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555
게시물 검색 폼
  • 원두추 元⽃樞 현종 1년(1660) 8월 14일∼현종 4년(1663) 4월 16일
    원두추 元⽃樞 현종 1년(1660) 8월 14일∼현종 4년(1663) 4월 16일현감 원두추(1604∼1663)의 본관은 원주(原州)이며, 자는 자중(⼦中)이다. 아버지는 지중추부사 원유남(元裕男)이다. 1630년 10월에 나주목사를 역임하고 1634년 4월부터 전라감사를 세 차례 지낸 원두표(元⽃杓)의 동생이다. 1623년 아버지와 형을 따라 인조반정에 참여한 후 그 공으로 1625년에 동부주부(東部主簿)를 제수받았으나 출사하지 않았다. 1646년에 이르러 출사하였는데 공조정랑·의성현령을 역임한 뒤 1650년 선산 부사, 1651년 통천군수, 1655년 사도시정(司䆃寺正), 충주목사로 있을 때는 곡식을 많이 축적하여 기근을 이기는 데 공을 세웠다. 1660년 호군, 1660년 6월 21일 통정대부 금성현감을 제수받고 8월 14일 부임하였으며, 1661년(현종 2) 6월 4일 으뜸가는 치적으로 포상을 받았다. 7월 13일에는 가자(加資)를 명하는 기록이 있다. 1663년 4월 16일 광주부윤(廣州)으로 이동하였다. 『금성읍지』에는 “경자(1660년) 8월 14일 도임하여 계묘(1663년) 4월 16일 광주부윤으로 이동하였다.”라고 기록하였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22 | NO.240
  • 원두표 元⽃杓 인조 8년(1630) 10월 4일∼인조 9년(1631) 9월 16일
    원두표 元⽃杓 인조 8년(1630) 10월 4일∼인조 9년(1631) 9월 16일원두표(1593∼1664)는 전주부윤을 지내고 전라감사를 세 번이나 역임하였다. 1624년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전주부윤이 되고, 1625년 2월에 나주목사로 추천 되었으나 채택되지 않았고, 원평군 겸 부총관을 역임하였다. 1630년 8월 16일 나주목사 제수되어 10월 4일 부임하여 1631년 9월 16일에 이임하였다. 『금성읍지』에는 “경 오(1630년) 10월 4일 도임하였고 신미(1631년) 9월 16일에 부친 병간호를 위해 출발 하였는데 천원(川院)에 이르러 별세 소식을 듣고 상경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상세이 력은 전라감사편 참조.*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7 | NO.239
  • 원진택 元振澤 숙종 3년(1677) 4월 22일∼숙종 3년(1677) 10월 24일
    원진택 元振澤 숙종 3년(1677) 4월 22일∼숙종 3년(1677) 10월 24일원진택(1624∼1699)의 본관은 원주(原州)이며, 자는 시보(施甫)이다. 부친은 원전(元錪) 이다. 1648년 식년시 생원에 합격하였으며, 1657년 식년시에서 문과에 급제하였다. 1658년 학유, 1659년 가주서, 1660년 양현고 직장, 1662년 어천찰방, 1673년 형조 정랑, 1674년 사간원 정언, 1677년 3월 18일 금산군수에서 나주목사로 제수되어 4월 22일에 도임하였다. 1686년 사간원 헌납, 1689년 갑산부사, 1690년 부호군을 역임하 였고, 1699년 원주에 머물던 중 화적 무리에게 변을 당해 아들과 함께 죽임을 당하였 다. 『금성읍지』에는 “금산군수에서 이동하여 정사(1677년) 4월 22일 도임하였고 동년 10월 24일에 재해로 파직 당하였다.”라 되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22 | NO.238
  • 유광천(柳匡天)
