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重菴先生文集卷之四十三 / 記 - 聿脩齋記 a320_171d
중암(重菴) 김평묵(金平默, 1819~1891)은 한말 격동기의 儒林의 거장으로, 梅山 洪直弼과 華西 李恒老에게 수학하였고, 이항로의 理主氣客論과 尊王攘夷 사상을 그대로 이어받아 실천하고 행동한 인물이다. 같은 同門으로 柳重敎, 崔益鉉 등을 들 수 있으며, 문하에서 洪在龜, 柳麟錫, 柳基一 등이 배출되었다. 저자가 편찬한 것으로는 「近思錄附註」, 「程書分類集疑」, 「隆師錄」, 「道東譜」가 있고, 저술로는 「闢邪錄」, 「淸城家傳」, 「治道私議」, 「宋子事實記」가 있으며, 문집 백여 권이 남아 있다고 하였다.
聿脩齋。在光州之魯登山下極樂江上。朴氏栢堂公諱某之墓舍也。栢堂之賢。余嘗爲之立傳矣。至是其孫鼎鉉,弼瑞氏。遣其子海量道謙甫。請記是齋。噫。聖人制爲祭祀之禮。豈故爲無理之虛設哉。父祖旣亡。聲容莫接。奉養無地。雨露之春。霜露之秋。孝子慈孫。自然有怵惕悽愴而不能已者。則惟有虔共祀事。致其著存而來饗也。姑以程朱以來士夫之禮言之。家必有廟。廟必有主。正至朔望必參。俗節必獻。時物必薦。仲月必四祭。季秋祭禰。忌日祭於正寢。瞻掃封塋。歲亦一行。是乃人心天理之同然也。自世敎廢。此心
陷溺。則報本追遠之說。不講於邦域之內。其或略因舊俗而不至盡廢者。心旣不誠則神無顧饗之理矣。嗚呼。工商貨色。彌滿六合。而不知有他事。凡彝倫所繫。烏得不然。天意人事。可以哀痛而傷心者矣。弼瑞自其同姓前輩遜齋公。得華陽之正學。而爲湖南之儒宗。則淵源之漸。旣有以異於他族矣。至於道謙。當歲寒之時。南浮漲海。北踏萬山。以與觸罪擯辱廢棄不齒之流。從事而不厭。則陰陽向背。亦可謂得是非之心矣。况其聿脩之扁。盖取諸文王詩所云則其志又將。夙夜念祖。擴大其德。不止於追遠報本以爲孝
也。嗚呼。審如是。蹄跡之交。倀鬼之恣。終亦有可制之道矣。吾且引領南嚮而望其日進於高遠也。遂書以還之。永曆四乙酉重陽節。淸城金平默。記。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