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242건)

유사경(柳思敬)
유사경(柳思敬, 1556~?)의 본관은 문화, 증조부는 유인손(柳仁孫)이고, 조부는 유여강(柳如岡)이며, 부친은 충의위(忠義衛)를 지낸 유혜(柳惠)이다.1585년(선조 18) 식년시에서 생원 2등 1위로 합격하였고, 1605년(선조 38) 증광시 문과에서 갑과 3위(탐화랑)로 급제하였다.1589년(선조 22) 전라 유생인 진사(進士) 정
고경조(高敬祖)
고경조(高敬祖, 1528~?)의 본관은 장흥(長興)이며, 자는 이원(貽遠), 호는 구암(龜巖)이다. 조부는 형조좌랑(刑曹佐郎)을 지낸 고운(高雲), 부친은 고중영(高仲英)이고,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사촌이다. 김지달(金之達)의 딸인 영광김씨(靈光金氏)와의 사이에서 4남을 두었는데, 장남은 고성후(高成厚), 차
김덕우(1548~1633)
양촌 김덕우(金德宇, 1548~1633) 는 명종과 인조 때인 조선 중기 의병으로 자는 언용(彦容), 호는 양촌(良村)이며,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전라북도 고창군(高敞郡) 노동(蘆洞)에서 출생하였다.판서(判書) 김인우(金仁雨)의 후손으로, 부친 생원(生員) 김경희(金景熹)와 모친 사과(司果) 이세원(李世元)의 딸 전
신계영 ⾟啓榮 인조 5년(1627) 5월 9일∼인조 7년(1629) 8월 10일
신계영 ⾟啓榮 인조 5년(1627) 5월 9일∼인조 7년(1629) 8월 10일신계영(1577∼1669)의 본관은 영산(靈⼭)이며, 자는 영길(英吉), 호는 선석(仙⽯)이다. 아버지는 호조좌랑 신종원(⾟宗遠), 어머니는 홍담(洪曇)의 딸이다. 1601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예산으로 낙향하였다가 1619년 알성
김홍원 ⾦弘遠 광해군 7년(1615) 9월∼광해군 7년(1615) 12월
김홍원 ⾦弘遠 광해군 7년(1615) 9월∼광해군 7년(1615) 12월김홍원(1571∼1645)의 본관은 부안(扶安)이며, 자는 이중(⽽重), 호는 해옹(海翁)이다. 아버지는 부장(部將) 김경순(⾦景順), 아들은 순천부사를 지낸 김명열(⾦命說)이다. 1588년 식년 진사시에 합격하여 관직에 들어 온 뒤 1599년 금산군수, 1607년 원
우복룡 禹伏⿓ 선조 35년(1602) 10월 3일∼선조 38년(1605) 1월 4일
우복룡 禹伏⿓ 선조 35년(1602) 10월 3일∼선조 38년(1605) 1월 4일우복룡(1547∼1613)의 본관은 단양(丹陽)이며, 자는 현길(⾒吉), 호는 구암(懼庵) 또는 동계(東溪)이다. 아버지는 우숭선(禹崇善)이다. 아들은 문과에 급제하고 여러 곳에서 수령을 역임한 우경석(禹敬錫)이다. 1573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성균관
배응경 裵應褧 선조 30년(1597) 3월∼선조 30년(1597) 11월
배응경 裵應褧 선조 30년(1597) 3월∼선조 30년(1597) 11월배응경(1544∼1602)의 본관은 성산(星⼭)이며, 자는 회보(晦甫), 호는 안촌(安村)이다. 할아버지는 증 형조참의 배유(裵裕)이고, 아버지는 종사랑 배무원(裵茂元)이다. 1573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576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아들 배상익(裵尙益)도
이용순 李⽤淳 선조 25년(1592) 12월 28일∼선조 29년(1596) 2월 19일
이용순 李⽤淳 선조 25년(1592) 12월 28일∼선조 29년(1596) 2월 19일이용순(1550∼1605)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사화(⼠和), 호는 동고(東皐)다. 아버지는 행당진현감 이질(李礩)이다. 1579년(선조 12) 생원시에 합격하고, 1585년(선조 18)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여 괴원(魁院)·승정원(承政院)에 뽑혔다. 임진왜란이
권율 權慄 선조 25년(1592) 7월 13일∼선조 25년(1592) 7월 20일
권율 權慄 선조 25년(1592) 7월 13일∼선조 25년(1592) 7월 20일권율(1537∼1599)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7월 13일 나주목사에 제수되었다가 7월 22일 전라도관찰사감사로 제수되어 전란 지휘를 맡게 된다. 1599년 병이 들어 관직을 내놓고 고향으로 돌아가 7월에 세상을 떠났다. 『금성읍지』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지
민인백 閔仁伯 선조 23년(1590) 12월 18일∼선조 24년(1591) 2월 19일
민인백 閔仁伯 선조 23년(1590) 12월 18일∼선조 24년(1591) 2월 19일민인백(1552∼1626)의 본관은 여흥(驪興)이며, 자는 백춘(伯春), 호는 태천(苔泉)이다. 아버지는 면천군수 민사권(閔思權)이다. 1573년 생원시에서 을과 2등으로 합격하고 승의랑으로 근무하다, 1584년 별시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성균관전적을 지냈다.
