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읍궁암(눈물바위)의 푸른 이끼


서구 용두동 봉학마을에는 읍궁암泣弓巖이 있어요. 엄이재掩耳齎 뒤편에 있는 푸른 이끼가 낀 바위를 말합니다. 이 엄이재는 한말 유학자이자 깨어있는 지식인으로 평가받는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18551934) 선생이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세상과의 인연을 끊고 봉황산鳳凰山에 들어가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한 곳이죠. 엄이는 귀를 닫았다는 뜻이에요. 스스로 세상과의 단절 혹은 절연을 실천한 셈이죠. 푸른 이끼가 낀 바위 역시 말이 없었겠지요.

어지러운 세상에 귀를 닫아버리고[掩耳] 싶다는 뜻을 지닌 엄이재는 혼돈의 세상에서 새 세상을 기다리는 행위였는지도 모를 일이죠. 아마도 제 힘으로 어쩔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의 귀 앞에 커다란 벽을 두고, 스스로를 침묵의 세상에 가두고 싶은 심정이 들지 않았을까요. 현와도 마찬가지였겠죠. 옛날 학자들은 대개 성품은 청렴하고 정직하지만 그 행동이 우유부단하고 연약한 것이 흠이었지요. 안다는 것이 자칫 이성에만 치우쳐서 결단을 저해하고 고고한 채 세상을 달관하려 들기 때문입니다.

그에 비하면 한말의 명유名儒 현와 고광선 선생은 그 범주를 벗어난 정의감이 꿋꿋한 인물이었다고 봅니다. 귀를 닫아버리고 세상과 담을 쌓고 싶다는 것은 그만큼 세상과 맞서는 강직한 심정을 헤아리게 만드는 셈이죠.

제봉 고경명의 후손인 현와는 18551223일 지금의 남구 압촌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1862년에 부친으로부터 글을 배우기 시작했는데 어려서부터 모습이 민첩하고 단정했다고 합니다. 또 글 읽기를 하면 송독誦讀에 능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늘상 칭찬을 받았지요. 일찍이 조선 후기의 학자 덕암 나도규(1826~1885) 선생에게 취학하고 조선을 대표하는 마지막 유학자인 노사 기정진(17981879) 문하에서 수학했습니다.

이런 현와가 이곳에 엄이재를 만들게 된 데는 1905년 을사보호조약 체결이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되었지요. 소위 을사오적乙巳五賊에 의해 1905년 일본과 보호조약이 맺어지고 민영환, 조병세 등 지사들의 자결소식을 듣고 격분한 나머지 홀로 압촌을 떠나 서창면 용두동 산 79번지 봉황산 중턱으로 찾아들었다고 해요. 고광선 선생은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자 망국의 비운을 강개하여 귀를 막고 아무 것도 듣지 않겠다는 결심으로 1906년 엄이재를 짓고 봉황산 기슭에 들어앉게 된 것입니다. ‘엄이掩耳는 앞서 말했듯 귀를 막고 듣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상과의 의도적인 단절을 원했던 것이지요. 엄이재의 유래는 이처럼 한말 망국의 비운을 강개하여 귀를 막고 아무 것도 듣지 않겠다는 현와의 의중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귀를 닫는다고는 하지만 선생의 학덕을 기리는 이 지방 선비들이 그대로 내버려 두지를 않았어요. 이들이 몇 번이고 부탁을 해 사양하지를 못하고 결국 후학들을 가르치게 된 거에요. 그러자 어느새 그의 산중처소에는 제자들로 문전성시를 이루게 되고 봉황산 일대는 글 읽는 소리가 메아리쳤다고 합니다. 선생은 제자들에게 학문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구국救國의 지절志節을 일깨우고 선비의 덕의德義와 사변思辯을 가르쳐 이 마을이 학자들이 많이 나오는 마을이 된 거에요.

엄이재가 있는 아랫마을은 봉학鳳鶴이라 불리는 데 은행나무와 감나무가 어우러져 멀리서 보면 황금빛으로 빛나 보여요. 마을길을 가로질러 300m 오르면 엄이재와 봉산사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읍궁암은 마치 큰 무덤처럼 생겼고 그 앞에는 제단처럼 생긴 바위가 가시덤불 속에 남아있는데 쏜살같이 흘러간 시간의 무상함을 보여주는 듯 하지요. 바위가 여기저기 푸른빛이 나도는데 이끼처럼 보여요. 마치 지금은 다 말라서 아예 바위로 채색된 것 같아요. 고광선 선생은 1910년 국치일을 맞게 되자 백의배립白衣白笠으로 북향 통독한 후 두문불출 한 채 엄이재에 은둔하면서 그 왼편 뒤쪽에 왕릉처럼 생긴 이 바위에서 국권회복國權回復을 위해 노력하다 슬픔 속에 가신 고종임금을 몹시 흠모하여 그 바위를 고종임금의 능묘陵墓로 삼고 조석으로 그 앞에서 백의백립하며 3년간 곡하며 지냈다 하지요. 그때 흘린 눈물이 바위를 덮은 파란 이끼가 됐었다고 합니다. 지금도 선연히 우리에게 슬픔을 전해주고 있는 듯합니다.

마지막으로 고광선 선생이 드러나는 현와유고수록작 엄이재掩耳齎 원운原韻을 소개하는 것으로 이 이야기를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엄이동 골짜기에 집지어 놓으니/날마다 골짜기는 구름과 이웃하오/밤이면 밝은 달 샘물에 뜨고/새벽이면 외로운 섬에 노을 흐르네/바위틈에 죽은 자취 드리우는데/나라 잃고 세상 등진 백성의 뜻/더러운 세상사 말하지 마오/산빛은 아득히 먼 옛 봄이라오

재미있는 것은 읍궁암이 우울한 역사와 관련이 된다는 것입니다. 충북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에 화양구곡이 있는데 거기에도 읍궁암이 있지요. 조선 후기 문신 겸 학자, 노론의 영수, 주자학의 대가였던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1607~1689)이 조선 제17대 왕 효종孝宗(1619~1659)이 붕어하자 엎드려서 통곡했다는 곳이에요.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18551223일 광주 복촌復村(남구 압촌 마을)에서 호은湖隱 고박주高璞柱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장흥으로 제봉 고경명의 후손이다. 문과 좌랑으로 기묘명현이었으며, 맹영은 문과 부제학이다. 서구 용두동 봉학마을 봉황산에 들어가 엄이재掩耳齎를 짓고 후학 양성에 전념했다. 1934년에 만귀정 중건기를 쓴 이가 현와다. 그의 사후 30여년이 지난 1962년 박하형朴夏炯 등 문인들이 편집. 간행한 현와유고弦窩遺稿(168)에 시 165. 442편 등이 수록됐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