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기우용 에게 답함 〔答奇羽用 文鉉○辛丑二月〕 - 매산집 제16권

기우용문현 에게 답함 신축년(1841, 헌종7) 2월〔答奇羽用 文鉉○辛丑二月〕 - 매산집 제16권 / 서(書) :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 1776~1852)

학궁(學宮)은 수선(首善)하는 곳이므로 사양함을 예(禮)로 여기는데, 사양함은 나이가 많은 이를 높이는 것보다 더 큰 것이 없습니다. 이것이 바로 이른바 “연향(宴享)할 때에 머리 색깔에 따라 자리를 배치하는 것은 나이 순서대로 차례를 정하기 위함이다.〔燕毛所以序齒也〕”라는 것입니다. 살았을 때에 이미 장유(長幼)를 구별하여 좌차(座次)를 정하였다면 죽은 후에도 연수(年數)의 차례대로 자리를 정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우옹(尤翁)께서도 눌재(訥齋)와 사암(思菴)을 합사(合祀)할 때에 고봉(高峯)에게 고유하는 글에서, “세대의 선후에 따라 눌재 선생을 서쪽 자리에 모시고 사암 선생을 다음 자리에 모시고 고봉 선생을 동쪽 자리에 모십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신도(神道)는 오른쪽을 높이기 때문에 서쪽을 상석(上席)으로 삼는 것이니, 세 분의 위차를 이렇게 정한 것은 바로 나이에 따라 차례를 정하는 의리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나이에 따라 차례를 정하는 것이 중요한 이상, 본 서원의 빈주(賓主)는 굳이 따질 필요가 없을 듯합니다.

눌재ㆍ사암 두 현인과 고봉이 나이에 선후가 있기 때문에 고봉의 위패를 두 현인의 아래에 모시는 것이라면 고봉의 위상에 있어서 조금도 격하될 것이 없습니다. 만약 고봉의 위패를 두 현인의 위에 모신다면 고봉이 제향을 받을 때에 편안하지 못할 듯하니, 신도(神道)와 인정(人情)으로 볼 때 마땅히 이와 같이 해야 할 것입니다.
《송자대전(宋子大全)》에 실려 있는 춘향(春享)과 추향(秋享)의 축문에서 그 차례를 고봉을 먼저 하고 눌재와 사암을 나중에 한 것은 위차를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니고 바로 고봉에게 고유하는 글 아래에 이 축문을 썼기 때문입니다. 마땅히 고봉에게 고유하는 글 가운데에서 ‘서쪽’, ‘동쪽’이라고 한 것을 가지고 자리의 차례를 정해야 하니, 이는 바꿀 수 없는 정론입니다. 이전부터 행해 오던 대로 따르고 고치지 않는 것이 정도(正道)에 맞을 것입니다. 이렇게 하는 것이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주-D001] 기우용(奇羽用) : 
기문현(奇文鉉, 1811~?)으로,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우용이다. 거주지는 광주(光州)이고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후손이다. 1844년(헌종10)에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정언, 충청 도사(忠淸都事), 부수찬, 부사직 등을 역임하였다.
[주-D002] 학궁(學宮)은 수선(首善)하는 곳이므로 : 
수선은 ‘선(善)을 시작함’ 또는 ‘모범을 세움’의 뜻으로, 한 무제(漢武帝) 때의 재상인 공손홍(公孫弘)이 학관(學官)이 되었을 때에 교육과 관련된 제도를 혁신할 것을 청하면서 한 말에, “교화를 시행하려면 수선하기를 도성으로부터 시작해서 안에서 밖으로 미쳐 가야 합니다.[教化之行也, 建首善自京師始, 由内及外.]”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유래하여 수선이 도성이나 태학(太學)을 지칭하게 되었다. 《史記 卷121 儒林列傳》
[주-D003] 연향(宴享)할 …… 위함이다〔燕毛所以序齒也〕 : 
이 말은 《중용장구(中庸章句)》 제19장에 보인다.
[주-D004] 우옹(尤翁)께서도 …… 하였습니다 : 
우옹은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이다. 눌재(訥齋)는 박상(朴祥, 1474~1530)으로,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창세(昌世), 호는 눌재이다. 사암(思菴)은 박순(朴淳, 1523~1589)으로,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화숙(和叔), 호는 사암이다. 고봉(高峯)은 기대승(奇大升, 1527~1572)으로,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명언(明彦), 호는 고봉ㆍ존재(存齋)이다. 1578년(선조11)에 김계휘(金繼輝)의 주도로 기대승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광주(光州)에 망천사(望川祠)를 창건하고 위패를 모셨는데, 1654년(효종5)에 ‘월봉(月峯)’이라고 사액되었고, 1671년(숙종27)에 송시열 등의 건의로 인근의 덕산사(德山祠)에 모셔져 있던 박상과 박순의 위패를 옮겨 와 기대승과 함께 합사(合祀)하였다. 합사할 때에 송시열이 기대승에게 고유하는 축문을 지었는데, 이 축문은 송시열의 문집인 《송자대전(宋子大全)》 권151에 〈월봉서원눌재사암합향시고기고봉문(月峯書院訥齋思菴合享時告奇高峯文)〉이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다.
[주-D005] 본 서원의 빈주(賓主) : 
본 서원은 월봉서원(月峯書院)을 이른다. 월봉서원은 본래 기대승(奇大升)을 제향하기 위해 창건된 곳이므로 기대승이 서원의 ‘주(主)’가 되고 박상(朴祥)과 박순(朴淳)이 ‘빈(賓)’이 된다.
[주-D006] 송자대전(宋子大全)에 …… 것은 : 
앞서 말한 〈월봉서원눌재사암합향시고기고봉문(月峯書院訥齋思菴合享時告奇高峯文)〉 아래에 춘향(春享)과 추향(秋享)의 축문도 함께 덧붙여져 있는데, 여기에는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 눌재(訥齋) 박상(朴祥), 사암(思菴) 박순(朴淳)의 순서로 실려 있다. 《宋子大全 卷151 月峯書院訥齋思菴合享時告奇高峯文》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