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 금남군의 유허에서〔鄭錦南遺墟〕 -매천집 제4권 / 시(詩)○임인고(壬寅稿)

정 금남군의 유허에서〔鄭錦南遺墟〕 - 매천집 제4권 / 시(詩) ○임인고(壬寅稿)

병등 차고 일어나 인장 옆에서 잠들다가 / 兵燈蹴起印傍眠
자연스레 풍운 빌려 하늘 위로 올렸네 / 穩借風雲送上天
똑같이 당대의 참된 안목이지만 / 一種當時眞眼力
권공이 의당 이공보다 앞섰으리라 / 權公合在李公先

주문과 기맥의 실버들에 봄이 한창인데 / 朱門綺陌柳絲春
거꾸로 최장이 날마다 문에 이르렀네
/ 倒見崔張日到門
사대부는 원래 나에게 달린 것이거늘 / 士大夫原於我在
천추에 어리석은 이는 기승진일세
/ 千秋痴絶紀僧眞


재주 있는 신하는 형세 판단 유독 밝아 / 才臣審勢眼偏明
맹약 먹물 바랠 즈음 죽기를 다투었네 / 盟墨將渝判死爭
만약 직접 남한의 일 겪었더라면 / 使也身逢南漢日
고심함은 결단코 완성에 뒤지지 않았으리 / 苦心端不後完城


하사 받은 집에서 여러 해 병상에 누웠더니 / 賜第多年病臥床
줄을 이은 어장은 하늘의 향기 띠었네 / 魚麞絡繹帶天香
광산의 풀밭 봄이 와도 돌아온 적 없으니 / 光山春艸無歸日
못 믿겠네, 영웅이 고향을 그리워한다는 말을 / 不信英雄戀故鄕


[주-C001] 임인고(壬寅稿) : 
1902년(광무6), 매천이 48세 되던 해에 지은 시들이다.
[주-D001] 정 금남군(鄭錦南君) :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무신(武臣)인 정충신(鄭忠信, 1576~1636)을 가리킨다.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이며,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1592년(선조25) 임진왜란 때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종군하다가 이항복(李恒福)의 주선으로 학문을 배웠고, 그해 무과에 급제하였다. 1624년(인조2) 이괄(李适)의 난에 공을 세워 금남군에 봉해졌고, 1627년 정묘호란 때 부원수(副元帥)를 지냈다. 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복서(卜筮)ㆍ의술(醫術) 등에 밝았고 청렴하기로 이름이 높았다. 저서에 《만운집(晩雲集)》, 《백사북천일록(白沙北遷日錄)》, 《금남집(錦南集)》 등이 있다.
[주-D002] 병등(兵燈) …… 잠들다가 : 
정충신은 조부 때부터 절도영(節度營)에 속한 정병(正兵)이었고, 부(府)에 예속된 지인(知印)의 직책을 겸하고 있었다. 지인은 인장을 관리하는 천리(賤吏)이다.
[주-D003] 풍운 …… 올렸네 : 
풍운은 난리를 뜻하니, 난리를 평정하여 조정에 천거되었음을 의미한다.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가 〈증헌납사기거전사인징(贈獻納使起居田舍人澄)〉이라는 시에서 자신을 천자에게 천거해 주기를 바란다는 의미로, “양웅에게 다시 〈하동부〉가 있으니, 오직 불고 불어 하늘 위로 올라가길 기다리네.〔揚雄更有河東賦 唯待吹噓送上天〕”라고 하였다.
[주-D004] 권공(權公)이 …… 앞섰으리라 : 
권율이 이항복보다 먼저 정충신의 재능을 알아보았다는 말이다. 임진왜란 때 권율이 광주 목사(光州牧使)로서 군대를 일으켜 적을 토벌하였는데, 당시 17세였던 정충신이 적을 정탐하겠다고 자원하여 결국 임무를 완수하였으므로 권율이 크게 기이하게 여겼던 일을 가리킨다. 그 일이 있은 뒤, 선조(宣祖)의 행재소(行在所)에 보고를 올릴 때도 그를 믿고 맡겼다.
[주-D005] 주문(朱門)과 …… 이르렀네 : 
화려한 명문가의 자손이 신분이 미천한 정충신과 어울려 지낸 것을 의미한다. 주문은 붉은색을 칠한 왕공(王公)이나 귀족(貴族)의 주택 대문을 말하고, 기맥(綺陌)은 번화한 도로나 풍경이 아름다운 교외의 도로를 말한다. 모두 신분이 귀한 대갓집과 도로를 가리킨다. 최장(崔張)의 최는 최명길(崔鳴吉, 1586~1647)을 말하고, 장은 장유(張維, 1587~1638)를 말하는데, 이항복의 권유로 정충신과 교유를 맺었다.
[주-D006] 사대부는 …… 기승진(紀僧眞)일세 : 
사대부는 남이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스스로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는 말이다. 제(齊)나라 무제(武帝) 때의 중서사인(中書舍人) 기승진이 사대부가 되고 싶어 무제에게 청하였는데, 무제가 “이는 내가 마음대로 할 수가 없다. 강효(江斆)에게 가보라.” 하므로, 강효에게 나아갔으나 그가 홀대하자, 승진이 기가 죽어 물러나 무제에게 고하기를, “사대부는 참으로 천자가 명해서 되는 것이 아닙니다.” 하였다. 《南史 卷36 江斆列傳》
[주-D007] 맹약 …… 다투었네 : 
맹약 먹물이 바랜다는 것은 공신으로서 맺은 맹약을 어기는 것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의 공신 이괄(李适, 1587~1624)이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어 역란을 일으킨 것을 가리킨다. 정충신은 도원수 장만(張晩)의 휘하에서 전부대장(前部大將)으로 황주와 서울 안산(鞍山)에서 이괄의 군대를 무찔러,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데 결정적인 공을 세움으로써 진무 공신(振武功臣) 1등으로 금남군(錦南君)에 봉해졌다.
[주-D008] 남한의 일 : 
1636년(인조14) 병자호란 때 청나라 군대에 의해 포위된 남한산성에서 끝까지 싸워야 한다는 측과 강화(講和)를 해서 훗날을 기약해야 한다는 측의 주장이 대립하다가 결국 강화론의 주장대로 항복한 일을 가리킨다.
[주-D009] 완성(完城) :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최명길(崔鳴吉)을 가리킨다.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자겸(子謙), 호는 지천(遲川) 또는 창랑(滄浪)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이항복(李恒福)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05년(선조38)에 생원시에서 장원하고, 그해 증광 문과에 급제하였다.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고, 이괄의 난과 정묘호란에서 공을 세웠다. 병자호란 이후에는 영의정으로서 각종 제도 개혁에 기여하였으며, 호패법(號牌法)을 시행하였다. 양명학(陽明學)에도 조예가 있었다. 문집으로 《지천집》과 《지천주차(遲川奏箚)》가 있다. 척화 일색의 조정에서 홀로 강화론을 주장하여 당시는 물론 성리학적 명분론을 앞세우는 후세 사대부들의 비난을 받았다.
[주-D010] 어장(魚麞)은 …… 띠었네 : 
임금으로부터 음식물이 내려왔다는 뜻이다. 어장은 어물과 노루 고기로서 귀한 음식물을 가리킨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