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무등산 기우제문〔無等山祈雨祭文〕- 서하집 제11권 / 제문(祭文) : 이민서(李敏敍, 1633~1688).
신명과 사람의 사이 / 神人之際
하나의 이치로 감통하니 / 一理感通
성정의 좋아하고 싫어함이 / 性情好惡
거의 차이 없습니다 / 幾無異同
우리 사람을 기쁘게 하여 / 使吾人而歡欣
모두 신명의 공덕에 춤을 춘다면 / 咸鼓舞於神功
신명이 기쁠 뿐만 아니라 / 非惟神之悅豫
상제께서도 훌륭히 여길 것입니다 / 亦上帝之所崇
진실로 병들고 파리하여 탄식하거늘 / 苟病瘠而愁歎
신령의 은혜 끝까지 내려 주지 않으시어 / 致神賜之不終
사람들 머리 아파하며 모두 호소하는데 / 人疾首而咸籲
어찌 신령께서 들어주지 않는단 말입니까 / 豈神聽之不聰
하물며 산천이 사람을 비호함에 / 矧山川之庇人
진실로 비와 바람 맡아 / 寔有司乎雨風
마치 대소의 관리가 / 猶大小之官吏
또한 모두 하늘의 일을 대신하는 것과 같으니 / 亦皆代乎天工
만약 직임을 잃어 잘못하면 / 儻失職而致愆
하늘에 무어라 변명하겠나이까 / 焉有辭於上穹
지금 너무나 참혹한 이 가뭄이 / 今玆旱之孔慘
늦봄부터 한여름까지 이어져 / 自春末而夏中
사방 들판은 시들어 푸르름 없고 / 四野枯而無靑
논은 쩍쩍 갈라지고 병충해도 생겼습니다 / 田坼龜而生螽
샘은 원천이 마르고 산도 벌거숭인데 / 泉源涸而山滌
해는 밝게 떠올라 푹푹 찌니 / 日杲杲而蘊隆
이미 싹이 모두 시들었고 / 旣苗秧之皆萎
모든 생물이 살아갈 이치 다했나이다 / 擧生植之理窮
지난 기근 겪은 지 멀지 않은데 / 昔大侵之未遠
지금 여러 해 풍년이 없으니 / 今累歲之無豐
백성의 명줄이 다해 가 한탄스럽고 / 嗟民命之旣近
온 나라가 텅 비어 애통합니다 / 痛大東之其空
오직 이 드높은 산악은 / 惟玆嶽之峻極
실로 여러 산 가운데 으뜸이니 / 實群山之長雄
산경과 지리지에 오래 전부터 이름 올라 / 名久登於經志
중국의 화산과 숭산에 짝합니다 / 配中國之華嵩
여기부터 구름 모여든다면 / 而膚寸之自我
만물에 큰 은혜 미칠 것인데 / 施及物之其洪
생각하면 진산 이리도 가깝거늘 / 念鎭望之密邇
어찌 제 애통함 살펴 주지 않으시나요 / 寧不察余之哀恫
만약 장리가 벌 받을 만하면 / 苟長吏之可罰
응당 그 몸에 재앙 내릴 것이니 / 宜致殃於其躬
우리 죄 없는 백성 애처로이 여기며 / 哀吾民之無辜
신명께서 공평하게 살펴 주시기 바랍니다 / 仰神鑑之有公
감히 깨끗하게 하고 정성을 올리며 / 敢潔淸而薦誠
미천한 마음에 강림하시길 바라노니 / 冀降格于微衷
부디 영험한 은택을 한번 내리시어 / 庶靈澤之一霈
백성들과 함께 모두 입게 하소서 / 與群黎而皆蒙
- [주-D001] 무등산(無等山) 기우제문 :
- 무등산은 광주(光州)에 있는 진산(鎭山)이며, 일명 무진악(武珍嶽) 또는 서석산(瑞石山)이라고도 한다. 《승정원일기》 숙종 3년 1월 22일 기사에 이민서가 광주 목사에 제수된 일이 보이는데, 이때 지은 것으로 보인다.
- [주-D002] 온 나라가 …… 애통합니다 :
- 원문의 ‘대동(大東)’은 우리나라를 가리킨다. 《시경》 〈대동〉에 “소동(小東)과 대동에 북과 바디 모두 비었도다.[小東大東, 杼柚其空.]” 하였는데, 주희(朱熹)의 주(注)에 “소동과 대동은 동방의 크고 작은 나라이니, 주(周)나라로부터 본다면 제후국이 모두 동방에 있다.” 하였다. 《시경》의 본뜻은 제후국이 과도한 부역에 시달려 재물이 피폐한 것을 말하였는데, 여기에서는 우리나라의 재정이 궁핍함을 말한 것이다.
- [주-D003] 중국의 …… 짝합니다 :
- 화산(華山)과 숭산(嵩山)은 태산(泰山)ㆍ항산(恒山)ㆍ형산(衡山)과 더불어 중국의 오악(五嶽)으로 일컬어지니, 여기에서는 무등산이 광주의 진산(鎭山)으로 화산과 숭산에 비견하는 명산임을 말한 것이다.
- [주-D004] 구름 모여든다면 :
- 원문의 ‘부촌(膚寸)’은 비가 내리기 전 구름이 점점 모이는 것을 말하니,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희공(僖公) 31년조에 “구름 기운이 돌을 부딪치며 나와 점점 모여들어 아침나절이 되기 전에 천하에 비를 뿌리는 것은 다만 태산일 뿐이다.[觸石而出, 膚寸而合, 不崇朝而徧雨天下者, 唯泰山爾.]” 하였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