    1732년(영조 8) 1월 26일∼1799년(정조 23) 1월 19일.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자는 군필(君弼), 호는 귀락와(歸樂窩)이며, 본관은 서산(瑞山)이다. 광주(光州) 오호리(五湖里)에서 출생하였다.증조부는 나옹(懶翁) 유익서(柳益瑞)이고, 조부는 생원(生員) 유지채(柳之采)이며, 부친은 증사복시정(贈司僕寺正) 양기공(兩棄公) 유휘소(柳輝韶)이고, 모친은 함평이씨(咸平李氏) 생원 이숙빈(李淑馪)의 딸이며, 처부는 문정공(文正公) 김인후(金麟厚)의 6세손 김기조(金基祖)이다.7세 때부터 학문을 익혀, 9세에 『논어(論語)』와 『맹자(孟子)』를 마쳤다.28세 때인 1759년(영조 35) 기묘 별시(別試) 병과 6위로 급제한 뒤, 벼슬은 1779년(정조 3) 장령(掌令)을 거쳐 경성판관(鏡城判官)에 제수(除授)되고, 1786년(정조 10) 헌납(獻納), 1792년(정조 16) 사간(司諫)에 이어, 1796년(정조 20) 승지(承旨)에 이르렀다.『정조실록(正祖實錄)』에 의하면, 1787년(정조 11) 2월 헌납(獻納) 유광천이 성군의 도리와 백성들의 구제에 대해 상소하였고, 3월에 성균관(成均館) 유생의 일과 선정(先正) 조헌(趙憲)의 후손의 녹용에 대해 건의하였으며, 12월에는 청렴한 관리의 등용 등을 들어 오늘날의 폐단을 없애기를 주청한 상소가 있다.부인 울산김씨(蔚山金氏) 사이에 두 아들 유학(幼學) 유동식(柳東植)‧유학 유동환(柳東煥)을 두었다. 저서는 시문집 『귀락와문집(歸樂窩文集)』 16권 8책의 석판본이 있는데, 1934년 그의 5세손 유영희(柳永禧)가 연보(年譜)를 작성하고, 6세손 유병구(柳秉九)와 유병희(柳秉熙)가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序文)은 없고, 권말에 유병구와 유병희의 발문(跋文)이 있다. 잡저 가운데 「산언(散言)」은 주로 경전(經典)에 있는 은미한 말과 매우 깊은 뜻만을 발췌하여 자신의 견해를 밝힌 것으로,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묘지는 군북(郡北) 오동촌(梧桐村) 뒤 간좌(艮坐)의 언덕에 있다. 묘갈명(墓碣銘)은 이조판서(吏曹判書) 이조원(李肇源)이 짓고, 행장(行狀)은 정기(鄭琦)가 지었다.
    2020-09-17 | NO.237
  • 유대정 兪⼤禎 선조 38년(1605) 2월 13일∼광해군 1년(1609) 3월
    유대정 兪⼤禎 선조 38년(1605) 2월 13일∼광해군 1년(1609) 3월유대정(1552∼1616)의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자는 경휴(景休)이다. 아버지는 단성현감 유호(兪灝), 아들은 문과에 급제하고 강계부사를 지낸 유수증(兪守曾)이다. 1582년 사마 양시에 합격하였고, 1588년 식년시 문과 병과에 1위로 급제하고 승문원에 들어 갔다. 1589년 대교, 1591년 이천현감, 1593년 형조 낭관, 1594년 지평, 1595년 사헌부 장령, 사간, 1596년 제용감정, 1599년 양주목사, 봉산목사를 거쳐 1605년 1월에 나주목사에 임명되어 1607년에는 잘 다스린 공으로 통정대부에 올랐다. 1609년 충청도관찰사, 1611년 수안수령, 1612년 가선대부로 품계가 올라 중추부 동지사·오위 도총부 부총관, 1614년 황해감사를 역임했으며, 1616년에는 병조참판를 제수하였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8월에 사망하였다. 『금성읍지』에는 “을사(1605년) 2월 13일 도임하 였고, 기유(1609년) 3월 사직하였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7 | NO.236
  • 유두명 柳⽃明 태종 6년(1406) 1월 8일∼태종 7년(1407) 10월 8일
    유두명 柳⽃明 태종 6년(1406) 1월 8일∼태종 7년(1407) 10월 8일유두명(?∼1408)의 본관은 영광(靈光), 아버지는 유언(柳漹)이다. 아들이 지중추부사 유규(柳規)이고 손자가 유자광(1439∼1512)이다. 고령 신제(申梯, 1393∼1443)가 사위이 다. 1392년 낭사(郞舍), 1398년 교서감, 1401년 밀양부사, 1404년 사헌부 집의, 1406년 나주목사를 거쳐 1407년 10월 우사간 대부, 1407년 12월 대언이 된다. 『금 성일기』 「병술년 1406년」에 “목사 유두명이 1월 8일에 도임하였다가, 정해(1407년) 10월 8일에 우사간(右司諫)으로 올라갔다.”고 기록되었고, 『금성읍지』에는 “병술(1406 년) 1월 8일 도임, 정해(1407년) 10월 8일 좌사간(左司諫)으로 승진 이임하였다.”고 되어 있는데, 좌사간은 우사간의 착오인 것 같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235
