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농은정기(농은 이근태의 농은정3)

농은 이근태의 농은정에 대한 후석 오준선의 기문이다. 이 때의 농은정은 한자가農隱亭, 膿隱亭 등 출처마다 다르므로 원전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호가 膿隱이므로 膿隱亭이 마땅해보인다.

農隱亭記

世之隱者或入山而逃名或避地而浮海或屠市酒肆托跡而藏身之數子者非高尙其事以保淸節猖狂自恣以避禍網而然於中行之道胥失之矣夫服田力檣明農而資生民業之本也隱於農其知本者也今李居士根泰躬耕農畝不求聲名扁其亭曰農隱其亦有見於知本之義歟傳曰君子務本本立而道生道也者非高遠難行之事春耕秋穫食吾力而無求仰事俯育勤孝慈而不惰是固隱之大者若入山浮海藏於酒屠者皆賢君子奇南男子之事也非後人之所可議到也吾知農隱主人坐此亭上春酒洋洋課農書而聽農謳襏襫爭席賓朋滿座笑語款洽隱居之樂樂且無央矣李友琫淵以主人之意請余爲記己再三矣余嘉其知本之義於是乎書

後石 吳 駿 善-


농은정기

세상을 버리고 자신의 몸을 숨기는 은자들의 형태를 살펴보면 몇 가지의 종류가 있다.어떤 사람은 산으로 들어가 그 이름을 숨기기도 하고 또 어느 사람은 땅을 피하여 바다로 들어가기도 한다. 또 어떤 사람은 시장가의 도장 주점 등에 그 몸을 택하여 자신의 생명을 바꾸는 경우도 없지 않다. 이들 몇 사람의 이러한 행위가 비록 자신의 뜻한 바를 이루어 그의 청절을 지키고 또 자신의 처지를 위장하여 그의 목숨을 보전한다 할지라도 이들의 이러한 행위는 이미 중행의 정도를 벗어난 편백된 처사이다. 자신의 힘으로 밭을 갈아 스스로의 생활을 유지하는 그 일은 우리 모두가 함께 힘써야 할 민업의 근본이다. 이 때문에 자신의 몸을 산이나 바다가 아닌 한가한 들녘에 숨기어 스스로의 본업에 힘쓰는 그 일은 참으로 근본의 소중함을 깨달은 올바른 일이 아닐 수 없다. 그의 이름을 이근태라 한 오늘의 이거사가 몸소 밭을 갈아 농사를 지으며 외부의 성명을 구하지 않았다. 그리고 또 정자를 지어 그 이름을 농은이라 함은 이미 위에서 말한바 있는 근본의 이치를 깨달은 깊은 사려가 있기 때문이다. 옛날의 전에 이르기를 「참다운 군자는 무엇보다도 근본을 힘쓰는 것이다. 근본의 뿌리가 확고히 서게 되면 도의 이치가 저절로 생기게 된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도라는 이 도는 얼핏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높고 멀어 행하기 어려운 것이 아니다. 봄철에 갈고 가을에 거두어 자신의 능력으로 튼튼한 생계를 유지하고 또 위로 부모님을 섬기고 아래로 처자를 거느리는 효자의 일에 충실하는 것이 바로 숨은 선비가 해야할 하나의 임무이다. 이 때문에 위에서 말한 바 있는 입산 부해 장어주도 등의 몇 가지 일은 모두 어진 군자나 기특한 남자들만이 할 수 있는 특수한 일들이다. 우리 후인들의 입장으로서는 가히 상상할 수도 없는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이 문제를 다시 거론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내 비록 현장에 나아가 직접 본 것은 아니지만 농은정의 주인이 이곳에 앉아 어떠한 일을 하고 있을까 하는 그 모습을 나름대로 생각해 보았다. 화창한 봄날에 향기로운 술동이를 어루만지며 옛날의 농서를 펼쳐 보기도 하고 또 은은한 농부의 노래 가락을 듣기도 할 것이다. 또 때때로 일복 차림의 농부들과 자리다툼을 하기도 하고 또 주위의 다정한 여러 벗들과 즐거운 우스개 소리를 하기도 할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고요히 숨어사는 은거의 즐거움을 느껴 스스로의 외로운 고독함을 잊게 될 것이다. 나의 다정한 벗인 이봉연이 주인의 이러한 뜻을 전하면서 나에게 이 정자의 기문을 청하였다. 그러나 내 자신이 이러한 문자를 지을 만한 적격자가 아니기 때문에 여러 차례 사양을 거듭하였다. 그럼에도 그의 청이 더욱 간곡하였고 또 근본의 중요함을 깨달은 이 주인의 높은 뜻을 가상히 여기지 않을 수 없었다.
이로 인하여 부득이 이 기문을 지어 이들의 청에 응하였다.


후석 오 준 선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