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중화척 어제시에 화답하여 〔春仲朔日 蒙賜御製詩及中和尺 承命賡韻〕- 서형수

명고전집 제2권 / 시(詩)

중화척 어제시에 화답하여 〔春仲朔日 蒙賜御製詩及中和尺 承命賡韻〕

서형수(徐瀅修, 1749~1824)

중춘(仲春) 초하룻날 어제시와 중화척을 하사받고 명을 받들어 차운시를 지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정조 중화척(鐵製銀象嵌尺, 德壽-003833-000)


은혜로운 하사품 명절 맞춰 내려오니 / 恩賚酬令節

천향이 몇 겹이나 둘러 있구나 / 天香繞數重

별이 매달린 것은 긴 벽옥을 본떴고 / 星麗儀羡璧

《주례(周禮)》에 “긴 벽옥으로 표준 길이를 삼았다.[羡璧以爲度]”라고 하였다.

구름 문양은 큰 종소리를 내네 / 雲藻發洪鍾

악률의 조화는 이기가 있어야 하고 / 和樂須彝器

문덕의 펼침은 예용에서 징험되네 / 敷文驗禮容

알겠어라 도량형 통일하던 날 / 知應同度日

《서경》 〈우서(虞書) 순전(舜典)〉에 “악률과 도ㆍ량ㆍ형을 통일하셨다.[同律度量衡]”라고 하였다.

보배로운 하사품 기와 용에게 내렸음을 / 珍賜及夔龍

[주-D001] 중화척 어제시에 화답하여 : 

【작품해제】 정조의 《홍재전서(弘齋全書)》 권182 〈군서표기(群書標記) 갱재축(賡載軸)〉의 ‘반척갱재축(頒尺賡載軸)’ 조항에 “병진년(1796, 정조20) 중춘 초하룻날 공경과 근신에게 자를 내려 주었다.”라고 되어 있다. 그리고 순조(純祖) 때 한양의 풍속을 기록한 김매순(金邁淳)의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서는 이 일의 시작을 1796년(정조20) 2월 초하루로 기록하고 있다. 또한 정약용(丁若鏞)의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권2 〈임금께서 중화척을 내려 주시면서 보내주신 어제시에 화답하다(賡和內賜中和尺兼簡御詩韻)〉에 정조의 어제시가 실려 있고 정약용의 시에는 병진년(1796, 정조20) 2월 6일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서형수(徐瀅修, 1749~1824)의 이 작품 역시 1796년 2월 초순에 지은 것이라 볼 수 있다. 이 당시 명고는 1791년(정조15) 파직된 이후 아직 실직이 없는 체아직(遞兒職)인 부사직(副司直) 신분이었고, 이해 7월에 광주 목사(光州牧使)가 된다.

중화척은 본래 중국 조정에서 중화절(中和節)인 음력 2월 초하루에 천자가 신하들에게 하사했던 것이다. 중화절은 본래 음력 1월 그믐이었는데 당(唐)나라 덕종(德宗) 때 재상 이필(李泌)의 건의에 따라 음력 2월 초하루로 바뀌었다. 《舊唐書 卷130 李泌列傳》 우리나라에서는 정조가 처음으로 이 고사를 본받아 중화척을 하사하였다.

