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눌재 박상과 우부리 그리고 김숙화


연산군의 말년은 '도가니'였다. 과거로 인재 뽑듯 '흥청과(興淸科)'를 두고 각처 기생을 끌어왔다. 임금을 포기한 '흥청망청'이었다. 애첩의 세도는 가관, 장녹수(張綠水)는 온갖 송사에 간여하여 뇌물 받고 종친 재산까지 빼앗았다.

김숙화(淑華)도 만만치 않았다. 논 50결과 한달 갈이 밭을 하사받았다. 요즘 80정보, 24만평 정도였다. 부안 땅의 어살[魚箭]도 차지하였다. 동진강 일대의 어업권을 도리깨질한 것. 또한 이웃한 종친 집터를 빼앗으려고 모함하여 온 가족을 손발 묶고 칼을 씌워 가두게 하였다. 언니를 첩 삼은 양반에게는 목사 자리까지 주선하였다. 나주 관기에 뽑힌 백견(白犬), 나주 관노 김의(金依)의 딸이었다.

김의도 대단하였다. 그가 당상관 품계를 받고 어주(御酒)에 취해 관마 타고 금의환향하였다. 지나는 고을마다 부산스레 접대하였는데, 서둘러 술잔을 건네는 수령도 있었다. 재산 강탈, 부녀자 겁탈 등 온갖 패악을 저질렀다.

사람들은 의(依)에서 인(人)을 떼고 윗도리[衣]라 부르며 이를 갈았다. 김의가 우부리(牛夫里) 혹은 소부리(小夫里)로 쓰인 까닭이다. '윗'의 방언이 '웃'이라, 우가 되고, 우는 소다. 그렇다면 백견(白犬)은 임금의 하얀 아랫도리[裳]로 조롱하였음이 틀림없다.

누구도 김의를 징계할 엄두를 내지 못하였다. 감사의 막료인 도사(都事)가 나섰다. 행정부지사 정도다. 나주 금성관으로 김의를 잡아들여 모질게 형장을 쳤는데 목숨까지 앗았다. '우부리장살사건'이었다. 그 도사는 "죽을 죄라면 피하지 않겠다"며 즉각 상경하였다. 연산군도 금부도사를 보냈다. 길이 엇갈렸다. 전라도의 남과 북을 가르는 갈재 너머 입암산 아래 천원역 갈림길이었는데, 고양이가 바짓가랑이를 물어 당기자 숲으로 따라갔다는 일화가 전한다. 그리고 보름 후, 중종반정이었다.

도사는 연산군 2년(1496) 생원, 5년 후 문과 급제했다. 국립출판기구에 해당하는 교서관과 외교문서를 담당하는 승문원에 봉직하고, 병조좌랑을 거쳐 연산군 11년(1505)에 내려왔다. 그가 박상(朴祥·1474∼1533)이었다.

선대는 충청도 회덕에 살다가 부친 박지흥(朴智興)이 광주에 터를 잡았다. 계성 서씨(桂城徐氏) 처가 근처였다. 서구 서창동 사동마을이다. 본관은 충주. 전라감사 김종직이 '나라의 큰 그릇이 될 것'이라던 형, 박정(朴禎)에게 배웠다. 그러나 형은 성종 23년(1492) 생원이 되고, 몇 년 후 세상을 버렸다.

박상은 꾸밈없고 숨김없었다. 중종 2년(1507) 아우 박우(朴祐)가 진사 장원한 잔칫날이었다. 자신이 대과할 때 부친이 계시지 않음을 슬퍼하였던 형을 회상하며 마냥 좋아할 수 없는 까닭을 풀었다. "즐거움 끝에는 슬픔이 따르는 법이다." 그리고 덧붙였다. "네가 대과에 발탁되면 누구를 슬퍼해야 할지 모르겠다." 경삿날 담론치고는 싸늘하다.

세상을 향한 눈은 부릅떴다. "하하 크게 웃고 또 하하, 변방 백성 살리고 싶어도 어찌 할 줄 모르겠네. 닭 묶는 아전들 호통 소리 길에 펼쳐지니, 송아지 코를 꿰는 처자식은 거위처럼 울부짖네." 그만큼 백성을 아낌이었다.

/조선일보 2011.10.17.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