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555건
-
- 권천 權踐 세종 5년(1423) 7월 19일∼세종 6년(1424) 10월 7일 상경
- 권천 權踐 세종 5년(1423) 7월 19일∼세종 6년(1424) 10월 7일 상경권천(?∼1431)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백수(伯修)이다. 아버지는 의정부찬성사(議政 府贊成事)를 지낸 권근(權近)이다. 4형제 중 맏이로, 동생 권제(權踶)는 장원급제하고 숭정대부에 올랐으며, 권규(權跬)는 1403년 태종의 셋째 딸 경안공주와 혼인하였고, 권준(權蹲)은 세조 때 정난공신에 책봉되어 지중추원사를 역임하였다. 1406년 지평을 시작으로 사헌부 장령, 판전농시사, 1419년 상호군, 1425년 우군동지총제가 되었는데, 1429년에 기한 내에 가묘(家廟)를 세우지 않았다는 이유로 제천에 중도부처(中途付處) 당하였으나, 동생 권도(權蹈)가 상소하여 1430년 4월 8일에 석방되었다. 고려 말의 학자 이색(李穡)의 아들인 이종선(李種善)과 권근의 아들 권천은 처남매부 사이였다. 『금 성일기』「계묘년 1423년」의 기록에 “판목사 권천이 7월에 나주에 왔다가 갑진(1424년) 10월 7일에 목사를 대행하다 상경하였다.”라고 되어 있다. 『금성읍지』에는 “계묘(1423 년) 7월 19일 도임, 갑진(1424년) 10월 7일 상경하였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14 | NO.510
-
- 권첨
- 권첨(權簷), 湖節3下-185-4, 光州, 壬辰, 熊峙殉節-《호남절의록》(1799)권첨의 본관은 안동이고 생원시 문과에 급제했다. 관찰사를 지냈다. 부친은 권항(權恒).이고 동생은 권반(權磐)이다.
- 2020-04-01 | NO.509
-
- 권필
- 권필은 광해군(光海君)의 처남 유희분(柳希奮)의 전횡을 보다 못한 임숙영(任叔英)이 대책문(對策文)에서 그의 무도함을 공박하였다가 광해군의 뜻에 거슬려 삭과(削科)된 사실을 듣고서 분함을 참지 못하고 〈궁류시(宮柳詩)〉를 지어 풍자하였다. 시의 원래 제목은 〈문임무숙삭과(聞任茂叔削科)〉인데, 그 내용은 “궁궐의 버드나무 푸르고 버들개지 어지러이 흩날리는데 장안에 가득 찬 벼슬아치들 봄볕에 아첨하네. 온 조정 모두 태평성세를 축하하는데 그 누가 직언을 포의에게서 나오게 하였는고.[宮柳靑靑花亂飛 滿城冠蓋媚春暉 朝家共賀昇平樂 誰遣危言出布衣]”이다. 권필은 이 시에서 은연중에 유희분을 궁류에, 임숙영을 포의에 비유하였다가 임금을 무시하였다는 혐의를 받아 결국 친국(親鞫)을 당하고 경원(慶源)에 유배되었는데, 숭인문(崇仁門)을 나가 유배를 떠나다가 길가의 민가에서 44세의 나이로 졸하였다. 《石洲集 卷7 聞任茂叔削科, 韓國文集叢刊 75輯》 《明齋遺稿 卷43 童蒙敎官贈司憲府持平權公行狀, 韓國文集叢刊 136輯》
- 2022-05-08 | NO.508
-
- 권협 權悏 선조 33년(1600) 2월 8일∼선조 34년(1601) 10월 19일
- 권협 權悏 선조 33년(1600) 2월 8일∼선조 34년(1601) 10월 19일권협(1553∼1618)은 1605년 전라감사 겸 전주부윤을 역임하였다. 앞서 1600년 2월에 나주목사로 부임하여 1601년 10월 19일 이임하였다. 『금성읍지』에는 “경자(1600 년) 3월 18일 도임하였고 체직 일자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되어 있으나, 1601년 10월 19일에 체직되었다. *상세이력은 전라감사편 참조.*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17 | NO.507
-
- 권희맹 權希孟 중종 11년(1516) 3월 27일∼중종 16년(1521)
