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무등산 기우제문〔無等山祈雨祭文〕 - 동강유집 제12권

무등산 기우제문〔無等山祈雨祭文〕 - 동강유집 제12권 / 제문(祭文) : 동강(東江) 신익전(申翊全, 1605~1660)

정해년(1647, 인조25) 5월 15일 을묘에 행(行) 광주 목사(光州牧使) 신 모는 삼가 희생과 술을 갖추어 감히 무등산(無等山) 신령께 밝게 고합니다.


아, 지독합니다. 이 백성들의 고난이 어찌 이처럼 혹독하단 말입니까. 병자년과 정축년 호란 이후로 한 해도 흉년에 고통받지 않은 해가 없습니다. 또 국가에 일이 많은 탓에 때아닌 부역과 부득이한 세금이 매월 발생하는데 남쪽 지방은 또 양서(兩西 평안도와 황해도) 대신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합니다.
이어 전염병마저 돌아 열에 네다섯은 죽었으니, 장래에 피폐한 백성들을 살릴 희망은 오직 금년 농사에 달려 있습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이 5월에 절기도 망종(芒種)이 지났건만 열흘이 넘도록 해만 쨍쨍 뜨고 비가 오지 않는단 말입니까.
논밭은 메말라 갈라지고 도로엔 먼지만 날리고 있으니, 밭 갈던 자들은 쟁기를 멈추고 모내기 하던 자들은 속수무책입니다. 물줄기는 바닥을 드러내려 하고 샘물은 메말라가고 있으니, 가련한 저 백성들이 어디에서 복을 받아 죽어가는 목숨을 부지하고 허다한 세금을 낼 수 있겠습니까.


이는 참으로 성상께서 편안히 있을 수 없는 일이요, 여러 신하들이 게을리할 수 없는 일이기에 날마다 여러 산천에 망제(望祭)를 올리며 기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처럼 보잘것없는 사람이 벼슬자리에 올라 한 고을을 다스리면서 이런 어려움을 보고서도 폐단 하나도 제거하지 못하고 은혜 하나도 베풀지 못하여 고을 백성들을 구제하기는커녕 굶주림에 허덕이게 하여 성상의 근심을 나누는 지극한 책임을 거듭 저버렸으니, 제 마음이 어떠하겠습니까. 어찌 감히 스스로 편안히 여기면서 고을 진산의 밝으신 신령께 경건히 정성을 올리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아, 나라는 백성에게 의지하고 백성은 신령을 따르는데, 신령이 의지하는 것은 또한 나라와 백성입니다. 하늘은 오로지 살리기를 좋아하고 신령도 반드시 그렇건만 이런 재앙의 징조가 보이는 것은 저와 같은 자가 그저 먹고 마시기만 할 뿐 제대로 직분을 수행하지 못한 탓이니, 저 서민들에게 무슨 잘못이 있겠습니까.


아, 이 백성들이 일정한 생업이 없어 선한 본심을 잃은 지 오래되었습니다만, 세금 내는 기한을 어기는 자들은 드뭅니다. 아침에 와서 ‘포백(布帛)을 내라’ 하면 그 명령대로 따르고, 저녁에 와서 ‘속미(粟米)를 내라’ 하면 그 명령대로 따르고, 또 다음날 ‘무슨 부역에 나오라’ 하면 또 그 명령대로 따르면서 조금도 지체하지 않으니, 이것이 어찌 진실한 마음에서 우러나온 것이겠습니까. 단지 두려워서 그런 것뿐입니다.


목민관(牧民官)이 되어 폐단을 제거하고 은혜를 베풀지도 못한 처지에 백성들만 두려움에 떨게 하였습니다. 또 태형(笞刑)을 치고 구금하는 것으로 태만한 자를 감독하기만 하였을 뿐, 간악하고 교활한 자들이 권세를 믿고 수탈하는 것을 또 살피지 못하였으니, 이야말로 하늘이 노할 만한 일이 아니겠습니까. 이 백성들은 노할 만한 실정이 없고 오로지 불쌍히 여길 점만 있으니, 오직 하늘을 받드는 신령께서 지성으로 올리는 저의 기도를 어찌 살펴주지 않으시겠습니까.


이에 한 고을 백성들의 염원을 모아 삼가 밤을 새워 목욕재계하고 제사를 올립니다. 성심으로 바라건대, 산신령께서는 살리기 좋아하는 하늘의 도를 속히 본받아 가련한 이 백성들을 불쌍히 여기시어 단비를 흡족히 내려 온 천지에 고루 스며들게 하심으로써 쟁기질 멈추었던 자들이 깊이 밭 갈고 속수무책으로 있던 자들이 수월하게 모내기하도록 해 주소서. 그렇게 된다면 풍년을 기대할 수 있고 백성들의 생업이 풍족하게 될 것이니 신령의 은혜가 클 것입니다. 제가 감히 게을리할 수 있겠습니까. 아, 흠향하소서.


[주-D001] 백성들이 …… 오래되었습니다만 : 
《맹자》 〈양혜왕 상(梁惠王上)〉에 “일정한 생업이 없어도 언제나 선한 본심을 견지할 수 있는 것은 선비만이 가능한 일이다. 백성의 경우엔 일정한 생업이 없으면 선한 본심을 지킬 수 없게 된다.〔無恒産而有恒心者, 惟士爲能 若民則無恒産, 因無恒心.〕”라는 말이 나온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