  • 유명건 兪命健 경종 원년(1720) 8월 17일∼경종 2년(1722) 4월
    유명건 兪命健 경종 원년(1720) 8월 17일∼경종 2년(1722) 4월유명건(1664∼1724)의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자는 중강(仲强)이다. 할아버지는 강원 도관찰사 유성증(兪省曾)이며, 부친은 가의대부 대사헌 유철(兪㯙)로 1659년 9월에 나주목사로 재임하였다. 1702년 식년시 생원에 합격하여 전설별검으로 관직을 시작하여, 1705년 사재주부·감찰, 1706년 양성현감, 1711년 해주판관, 1713년 한산군수·강화경 력, 1714년 사복판관, 1715년 안악군수, 1718년 담양부사, 1720년 8월 17일 나주목 사에 제수되어 부임하였다. 『금성읍지』에는 “경자(1720년) 8월에 도임하였고 임인 (1722년) 4월에 사직하였다.”라 하였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22 | NO.234
  • 유몽정 柳夢⿍ 선조 14년(1581) 9월 1일∼*선조 16년(1583) 상반기
    유몽정 柳夢⿍ 선조 14년(1581) 9월 1일∼*선조 16년(1583) 상반기유몽정(1527∼1593)의 본관은 문화(⽂化)이며 자는 경임(景任), 호는 학암(鶴巖)이다. 아버지는 사헌부감찰을 지낸 유용량(柳⽤良)이다. 1567년 사마양시에 모두 합격하고, 1574년 별시 문과 병과로 급제했다. 1581년 4월 영암군수로 있을 때 “활을 잡지도 못하니 문관으로서 무략(武略)이 있는 자를 차송하게 하소서”하는 사간원의 탄핵을 받아 벼슬에서 물러나 성균관 직강이 되었다가 그해 9월에 나주목사로 부임하였다. 1587년 성주목사로 재직 중 풍속의 문란을 방지하지 못하고, 죄수가 옥문을 부수고 도망한 책임을 지고 파직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5월 성절사로 명나라에 들어가 원병을 끌어오는 데 공을 세웠다. 1593년 병조참의, 승정원 승지, 우부승지를 역임하였다. 『금성읍지』에는 “신묘(1581년) 9월 1일 도임하였으나 체직한 날은 기록하지 않았다.” 다만 다음 목사의 부임일이 1583년 8월이므로 그해 상반기까지 재직하다 이임한 것으로 추정한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5 | NO.233
  • 유사경(柳思敬)
    유사경(柳思敬, 1556~?)의 본관은 문화, 증조부는 유인손(柳仁孫)이고, 조부는 유여강(柳如岡)이며, 부친은 충의위(忠義衛)를 지낸 유혜(柳惠)이다.1585년(선조 18) 식년시에서 생원 2등 1위로 합격하였고, 1605년(선조 38) 증광시 문과에서 갑과 3위(탐화랑)로 급제하였다.1589년(선조 22) 전라 유생인 진사(進士) 정암수(丁巖壽)‧박천정(朴天挺)‧박대붕(朴大鵬)‧임윤성(任尹聖)‧김승서(金承緖)‧양산룡(梁山龍)‧이경남(李慶男)‧김응회(金應會)‧유영(柳瑛) 등과 함께 연명으로 장문의 상소를 올렸다. 상소를 통해 정여립(鄭汝立)의 난과 관련하여 정인홍(鄭仁弘)‧정개청(鄭介淸) 등은 정여립과 친하다고 하여 강력 처벌을 요구하였으며, 이산해(李山海)‧유성룡(柳成龍) 등은 정여립과 친하지는 않지만 어지러운 사세에 처신을 못하였다고 하여 조정 대신들을 모두 역당으로 지목하였다. 그러나 임금은 이 상소가 국가의 역변을 이용하여 무고한 술책을 써서 근거 없는 말을 날조하였다고 하여 추국할 것을 명하였다.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당시에는 고경명(高敬命)‧정운룡(鄭雲龍)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는데, 정운룡의 상소로 논상(論賞)되어 관직을 제수받았다. 1606년(선조 39)에는 예조좌랑(禮曹佐郞)에 제수되었다.