- 권희맹 權希孟 중종 11년(1516) 3월 27일∼중종 16년(1521)권희맹(1475∼1525)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자순(⼦醇), 호는 수암(⽔庵)이다. 아버지는 어모장군 권상(權詳)이다. 1498년 식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507년 증광시 문과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로 등용되고 추성정난공신 3등에 책록되어 승훈랑 성균관 전적이 되었다. 이어서 정언, 헌납, 지평, 장령을 거쳐 1516년 나주목사로 부임했다. 나주목사 재임 시 산신당(⼭神堂)에 제사를 못 지내게 하고 무녀(巫⼥)들에게 퇴미세(退⽶稅)를 거두는 등의 방법으로 음사(陰祀)를 금지시킨 일을 전라감사 허굉(許硡) 이 보고하니, 중종이 칭찬하고 옷감 한 벌을 하사하였다. 또한 1519년 기묘사화로 조광조(趙光祖)가 능성(綾城)에서 죽음을 당하자 연루됨을 두려워하지 않고 죽음을 슬퍼하며 장례를 성심껏 지내 주었다 한다. 1521년 나주목사에서 장악원 정으로 옮겨 가 7 월에 통정대부로 가자되었으며, 형조참의와 1524년 강원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금성 읍지』에는 “병자(1516년) 3월 27일에 도임하였고, 신사(1521년) 통정대부로 승진하였 다.”는 기록이 있다. 나주객관[금성관] 안에 「행목사권공희맹자혜선정비」가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15 | NO.506
-
- 금강 기효간(1530~1593)
- 기효간의 본관은 행주幸州이고 자는 백고(伯顧), 호는 금강錦江 또는 인재忍齋이다. 아버지는 호조판서로 추증된 고흥군(高興君) 기대유(奇大有), 어머니는 함양오씨이다. 기효근奇孝謹의 형이며 장성에 정착한 기원의 후손으로 아곡에서 태어났다. 그는 성품이 온화하고 외모는 엄격하였다. 이는 소학의 법도를 널리 익혔기 때문이다. 그는 효성도 지극했다. 부친상을 당하여 죽을 마시며 3년 동안 시묘를 살았다 하여 산 이름을 제청산祭廳山이라 하였다. 김인후金麟厚와 이항李恒의 문인이며 기대승의 문하에도 출입하였다. 기효간은 시간이 있는대로 종숙되는 고봉 기대승(1527~1572)에게 찾아가 학문의 의문점을 토의하였다. 기효간은 한평생 조용히 살았다. 이는 증조인 복재 기준의 기묘사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 영향으로 일생동안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으며 후진양성에 주력하여 호남의 은덕군자隱德君子로 불렸다. 특히 하서 김인후(1510~1560)에게 배웠는데 하서는 내 정통을 이을 사람은 오직 그대라 하며 다음과 같이 시를 지어 주었다.하늘과 땅 사이에 두 사람이 있으니공자의 참된 기운 주자에게 전하여졌네.학문에 잠긴 마음 의혹하지 말고병들어 쇠약한 이내 몸 위로하게.김인후가 그에게 지어준 "우주의 중간에 두 분이 있는데, 공자는 원기이고, 주자는 참됨이다."라는 시는 도를 전해 받은 시로 알려졌다. 동문인 김천일, 정철, 변이중 등과 교유하였으며 그의 문하에서 오희길 등의 학자가 배출되었다. 기효간은 임진왜란 때인 1592년 김경수(金景壽) 윤진(尹軫) 김홍우(金弘宇) 이수일(李守一) 등과 함께 각 고을에 격문을 보내어 의병을 모아 11월 초단(草壇)을 설치한 바 있다. 김경수를 맹주로, 김제민(金齊閔)을 의병장으로 삼았는데 1902년 호남의 유림들이 건립한 남문창의(현 북일면 오산리) 에 77선열(승려 9명, 노복 1명) 이 기록돼 있다. 사후에는 호조참의에 추증되었으며 장성 추산서원(秋山書院)에 제향되었다.장성군 황룡면 이곡리(아치실)에 그의 제각과 유적비, 묘갈명 등이 있다. 조선 중기의 시인 백광훈(白光勳, 1537~82)의 옥봉시집玉峰詩集에 기효간에게 보내는 시가 있다.贈奇伯顧(증기백고)백고(伯顧) 기효간(奇孝諫)께相思幾歲隑音塵(상사기세개음진) 우리가 그리워 서신에만 의지한 지 몇 해든가요?千里空驚夢裡人(천리공경몽리인) (어젯밤엔 당신께서) 천리 먼 길을 건너 (제) 꿈에 나오시어 놀랐습니다.聚散元來無定算(취산원래무정산) (허나) 사람의 만나고 헤어짐은 (그렇게) 늘 뜻밖인 거지요海城花柳一番新(해성화류일번신) 바닷가 마을에서의 멋들어진 풍류(라) 더욱 새롭더이다
