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눌재 박상의 어머니 이천서씨

광주광역시 광산구에서 전해 내려오는 눌재 박상과 어머니 이천서씨 부인에 관한 이야기.

눌재 박상의 아버지 박지흥은 세조의 왕위 찬탈을 통분해 호남으로 내려왔고, 입암산 산신령의 도움으로 광주에 터를 잡게 되었다. 박지흥이 광주에 터를 잡고 이천서씨(利川徐氏) 부인과 재혼해서 박정(朴禎), 박상(朴祥), 박우(朴祐)를 낳았다.

1989년 『무등일보』에 「호남여인열전(10)」으로 수록되어 있다. 1990년에 광주직할시가 간행한 『광주의 전설』에 「가문을 일으킨 이천서씨 부인」으로 수록되어 있다.

눌재(訥齋) 박상(朴祥)[1474~1530]의 아버지 박지흥(朴智興)[1411~1489]은 고려 후기 정지(鄭地)[1347~1391] 장군의 손자사위로 충청도 대전에서 살았다. 박지흥은 세조(世祖)[재위 1455~1468]의 왕위 찬탈을 통분(痛憤)하여 처의 고향이 있는 광주 쪽으로 이주하였다.

박지흥이 장성 입암새재를 넘어가는데, 마침 날이 저물어 근처 허름한 주막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다. 주막 주인은 박지흥에게 “이곳을 지나게 되면, 입암산 산신령께 죄를 고백하고 용서를 빌어야 한다”고 하였다. 박지흥은 입암산 산신에게 자신의 안위 때문에 조정을 버리고 도망가는 것에 대해 산신령께 용서를 빌었다.

그날 밤, 산신령이 박지흥의 꿈에 나타나 쌍마(雙馬)를 타고 가다가 말이 멈추는 곳에 표시를 해두라고 하였다. 쌍마는 광주목 방하동 방마산 남쪽에 이르러 멈추었다. 박지흥은 잠에서 깨어나 꿈에서 보았던 장소로 가서 정착하였다.

그곳은 현재 광주광역시 서창동 절골이다. 박지흥은 광주에 정착한 지 2년 만에 부인을 잃었다. 박지흥은 나이 50살에 같은 마을에 살고 있는 이천서씨 처녀와 재혼하였다. 이천서씨 부인은 집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박지흥과 결혼하였으며, 박정·박상·박우 3형제를 낳았다.

박지흥은 막내아들이 14살 되던 해에 세상을 떠났고, 큰아들도 요절하였다. 이천서씨 부인은 남편 대신 두 아들을 잘 키웠으며, 박상과 박우는 과거에 급제하여 관료가 되었다. 박우의 둘째 아들은 박순(朴淳) [1523~1589]으로 전라도가 배출한 유일한 조선 시대 영의정이었다.

눌재 박상은 32세에 전라도사가 되었다. 당시는 연산군 시절이었다. 연산군은 채청사(採靑使)를 풀어 궁비를 뽑았는데, 궁비 중에 나주의 황쇠부리 딸이 있었다. 황쇠부리 딸은 연산군의 총애를 받았으며, 황쇠부리는 딸을 믿고 지역에서 갖은 행패를 부렸다. 나주목사가 황쇠부리의 행패를 막으려 했지만, 오히려 나주목사의 목이 날아가는 일이 비일비재하였다.

전라도사 박상은 황쇠부리의 소문을 듣고 나주로 내려가서 매를 쳐서 황쇠부리를 죽였다. 박상은 애당초 죽을 각오를 하고 황쇠부리를 처벌하였으며, 임금의 처분을 달게 받겠다며 한양으로 떠났다. 그런데 박상이 입암새재에 이르렀을 때, 고양이 한 마리가 나타나 자꾸 길을 막았다. 박상은 이를 이상하게 생각하고, 고양이가 이끄는 대로 따라갔다.

박상은 며칠 동안 고양이를 따라갔고, 결국 도착한 곳이 금강산 정양사(正陽寺)였다. 박상이 정양사에 머무는 동안 중종반정(中宗反正)이 일어났다. 박상은 고양이 때문에 목숨을 건졌다고 생각하였다. 박상은 고향에 있는 논과 밭을 고양이 먹이는 데 쓰도록 정양사에 시주했다. 처녀의 몸으로 50살의 홀아비와 결혼했던 이천서씨 부인의 혜안이 눌재 박상을 낳고 길렀던 것이다.

 「눌재 박상의 어머니 이천서씨」는 조선 전기 전라도 광주의 대표적인 선비인 눌재 박상의 집안에 관한 이야기이다. 역사적 사실과 허구의 이야기가 결합되어서 인물전설을 구성하고 있다. 비범한 역사적 실존인물은 탄생담과 성장담에서 특이성을 지니게 된다.

박상의 아버지가 산신령의 도움으로 광주에 정착한 것과 이천서씨 부인의 혜안과 노력으로 박상을 낳고 기른 것은 인물의 비범성을 강화시키는 이야기의 요소가 된다. 여기에 인물의 대담한 행동과 조력자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벗어난 이야기가 첨부되어 박상의 비범성을 더욱 강화시켜주고 있다.


[참고문헌] 『광주의 전설』(광주직할시, 1990)

「호남여인열전(10)」(『무등일보』, 1989. 2. 19.)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