로 224-7(행암동 9번지) 빛고을건강타운 앞 효덕로(孝德路) 북동편 신현산(新峴山) 아래 위치해 있다. 함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본래 광주군 두방면(斗坊面) 지역으로서 길가에 있는 말머리처럼 생긴 큰바위인 말바우를 한자지명으로 풀어 두암(斗岩)이라 했다. 풍수지리상 명당으로 알려진 두암동은 장원봉에서 달려온 용이 군왕봉(356m)에 이르러 좌우로 뻗쳐 좌청룡 우백호가 되고, 우산동의 소산·무냉이등· 범덕등이 북서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