- 2020-05-06 | NO.505
-
- 금호 임형수(1514~1547)
- 금호錦湖 임형수林亨秀(1514~1547)는 병마절도사 임준林畯의 아들로 1514년 나주 송현동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평택이고 자는 사수(士遂), 호는 금호이다. 18세 때인 1532년(중종26) 진사과에 급제하고 1536년(중종30) 22세에 대과인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사국한림 시강원설서를 거쳐 홍문관 수찬으로 있었다. 1537년에 중종이 서울 서쪽 교외에 행차하여 농사일을 시찰하고 망원정에서 시 한 편을 짓게 했는데 병조판서 소세양이 1위를, 임형수가 2위를 하여 임형수는 사서삼경과 말 1필을 하사받을 정도로 문예가 뛰어났다.그의 시는 허균의 '학산초담'이나 '성수시화'에 실릴 정도로 걸작이었다. 허균은 임형수의 호방한 시를 칭찬하면서 그가 원통하게 일찍 죽은 것을 아쉬워하고 있다. 생전에 호당(湖堂)에서 함께 공부하였던 이황(李滉)·김인후(金麟厚) 등과 친교를 맺고 학문과 덕행을 닦았다.1538년 호당湖堂에서 사가독서하고 1539년 명나라 사신 원접사 종사관으로 있을 때 그 고상한 인품과 건아발속한 시재는 외국 사신들도 높이 평가하였다. 특히 1542년 임형수의 <유칠보산기(遊七寶山記)>는 3월 15일부터 21일까지의 비와 눈을 무릅쓴 산행 유람기이다. 칠보산은 함북팔경의 하나인데 그 이름에서 보듯 원래 일곱 개의 산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런데 여섯 개의 산은 바다에 가라앉고 이 산만이 남았다는 전설이 있다. 1544년(중종39)에 검상이 되었을 때 중종의 국상을 당하여 대제학 성세창 등 10인과 함께 대행왕의 행장을 짓는데 참여하였다.1545년(인종1) 정3품 당상관인 부제학에 올랐으며 사인이 되어 어명으로 중종의 묘지문과 명나라에 보내는 치적 및 시호를 청하는 대행왕의 시책문을 지었다.군기사정과 도감랑청으로서 왕릉의 묘역을 감독하였으며 그해 9월 제주목사로 부임하였다가 1년이 다 못되어 1546년(명종1) 명종이 즉위하자 을사사화가 일어나 제주목사로 쫓겨났다가 파직되어 귀향하였다.1547년 문정왕후의 수렴청정과 영의정 이기 등의 정권농락을 비난하는 양재역良才驛 벽서사건이 생기자 소윤 윤원형(尹元衡)에게 대윤 윤임(尹任)의 일파로 몰려 처음에는 소재 노수신, 미암 유희춘과 함께 절도안치하는 벌이 내려졌으나 벽서사건의 고발자인 부제학 정언각이 문정왕후에게 너무 가볍게 처벌한다는 상소가 있어 자택에서 사사되었다. 홍명희가 쓴 「임꺽정」에 의금부 금부도사가 가져온 사약을 임형수가 받는 장면은 유명하다. 퇴계 이황은 그를 '문무의 재능을 겸비한 호걸남아'라고 하였고 하서 김인후는 국가의 큰 인물이 원통하게 처형된 것을 슬퍼하여 시를 짓기도 하였다. 임형수는 34세로 임종 때 부모님께 하직인사를 드리고 장남 구가 당시 8세였는데 훈계하기를 '글을 안배우면 무식한 사람이 되니 글을 배우되 과거를 보지 않는 것이 좋다.'라고 하였다.선조 초에는 제일 먼저 을사사화의 억울한 옥사에 대한 원통함을 풀게 하고 구관직이 회복 되었으며 이조판서의 벼슬을 증직 받게 되었다. 사후에는 광산구 임곡동 등임사와 1702년(숙종 28) 나주의 송재서원(松齋書院)에 제향되었다. 정부인 하동정씨와의 사이에 2남 2녀를 두었으며 저서로는 『금호유고』가 있다.
