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진훤(甄萱)의 별전(別傳) - 동사강목 부록 상권 상 / 고이(考異)

동사강목 부록 상권 상 / 고이(考異), 사마광(司馬光)이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지을 때에 뭇 책을 참고하여 그 같고 다른 점을 평하고 취사에 뜻을 두어 《고이(考異)》 30권을 지었으니, 전실(典實)하여 법다운 것만 뽑았다. 이것이 역사를 쓰는 자의 절실한 법이 되기에 이제 그를 모방하여 《동사고이(東史考異)》를 짓는다.

진훤(甄萱)의 별전(別傳)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 이비가기(李碑家記)를 인용하여,


“진흥왕(眞興王)의 비(妃) 사도(思刀)의 시호는 백숭부인(白????夫人)이니, 그의 셋째 아들 구륜공(仇輪公)의 아들인 파진간(波珍干) 선품(善品)의 아들 각간(角干) 작진(酌珍)이 왕교파리(王咬巴里)를 아내로 맞아 각간 원선(元善)을 낳으니 이가 아자개(阿慈介)이다. 자개의 첫째 부인은 상원부인(上院夫人)이요, 둘째 부인은 남원부인(南院夫人)인데, 아들 다섯과 딸 하나를 낳았다. 장자는 훤(萱)이요, 둘째는 능애(能哀)요, 셋째는 용개(龍蓋), 넷째는 보개(寶蓋), 다섯째는 소개(小蓋)이며, 딸은 대주도금(大主刀金)이다.”


하였다. 김씨(金氏 일연(一然)의 속명이 김견명(金見明)이다)는 또 고기(古記)의 말을 인용하였으나 그 역시 허황한 말이다.


고기(古記)에는 이렇게 되어 있다.


옛날에 한 부자가 광주 북촌(光州北村)에 살았는데, 딸 하나가 있어 외모가 단정하였다. 그 딸이 아비에게 하는 말이 ‘매양 자주색 옷을 입은 남자가 저의 침실에 들어와 관계합니다.’ 하니, 그 아비가 딸에게 ‘네가 긴 실을 바늘에 꿰어 그 남자 옷에 꽂아 두어라.’ 하고 일렀다. 딸은 이와 같은 아비의 말을 따랐는데, 날이 밝자 바늘에 꿴 실을 북쪽 담 밑에서 찾아 보니, 바늘이 큰 지렁이의 허리에 꽂혀 있었다. 후에 그로 말미암아 한 사내아이를 낳았는데, 15세가 되자 자칭 진훤(甄萱)이라 하더니, 뒤에 왕(王)으로 참칭하고 완산(完山)에 도읍을 세웠다.
또 김씨는 《삼국사기(三國史記)》 본전(本傳)을 인용하여,
“훤(萱)의 본성(本姓)은 이씨(李氏)였는데 후에 진씨(甄氏)라 했다. 그의 아버지 아자개(阿慈介)는 농업으로 생활을 하였는데, 광계(光啓 당 희종(唐僖宗)의 연호. 873~888) 연간에 사불성(沙弗城)지금의 상주(尙州) 에 웅거하여 스스로 장군이라 일컬었다. 아들이 넷이 있었는데 모두 세상에 이름이 알려졌으며, 그 중 훤은 걸출(傑出)하다 불렸고 지략이 많았다.”


하였는데, 광계(光啓) 이하 26자는 본사(本史)에 나오지 않았으니 아마 별본(別本)이 있는가 보다. 《동국통감(東國通鑑)》에서 두 가지를 다 뒤섞어 취하였기 때문에 이에 생략한다.


이비가기(李碑家記)에 또,
“진훤이 아들 아홉을 두었으니, 장자는 신검(神劒) 또는 진성(甄成)이라 하고, 둘째는 태사(太師) 겸뇌(謙惱), 셋째는 좌승(佐丞) 용술(龍述), 넷째는 태사(太師) 총지(聰智), 다섯째는 대아간(大阿干) 종우(宗祐), 여섯째는 실전되고, 일곱째는 좌승(佐丞) 위흥(位興), 여덟째는 태사(太師) 청구(靑丘), 아홉째는 실전되었으며, 딸은 하나로서 국대부인(國大夫人)이니 모두 상원부인(上院夫人)의 소생이다.”
하였는데, 이는 본사(本史)에 나오지 않았기에 특별히 이에 기록하여 이문(異聞)을 삼는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