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박광후 朴光後

안촌(安村) 박광후(朴光後, 1637(인조 15)∼1678년숙종 4)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사술(士述), 호는 안촌(安村)이다.

조부는 진사(進士) 칠졸재(七拙齋) 박창우(朴昌禹)이고, 부친은 충의위(忠義衛) 박천용(朴天用)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다. 모친은 남씨(南氏)이고 부인은 홍씨(洪氏)이다. 광산구 비아 도천동(光州 鵝山里)에서 출생했고 가까운 안청동에 머물렀다.

1666년(현종 7) 병오식년사마시(丙午式年司馬試)에 생원 3등으로 합격하고 성균관(成均館)에 들어갔으나 병약으로 벼슬할 뜻을 접고 42세의 젊은 나이로 죽어 기질을 세상에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였다.

안청마을은 조선 효종 때 박광후가 정착 개촌하면서 그 아호를 따 안청安淸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는 불의에 굴하지 않는 강직한 성품으로 당시의 혼탁한 정국을 비판하고 벼슬길에 나갈 뜻을 접고 안청마을 외성당에서 학문에 열중했다.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은 그를 '은산(銀山)과 철벽(鐵壁)'에 비유하였고, 또한 "큰불이 동연(洞然)에 타지 않은 구슬이다'라고 평한 인물이다.  그의 확고부동한 절개와 의리를 기리며 슬프다 이 험악한 시운)에 사술(士述 안촌의 자)같은 순결한 성품의 그가 어찌 안 죽을 수 있으랴?”라 하고 묘비문에, “아아 사술이여, 이렇게 죽고 말다니 이 세상 어디에 이 사람을 다시 볼 수 있으랴?”하며 애통해 했다.

그가 죽은 후  송시열과 정치적 입장을 달리했던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은 우암에게 보낸 글에서 “사술(士述)이 죽으니 남쪽지방(南州)에 다시 사람이 없다”라고 말하였다.

안촌의 유고인 <안촌세고(安村世稿>)에는 면암 최익현, 송사 기우만의 외성당기(畏省堂記) 등의 기문이 실려 있고 우암 송시열의 외성당 시 1수와 봉곡 송주석, 손재 박광일, 노사 기정진, 최승현, 최익현, 관어헌 박양동, 기우만, 난와 오계수 등의 외성당 차운시가 실려 있다시문집으로 《안촌집(安村集)》이 전해진다.

광주(光州) 진곡리(晉谷里)에 장사지냈다. 부인 홍씨와 사이에 1남 6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박중회(朴重繪)이다.


인조 15 1637 정축 崇禎 10 1 3월 3일, 光州 鵝山里에서 태어나다.
인조 16 1638 무인 崇禎 11 2 부친상을 당하다.
효종 1 1650 경인 順治 7 14 南陽洪氏와 혼인하다.
효종 5 1654 갑오 順治 11 18 조부상을 당하다. 承重하여 상을 치르다.
효종 7 1656 병신 順治 13 20 향교를 출입하며 공부하다.
현종 1 1660 경자 順治 17 24 서울과 호서를 왕래하며 宋時烈을 비롯한 명사들과 교유하다.
현종 7 1666 병오 康熙 5 30 진사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입학하다.
현종 9 1668 무신 康熙 7 32 겨울, 成渾과 李珥를 모욕하였다는 이유로 閔黯의 謁聖을 저지하다. ○ 12월, 朴祥, 奇大升, 朴淳의 合享을 宋浚吉, 宋時烈에게 상의하다.
현종 11 1670 경술 康熙 9 34 月峯書院에 박상, 기대승, 박순을 합향하다.
숙종 1 1675 을묘 康熙 14 39 5월, 송시열의 신원을 위해 도내에 통문을 돌리다. ○ 민암의 알성을 저지한 일이 문제되어 朴光五, 柳益瑞, 金震羽, 柳應壽 등과 함께 형을 받다.
숙종 3 1677 정사 康熙 16 41 송시열의 長鬐 謫所를 방문하여 5일간 머무르고 돌아오다. ○ 귀로에 慶州와 智異山을 유람하다.
숙종 4 1678 무오 康熙 17 42 楊夢擧 등이 鄭澈을 무함하자 상소하여 변론하다. ○ 9월, 金壽恒이 鐵原으로 移配 도중 방문하다. ○ 11월 15일, 安淸里 자택에서 졸하다.
숙종 5 1679 기미 康熙 18 - 2월, 晉谷里에 장사 지내다.
순종 2 1908 무신 隆熙 2 - 嗣孫 朴元圭가 활자로 문집을 인행하다.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등을 참고함

*2023.3.2. 최종 수정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