- 2020-04-28 | NO.504
-
- 기경섭
- 기경섭(奇景燮, 1852~1916)의 본관은 행주이며 행주기씨(幸州奇氏)이다. 자는 백행(伯行), 호는 벽서(碧捿)이다.부 : 奇東燁 조 : 奇夏麟 증조 : 奇師達 외조 : 昌寧 曺亨振 처부1 : 長興 高濟運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고 1914년 6월 20일에 奇宇萬에게 편지를 보냈다
- 2020-02-05 | NO.503
-
- 기동만(奇東萬)
- 기동만(1856~1917)의 본관은 행주이다. 자는 사일(士一)이고 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다.1906년 6월 28일에 奇宇萬에게 편지를 보냈다.부 : 奇貞鉉조 : 奇命國증조 : 奇象默외조 : 南平 文在洙처부1 : 羅州 羅燾元처부2 : 錦城 羅承文
- 2020-02-24 | NO.502
-
- 기동운(奇東雲)
- 기동운(1855~1919)의 본관은 행주이며 자는 명국(明國)이다.부 : 奇德永조 : 奇師九증조 : 奇商浚외조 : 晋州 姜東桓처부1 : 全州 崔正煥『蘆沙執紼錄』에 따르면 1880년 노사선생 襄禮 때 참석하였다.
- 2020-02-24 | NO.501
-
- 기동익(奇東益)
- 기동익(1829~1897)은 본관이 행주이며 자는 노일(魯一), 호는 수곡(水谷)이다. 광주 우치동에 거주했다. 부 : 奇正鉉조 : 奇思淳증조 : 奇商師외조 : 咸陽 吳漢應처부1 : 光山 金江稷처부2 : 全州 李培煥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고 1889년에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을 기리는 모임에 참여하였다.참고 眉巖先生墓下會案 , 『蘆沙門人錄』
- 2020-02-21 | NO.500
-
- 기동찬(奇東燦)
- 기동찬(奇東燦, 1823~1853)의 본관은 행주, 자는 경문(敬文) , 호는 매천(梅泉)이다.부 : 奇恒錫조 : 奇師忠증조 : 奇商胤외조 : 高時奎처부1 : 宋文信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다
- 2020-08-08 | NO.499
-
- 기문현(奇文鉉)
- 기문현奇文鉉(1811~1861)의 본관은 행주이다. 자는 우용(羽用)이고 호는 송대(松臺)이다. 기백연奇百衍의 아버지이다.부 : 奇在善조 : 奇象仁증조 : 奇學祿외조 : 商山 金漢基처부1 : 延日 鄭在洙1844년 증광 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였고 기주관(記注官), 휘릉 별검(徽陵別檢),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선전관 겸 금위영종사관(宣傳官兼禁衛營從事官), 충청 도사(忠淸都事), 웅천 현감(熊川縣監),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거쳐 1856년 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을 거쳐 교리(校理)에 임명(任命)되었다. 1857년 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을 거쳐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이 되었고 은산 현감(殷山縣監)을 거쳐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에 다시 임명(任命)되었으며 1860년 동부승지(同副承旨)에 임명되었다. 