이경록 李慶祿 선조 24년(1591) 3월 20일∼선조 25년(1592) 7월
이경록 李慶祿 선조 24년(1591) 3월 20일∼선조 25년(1592) 7월이경록(1543∼1599)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백수(伯綏), 아버지는 회덕현감 이간(李幹)이다. 1576년(선조 9) 식년시 무과에 급제해 선전관이 되었고, 이어 호조좌랑, 하동현감, 고성현령, 경흥부사로 발탁되었다. 1588년 1월 북병사 이일(李鎰)과 함께 여
윤우신 尹⼜新 선조 21년(1588) 4월 23일∼선조 22년(1589) 7월 28일
윤우신 尹⼜新 선조 21년(1588) 4월 23일∼선조 22년(1589) 7월 28일윤우신(1534∼1594)의 본관은 남원(南原)이고, 자는 선수(善修)이다. 할아버지는 목사 윤시영(尹時英)이고, 아버지는 영의정에 추증된 윤징(尹澄)이다. 1561년 식년시에 병과에 급제하였다. 아들 윤섬(尹暹)도 문과에 급제하였는데 임진왜란 때 전사하였다.
유몽정 柳夢⿍ 선조 14년(1581) 9월 1일∼*선조 16년(1583) 상반기
유몽정 柳夢⿍ 선조 14년(1581) 9월 1일∼*선조 16년(1583) 상반기유몽정(1527∼1593)의 본관은 문화(⽂化)이며 자는 경임(景任), 호는 학암(鶴巖)이다. 아버지는 사헌부감찰을 지낸 유용량(柳⽤良)이다. 1567년 사마양시에 모두 합격하고, 1574년 별시 문과 병과로 급제했다. 1581년 4월 영암군수로 있을 때 “활을 잡지
김성일 ⾦誠⼀ 선조 16년(1583) 8월 1일∼선조 19년(1586) 10월
김성일 ⾦誠⼀ 선조 16년(1583) 8월 1일∼선조 19년(1586) 10월김성일(1538∼1893)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사순(⼠純), 호는 학봉(鶴峰)이다. 아버지는 생원 김진(⾦璡)이다. 1564년 진사시에 함격하고 1568년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형 김극일(⾦克⼀)과 동생 김복일(⾦復⼀)도 문과에 급제하였다. 1573년
문익성 ⽂益誠 선조 13년(1580) 7월∼선조 13년(1580) 7월 28일
문익성 ⽂益誠 선조 13년(1580) 7월∼선조 13년(1580) 7월 28일문익성(1526∼1584)의 본관은 남평(南平)이며, 자는 숙재(叔裁)·분중(賁仲), 호는 옥동 (⽟洞)이다. 합천 출신으로 아버지는 생원 문옹(⽂滃)이다. 족보나 문집 등 일부 기록에 문익성(⽂益成)으로 쓴 경우도 있다. 아들 문할(⽂劼)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
한복 韓輹 명종 20년(1565) 12월 23일∼선조 1년(1568) 5월
한복 韓輹 명종 20년(1565) 12월 23일∼선조 1년(1568) 5월한복(1510∼1589)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중진(仲進)으로 남원 출신이다. 아버 지는 사복시정을 지내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한계상(韓繼常)이 다. 1540년 식년시에 생원과 진사를 동시에 합격하였으며, 1555년 식년시 갑과에 장원급제
사진집 ‘광주의 지금을 기록하다’ 발간
광주 지역에 산재한 각종 문화 공간의 모습을 담은 《광주의 지금을 기록하다》라는 사진집이 발간됐다.광주 서구문화원(원장 정인서)은 지난 2년 동안 광주 서구지역을 중심으로 문화유산과 시장, 공원 등 20곳을 누비며 촬영한 206점의 사진기록을 모두 150쪽(21.5×30cm) 크기로 내놓았다.이번에 발간한 사진집은 리일천
내암집 제12권 / 행장(行狀)- 하진보(河晉寶, 1530~1585)
내암집 제12권 / 행장(行狀)사간(司諫) 하공(河公) 행록〔司諫 河公 行錄〕 남을 대신하여 지었다.먼 조상 하공신(河拱辰)은 고려에 벼슬하여 좌사낭중(左司郞中)을 지냈으며 거란(契丹)에 사신으로 가서 굽히지 않고 죽어 문하시랑 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에 추증되었다. 고조부 휘 기룡(起龍)은 통덕랑(通德郞)으로 통
낙전당집 제10권 / 묘지명(墓誌銘)- 최기(崔沂, 1553~1616)
낙전당집 제10권 / 묘지명(墓誌銘)유명 조선국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홍문관대제학 예문관대제학 지경연 의금부 춘추관 성균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 통정대부 수 충청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 순찰사 최공 묘지명병서〔有明朝鮮國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經筵義禁府春秋館成均館事五衛都摠府都
능주(綾州) 이순성(李舜星)과 광주(本州) 이춘성(李春星) 등의 전답(田畓) 송사- 광주목사
보첩고(報牒攷) -光州牧使○영조(英祖) 41년(1765) 11월 20일 능주(綾州) 이순성(李舜星)과 본주(本州) 이춘성(李春星) 등의 전답(田畓) 송사에 관한 입안(立案)결급(決給)에 관한 일. 능주에 거주하는 유학(幼學 사족(士族)으로 아직 벼슬하지 아니한 사람) 이순성의 정장(呈狀)에, “관하 천곡면(泉谷面) 완동리(莞洞里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