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탄옹(炭翁)에게 올리다-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장(李丈)의 일이 거론되다

上炭翁(十月十五日)

明齋遺稿 권9 / 書 윤증(尹拯, 1629~1714)

탄옹(炭翁)에게 올리다


며칠 동안 인편이 없어 오래도록 안부를 여쭙지 못하고 매번 사모하는 마음만 간절하였는데 뜻밖에도 탄촌(炭村)으로부터 3장의 편지를 전해 받았습니다. 펼쳐 보고 난 뒤에 얼음이 얼고 서리가 내리는 차가운 날씨에도 기체가 편안하심을 알게 되어 지극히 위안이 되는 심정을 무어라 형언할 수가 없습니다.

꿈속의 일을 읽고 문하가 강호에서 얼마나 근심하는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서신의 끝머리에서 하신 말씀은 앞서의 여러 번의 서신에서 하신 말씀과 같았으니, 매우 자상하게 답해 주는 데에서 싫어하지 않고 애써 주는 아름다운 뜻을 볼 수 있습니다. 이에 감탄하며 명심하고 있으니 어찌 감히 잊을 수가 있겠습니까. 다만 직접 찾아뵙고 저의 흉금을 다 털어놓지 못하고 서찰로는 뜻을 다 드러낼 수 없으니 아쉬울 뿐입니다.

지난번에 “남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서운해하지 않는다.”라는 구절을 말씀드린 것은 저의 지나친 근심에서 나온 것으로 평소 가르쳐 주신 말을 되풀이했을 뿐이지 달리 들은 바가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제가 비록 어리석지만 어찌 감히 이러한 점으로 문하를 의심하겠습니까. 다만 지난번에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장(李丈)이 찾아와 “이번 일이 있은 후에 차인(次仁)의 무리가 도성에 들어와서도 예전처럼 방문하지 않는 것이 마치 다른 사람들이 종용하는 말을 들은 듯하다.”라고 말하니, 이런 이야기를 듣고 나서는 매우 의아스러웠습니다. 저 이장(李丈)이 조정 관료들 사이에서 이론(異論)을 내세우지 못한 것은 형편상 그런 것이므로 심하게 허물할 수 없습니다만 이 때문에 그러한 생각에 마음이 얽매임을 면치 못하였으니 참으로 이른바 서운해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는 문하의 규모와는 같지 않고 또 차인(次仁) 형의 무리가 평소 논의했던 견해와도 다르니, 저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다만 이미 들은 바가 있으므로 감히 여쭙는 것인데 과연 어떻게 된 것인지요?

삼가 선조의 묘석 세우는 일을 시작하셨다고 하니 생각건대 마음 쓸 일이 적지 않을 듯하여 매우 염려가 됩니다. 중부(仲父)에게 일전에 부탁하신 뜻을 감히 알려드리지 못하였습니다만, 중부께서는 눈이 어두워 글씨를 반듯하게 쓰지 못하신 지가 수년이 되었습니다. 또 복관되어 도성으로 가셨으니 도성에서 나와 묘석에 직접 글씨를 쓸 수 없을 듯합니다. 그러나 북칠(北漆)하여 글씨를 묘석에 옮기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으니 무슨 염려가 되겠습니까. 제가 한 번 가는 것은 꺼릴 일이 아니지만 비면(碑面)의 글씨를 중부에게 부탁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여기는 전과 다름없이 별다른 일은 없으나 가친의 아픈 팔이 여러 달 지났는데도 낫지 않고 오래도록 신음하고 계시어 근심과 안타까운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지내고 있습니다. 이달 초에 조금 안정되셨기에 저는 굶주림을 면하기 위해 상수리를 주우러 산중으로 들어갔다가 어제 저녁에 돌아왔습니다. 내일은 다시 둔악(芚岳)으로 들어갈 예정이니, 이는 두소릉(杜少陵)이 말한 “황산(荒山)에서 원숭이를 좇는 자의 생애”와 같아 진실로 우습습니다. 깊은 산중의 작은 암자에서 바깥 세상일을 듣지 않고 열흘간 독서한 것이 1년 동안 공부한 것보다 낫습니다. 그러나 매양 마음에 와 닿는 곳이 있어도 지난해 모곡(茅谷)의 작은 움집에 있을 때처럼 직접 뵙고 가르침 받을 길이 없어 한스럽기만 합니다. -10월 15일-


數日來絶無往便。久闕修候。每切馳慕而已。意外自炭村傳送下書三紙。披玩之餘。仍伏審氷霜。氣候萬福。慰幸之至。不容名言。夢寐間事。有以仰見江湖之憂。紙末之誨。若前度累便。垂答諄諭。足見惓惓不倦之義。感歎藏戢。何敢忘之。第無因一拜床下。豁此心胸。筆札固不能盡人意。是用介然耳。不慍之說。曾以薦聞者。自是過計之憂。爲誦平日俯敎之言而已。非有所聞也。拯雖愚昧。何敢以是奉疑於門下哉。但昨者光牧李丈。見過爲言。今番事後。次仁輩入京。不曾如前來相訪。似聽他人慫㥚之言云云。聞來不能無訝。彼李小諫之不能立異於僚席勢也。無足深咎。而至以此不免有所滯芥於其間。則眞所謂慍也。恐不似門下規模。又不似次仁兄輩平日論議知見。拯則有以知其不然。而旣有所聞。敢此奉質。未知果如何也。伏承先墓石事方始。竊想勞神不少。爲之貢慮。仲父前所屬之意。敢不通告。第仲父目昏。不能作楷。已數年矣。且復官入京。似不能出來臨石。然北漆移石。甚非難事。何慮之有。拯則一動雖非所憚。而石面事。則非其任矣。此間都依舊狀。而家嚴臂痛。數月不瘳。長在呻吟中。憂煎度日。自月初少定。又爲拾橡救飢之計。走入山中。昨夕始歸。明又再入芚岳。杜少陵所謂荒山隨狙者生涯。良可笑也。深山小庵。不聞外事。一旬讀書。勝却消一年工夫。每到會心處。恨無由對案承謦欬。如往年在茅谷小窩時也。奈何。十月十五日。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