문집에 《송대유고(松臺遺稿)》가 있다.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고 1859년 9월 18일에 奇陽衍에게 편지를 보냈다. 하엽정을 경영했다.노사집蘆沙集 권1 시편에 과거에 급제한 기문현의 처지에 다음과 같이 문중의 기대가 크다는 기쁨을 드러낸 글을 보냈다.왕가에서 선비 많이 났으니 / 王家富產士온 나라의 굴혈이 되었네 / 環海以爲穴선배들도 그 속에서 나왔으니 / 前輩出其中지금 좋은 종자가 어찌 끊기리요 / 好種今豈絶청아의 교화가 아직도 높으니 / 菁莪化猶隆악독의 영기가 다하지 않았네 / 嶽瀆靈未竭식년시가 삼년마다 이어지지만 / 令式三年比기재는 간혹 좋아하지 않았다네 / 奇才或不屑인재 구할 때 깊이 두려운 건 / 深懼夢卜下뛰어난 인물이 누락됨이니 / 有漏匪熊揲별도로 굉사과를 두어 / 別有宏詞科국가가 국경일 뒤에 설치하였네 / 邦家慶後設길목이 조금 넓혀지니 / 路陌差寬坦베틀 북이 맘대로 하여 / 機杼任出沒드디어 뛰어난 힘 가진 말이 / 遂令超乘蹄머리 숙이고 굴레를 받게 되었네 / 屈首受羈紲근일에 옥체가 강녕하시어 / 近日玉體康기쁜 기운이 온 누리에 넘치는데 / 喜氣寰宇溢병든 나는 궁산에 체류하여 / 病我滯窮山식은 마음은 다시 뜨거워지기 어렵네 / 灰心難再熱아직도 사방 이웃 쟁기질 부러워하며 / 尙戀四隣耒앉아서 과거장의 인걸들을 세어보네 / 坐數圍中傑한스러운 것은 이목이 좁은 것이니 / 所恨耳目狹자부하는 이 누가 기와 설인고 / 許身誰夔契우용은 우리 집안의 수재로서 / 羽用吾家秀문단에서 맘대로 척결하였네 / 藝苑恣剔抉준걸스런 자리에 혹시 오를까 / 俊遊行儻躡문중의 기대가 특히 간절하다네 / 門戶翹待切
- 2020-02-24 | NO.498
-
- 기분 奇賁 세조 10년(1464) 10월 13일∼세조 12년(1466) 2월 12일
- 기분 奇賁 세조 10년(1464) 10월 13일∼세조 12년(1466) 2월 12일기분(?∼?)의 본관은 행주(幸州)다. 딸이 덕수이씨 이조(李祖)와 혼인하여 이거(李琚)를 낳았는데, 이거는 이순신의 증조부이다. 1455년 12월에 판관 벼슬로 정난원종공신 3 등에 책록되었다는 기록 외에는 실록에서도 행적을 찾을 수 없다. 『금성일기』 「갑신년 1464년」에 “신임 목사 기분이 10월 13일에 도임하였는데 통정대부이다.”라고 기록되 었으며, 「병술년 1466년」 기록에 “전 목사 기분이 가선대부 호조참판이 되어 2월 12 일 서울로 떠났다.”라 되어 있다. 『금성읍지』에는 “갑신(1464년) 10월 13일에 도임하 였고, 병술(1466년) 10월 12일에 가선대부 호조참의로 발령되어 상경하였다.”라고 되어 있는데, 다음 김자행 목사의 부임이 1466년 3월이기 때문에 1466년 10월 12일은 2월 12일의 착오라 할 수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15 | NO.497
-
- 기사곤(奇師坤)
- 기사곤(?~)의 본관은 행주이다. 1842년 11월에 奇象忠 奇象黙 등과 함께 고양군 元堂面에 마련한 祭田을 奇宗秀가 문서를 위조하여 金正黙에게 팔았으니, 이 둘을 처벌해줄 것을 청원하는 내용으로 고양군수와 관찰사에게 소지를 올렸다.부 : 奇商嵒조 : 奇宗履증조 : 奇世勳
- 2020-02-24 | NO.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