정조의 시는 《홍재전서》 권7에 〈중춘 초하룻날 공경과 근신들에게 자를 하사하여 중화절의 고사를 다시 행하고, 시를 붙여 은총을 내리다(春仲朔日, 頒公卿近臣尺, 修中和節故事, 帶詩以寵之)〉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화절이라 자를 내리니, 궁궐에서 임금이 주노라. 뭇별은 북극성을 향해 있고, 포개진 기장은 황종 악률에 맞누나. 한제가 삼척검 들던 날이요, 진군이 백척루에 누운 모습이로다. 그대들이 오색실 마름질하여, 내 곤룡포 깁는 것을 허락하노라.[頒尺中和節, 紅泥下九重. 拱星依紫極, 絫黍叶黃鍾. 漢帝提三日, 陳君臥百容. 裁來五色線, 許爾補山龍.]” 뭇별이 북극성을 향해 있다는 것은 작은 눈금들이 큰 눈금들을 기준으로 잘 놓여 있다는 뜻이고, 기장이 악률에 맞다는 것 역시 눈금이 법도대로 잘 배치되어 있다는 말이다. 경련(頸聯)에서는 한(漢)나라 고조(高祖)가 삼척검(三尺劍)을 들고 천하를 평정한 일과 삼국(三國) 시대 때 진등(陳登)이 백척루(百尺樓)에 누웠던 일을 말하고 있는데, 그 내용보다는 ‘척(尺)’ 자가 들어간 일을 뽑은 것이다. 곤룡포를 깁는다는 것은 임금을 잘 보좌한다는 뜻이다.

정조의 어제시와 명고의 작품 모두 평성 ‘동(冬)’ 운의 측기식 수구불용운체 오언율시이다.



삽화 새창열기


〈그림 1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정조 중화척(鐵製銀象嵌尺, 德壽-003833-000)

[주-D002] 천향(天香) : 

궁중에서 사용하는 어향(御香)을 가리키는 말로, 임금의 은혜를 비유한 것이다.

[주-D003] 별이 …… 본떴고 : 

정조가 신하들에게 하사한 중화척이 주(周)나라 때의 자를 본떴다는 뜻이다. ‘별이 매달렸다’는 것은 중화척에 눈금이 표시된 것을 가리킨 말이다. 저울 등의 눈금을 성(星)이라고 표기한다.

[주-D004] 긴 …… 삼았다 : 

《주례(周禮)》 〈고공기(考工記) 옥인(玉人)〉에 나오는 말로, 《주례》의 원문은 “옥의 길이는 1척이고 옥의 구멍은 3촌인 것을 표준 길이로 삼았다.[璧羨度尺, 好三寸, 以爲度.]”이다. ‘선(羨)’은 ‘장(長)’과 ‘경(徑)’의 뜻이며, ‘호(好)’는 ‘공(孔)’의 뜻이다.

[주-D005] 구름 …… 내네 : 

중화척에 새겨진 정조의 어제시에 큰 울림이 있다는 뜻이다. 【작품해제】의 사진에서 보듯이 중화척 상단에는 정조의 어제시가 은입사(銀入絲)로 새겨져 있었는데, 이것을 구름 문양이라고 일컬은 것이다.

[주-D006] 악률의 …… 징험되네 : 

음악을 조화하고 문덕을 펼치는 것은 모두 정사의 중요한 항목인데 이를 위해서는 법도에 맞는 기물과 예의(禮儀)가 있어야 한다는 말로, 정조가 중화척을 내려 기준을 세워 법도에 맞게 하는 뜻을 부연한 것이다. 《서경》 〈우서(虞書) 순전(舜典)〉에 “악률은 읊는 소리를 조화하는 것이니, 8음의 악기가 잘 어울려 서로 차례를 빼앗음이 없어야 신과 사람이 화합할 것이다.[律和聲, 八音克諧, 無相奪倫, 神人以和.]”라고 하였고, 〈대우모(大禹謨)〉에 “순 임금이 마침내 문덕을 크게 펴시어 방패와 깃일산으로 두 뜰에서 춤을 추셨는데, 70일 만에 묘족이 와서 항복하였다.[帝乃誕敷文德, 舞干羽于兩階, 七旬有苗格.]”라고 하였다.

[주-D007] 【校】 서경 …… 하였다 : 

이 원주는 전체가 교정고 가필사항이다.

[주-D008] 기(夔)와 용(龍) : 

순 임금의 두 신하로 기는 악관(樂官), 용은 간관(諫官)이었다. 《書經 舜典》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