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최현 스님에게 보낸 편지 1〔與璀絢上人〕- 서형수

명고전집 제5권 / 서(書)

최현 스님에게 보낸 편지 1〔與璀絢上人〕


관사(官舍)에서 촛불 밝히며 세속의 장부(帳簿)를 매일 살피다 보니 허망한 일에건 실상이 있는 일에건 온통 마음이 혼란스럽고 어수선합니다. 순간의 짧은 생각에도 스님의 가르침을 듣고 싶던 참인데, 뜻밖에 편지를 보내어 혼미하고 게으른 정신을 일깨워주셨습니다. 허망한 속념(俗念)을 흩어버리고 오묘한 깨달음으로 돌아가는 것이 어쩌면 이로부터 힘을 얻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큰 은혜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다만, 보내오신 편지에 ‘사랑 애(愛)’자를 여러 번 말씀하셨습니다. 사랑도 정욕의 뿌리이기에, 사랑의 대상이 같고 다름을 막론하고 이는 불도(佛道)의 경지에 오른 행자(行者)들이 힘써 마음에서 뽑아버리는 것입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이처럼 연연하시는지요? 황하의 모래처럼 무수한 덧없는 논의가 겨우 가리개 하나를 사이에 둔 것과 같은 것은 아닌지요? 이 편지를 깨달음의 징후로 생각하신다면 불성(佛性)을 깨닫고 무상함을 깨닫는 데에 은연중의 도움이 되지 말란 법도 없을 것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법수(法數)》는 서울 집에 깊이 보관해 둔 터라 지금은 찾아서 보내드릴 길이 없으니, 우선은 조만간 고을 수령의 인끈을 풀게 될 날을 기다려야겠습니다. 이전에 태만했던 점 사과드립니다. 목면 한 필을 가사(袈裟) 만드는 데 쓰십사 보내드립니다. 눈이 피로하여 어릿어릿한 바람에 많은 말씀 올리지 못하고 이만 줄입니다.

[주-D001] 최현 스님에게 보낸 편지 1 : 

【작품해제】 명고가 지방관으로 있을 때 승려 최현(璀絢)이 편지를 보내 안부를 묻고 전에 빌려준 《법수(法數)》를 돌려달라고 청한 데 대해 답한 편지이다. 명고는 최현의 편지에서 ‘사랑 애(愛)’자를 많이 사용한 것을 가지고 일체의 정욕을 배제하라는 불가의 가르침은 허망한 것이 아닌지 숙고해 보기를 청하고, 책을 즉시 돌려주지 못함을 사과하였다.

승려 최현은 본서에 모두 4번 등장하는데, 시고(詩稿) 부분에는 모두 ‘絢上人’으로, 문고(文稿) 부분에는 모두 ‘璀絢上人’으로 표기되었다. 명고의 조카인 서유본(徐有本, 1762~1822)의 《좌소산인집(左蘓山人集)》에도 1번 등장하는데(권1 〈금경암에서 최현 스님에게 준 시[金經庵贈璀絢上人]〉), 호는 삼봉(三峯)이며 북한산의 초가에 거처한다고 하였다. 명고는 본서 권1 〈최현 스님이 내방하였기에 달 아래서 운을 뽑아[絢上人來訪 月下拈韻]〉에서 그가 명고정거에서 가까운 암자에 거처한다고 하였다. ‘상인(上人)’은 승려를 높여 부르는 말이다.

본문의 내용으로 보아 이 편지가 쓰인 시기는 명고가 서울을 떠나 지방관으로 있을 때이다. 곧 강릉 현감으로 있었던 1785년(37세) 9월~1786년 7월, 광주 목사(光州牧使)로 있었던 1796년(48세) 7월~1799년 6월, 영변 부사(寧邊府使)로 있었던 1799년(51세) 6월~7월초의 기간 중 하나이다.

[주-D002] 법수(法數) : 

명나라 일여(一如, 1352~1425)가 영락(永樂) 연간에 칙명으로 편찬한 《대명삼장법수(大明三藏法數)》로 생각된다. 줄여서 ‘삼장법수’ㆍ‘대명법수’라고도 한다. 이 책은 대장경전(大藏經典)에서 숫자와 조합된 명사 1,555항목을 ‘일심(一心)’부터 ‘팔만사천법문(八萬四千法門)’까지 배열하고 그 전거와 이설을 상세히 단 것이다. 일여는 절강(浙江) 상우(上虞) 사람으로, 속성(俗姓)은 손씨(孫氏)이다. 그는 남조 시대 천태종 대사 지의(智顗)의 《법화문구(法華文句)》에 대해 ‘일여의 신주[一如新註]’로 일컬어지는 《법화과주(法華科註)》를 지은 인물이다. 《佛敎大辭典 大明三藏法數, 一如》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