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간공이 시호를 맞던 날 병으로 가지 못했는데 예랑이 시를 지었다는 말을 듣고서〔靖簡公延謚日以病未赴聞禮郞有韻〕 - 노사집 제1권

정간공이 시호를 맞던 날 병으로 가지 못했는데 예랑이 시를 지었다는 말을 듣고서〔靖簡公延謚日以病未赴聞禮郞有韻〕 - 노사집 제1권

사문에서 조서를 맞이함이 놀라운데 / 私門驚見紫泥延
길을 앞선 북 징소리 먼 하늘에 은은하네 / 先道鼓鑼隱遠天
시호 내림이 전례에 따른 것이라지만 / 節惠縱然因典禮
은영은 유난히 증현손까지 후하게 내렸네 / 恩榮偏若篤曾玄
사람들 고봉의 미덕을 계승했다 하고 / 人稱克世高峯美
일은 우연치 않게 면앙 해와 같았네 / 事不偶同俛仰年
삼원의 낭관으로 문장이 특별한데 / 郞位三垣文采別
병들어 영현을 뵙지 못함이 부끄럽네 / 漳濱慚負接英賢


[주-D001] 정간공(靖簡公) : 
정간은 기언정(奇彦鼎, 1716~?)의 시호이다.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중화(仲和), 호는 나와(懶窩)이다. 기대승(奇大升)의 후예이다. 1763년(영조39) 10월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벼슬길에 올랐는데 1771년(영조47)에는 정언이 되었다. 당시 기대승의 후광을 입어 1782년(정조6)에는 당상관으로 특별히 초자(超資)되어 승정원 동부승지가 되었으며, 계속 순탄한 벼슬길을 걸었다. 성격이 청렴하고 강직해서 1786년 대사간에 발탁된 뒤, 세 번이나 연달아 이를 역임하다가 1792년에는 대사헌에 취임하여 관원들의 기강을 바로잡는 일에 진력하였다. 1795년에는 다시 공조 판서가 되었다. 어려서부터 성리학에 심취하여 관계서적을 조석으로 암송하였다.
[주-D002] 조서 : 
본문의 ‘자니(紫泥)’는 자색의 인니(印泥)이다. 임금의 조서(詔書)는 무도(武都)의 붉은 진흙으로 봉한다.
[주-D003] 시호 내림 : 
본문의 ‘절혜(節惠)’란 군주가 죽은 신하에게 시호를 내려줌을 이른다. 《예기(禮記)》 〈표기(表記)〉에 “선왕이 시호로써 이름을 높이고 한 가지 선으로써 요약했다.〔先王諡以尊名 節以壹惠〕”라고 하였다. 이는 아름다운 시호를 내려 그 이름을 높이되 여러 가지 선행을 다 들기 어려우므로 가장 큰 것을 요약하였음을 말한다.
[주-D004] 고봉(高峯) : 
기대승(奇大升, 1527~1572)으로,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명언(明彦), 호는 고봉이다. 32세에 이황(李滉)의 제자가 되었으며, 이항(李恒)ㆍ김인후(金麟厚) 등 호남의 석유(碩儒)들을 찾아가 토론하는 등 학문에 대한 열정이 컸다. 특히 이황과 12년 동안 서한을 주고받으면서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을 주제로 논란을 편 편지는 유명한데, 이것은 유학사상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된다. 광주(光州)의 월봉서원(月峰書院)에 배향(配享)되어 있으며, 주요 저서에 《고봉집(高峰集)》ㆍ《주자문록(朱子文錄)》ㆍ《논사록(論思錄)》 등이 있다.
[주-D005] 면앙(俛仰) : 
송순(宋純, 1493~1583)으로, 본관은 신평(新平), 자는 수초(遂初), 호는 면앙이다. 1519년(중종14)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고, 1547년(명종2) 주문사(奏聞使)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를 지냈다. 1569년(선조2) 대사헌 등을 거쳐 우참찬(右參贊)에 이르러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가 치사(致仕)했다. 문집에 《면앙집》이 있다.
[주-D006] 삼원(三垣) : 
동양 천문학에 있어서의 성좌의 세 구획인 태미원(太微垣)ㆍ자미원(紫微垣)ㆍ천시원(天市垣)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예조를 가리킨다.
[주-D007] 병들어 : 
본문의 ‘장빈(漳濱)’은 병이 들어 몸져누웠다는 뜻의 시어(詩語)이다. 삼국 시대 위(魏)나라 건안 칠자(建安七子)의 한 사람인 유정(劉楨)이 조조(曹操)의 아들인 조비(曹丕)와 절친하였는데, 그가 조비에게 빨리 찾아와 주기를 간청하면서 보낸 시의 내용 중에 “내가 고질병에 심하게 걸려서, 맑은 장수(漳水) 가에 몸져누워 있다.〔余嬰沈痼疾 竄身淸漳濱〕”라는 말이 《문선(文選)》 권23 〈증오관중랑장(贈五官中郞將)〉 4수 중 둘째 시의 첫 구절에 나온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