    2024-11-19 | NO.232
  • 유석 柳碩 효종 5년(1654) 2월 19일∼효종 5년(1654) 7월
    유석 柳碩 효종 5년(1654) 2월 19일∼효종 5년(1654) 7월유석(1595∼1655)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덕보(德甫), 호는 개산(皆⼭)이다. 아버지는 사옹원 정(司饔院正)을 지낸 유시회(柳時會)이다. 아들은 문과에 장원급제하고 대제학을 역임한 유명천(柳命天)이다. 1613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625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가주서, 1626년 승문원 부정자, 1637년 사도시정, 1638년 장령·상의원정·호 군, 1639년 장악원 정·지제교, 1640년 예빈시정·전라도 암행어사·능주목사, 1642년 성균관 사예·영광군수, 1646년 예조참의·동부승지, 1647년 좌부승지·병조참지, 1648 년 공조참의·승지·예조참의·강원감사, 1650년 부호군을 지냈다. 1654년 1월 12일 나주목사 제수를 받았다. 그런데 수령이 하직할 때에 반드시 대간(臺諫)을 보게 되어 있으나 유석은 그냥 부임해 버려 옛 규례를 무시했다 해 사헌부의 추고(推考)하라는 청원이 이어져 같은 해 7월 22일 장 100대, 고신 탈취 등의 징계가 내려지고 파직되었다. 『금성읍지』에는 “갑오(1654년) 2월 19일 도임하였는데 동년 8월에 영장 성익(成釴)의 장계에 의하여 파직되었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22 | NO.231
  • 유석증 俞昔曾 광해군 11년(1619) 6월 24일∼*광해군 15년(1623) 3월
    유석증 俞昔曾 광해군 11년(1619) 6월 24일∼*광해군 15년(1623) 3월유석증(1570∼1623)은 1623년(인조 1) 전라감사를 역임하였다. 1610년 8월 나주목사로 부임하였으나 10월에 모친상을 당하여 목사직을 그만 두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1615년 영광군수, 1618년 형조참의, 1619년 3월 11일 다시 나주목사에 제수되어 6 월 24일 부임하여 1623년 3월 이임할 때까지 4년간 재임을 하였다. 『광해군일기』에 “나주의 백성들이 쌀 3백 석을 바쳐, 유석증을 특별히 목사에 제수한 은혜에 사례하였 다. 석증이 전에 나주를 다스릴 때에 유애(遺愛)가 있었기 때문에, 백성들이 그가 떠난 뒤에도 사모하는 상소를 올려 목사를 삼아 주도록 청하였고, 왕명으로 다시 부임해 오자 고을 백성들이 쌀을 바쳐서 사례한 것이다.”라고 기록되었으며 다른 기록에는 “나주인 염공일(廉公⼀) 등이 상소하여, 대미(⼤⽶) 1000석을 영건도감에 바치고 그 대신 목사 유석증을 그대로 있게 해 줄 것을 청하였다.”고 되어있으며, “전라도 나주에 사는 진사 김종해(⾦宗海) 등 100여 명이 쌀 1000석을 바치면서 목사 유석증을 유임시켜 주기를 청하였다.”고 기록하며 사관이 이르길, “이 당시 수령들을 제수하는 데 있어서 모두 뇌물을 받았기 때문에 서로 박탈을 일삼았다. 그런데 유석증은 전에 영광(靈光)의 수령으로 있을 때 청백하고 근신하여 잘 다스린 것인데, 백성들의 마음 또한 감동적이 라고 할 수 있다.”라고 기록하였다. 『금성읍지』에는 “기미(1619년) 6월 24일 도임하였 고, 체직일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라고 되어 있지만 다음 목사의 부임이 계해(1623 년)임을 감안하면 위의 기록처럼 4년간 재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세이력은 전라감 사편 참조.*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7 | NO.230
  • 유석증 兪昔曾 광해군 2년(1610) 8월 18일 ∼ 광해군 2년(1610) 10월 23일
    유석증 兪昔曾 광해군 2년(1610) 8월 18일 ∼ 광해군 2년(1610) 10월 23일유석증(1570∼1623)은 1623년(인조 1) 전라감사를 역임하였다. 1610년 8월 나주목사로 부임하였으나 10월에 부친상을 당하여 목사직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1619년 6월에 다시 나주목사에 부임하여 1623년 3월에 호남 관향사(館餉使)로 자리를 옮겼다. 『금성읍지』에는 “경술(1610년) 8월 18일 도임하였고, 같은 해 10월 23일 부친상을 당하여 사직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상세이력은 전라감사편 참조.*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7 | NO.229
  • 유수(柳洙)
    류수(柳洙)의 본관은 서산(瑞山)이며, 자는 중기(仲沂), 호는 보천(葆川)이다. 조부는 유정(柳汀), 부친은 봉훈랑(奉訓郞) 유희송(柳希松)이고, 동생은 《해동명현록》에 실린 유사(柳泗, 1502~1571)이다.《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에는 유수가 1534년(중종 29) 식년시에 병과 12위로 급제하였고, 12년 뒤인 1546년(명종 1)에는 중시(重試) 병과 4위로 통과하였으며, 훈련원부정(訓鍊院副正)과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의 벼슬을 역임하였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광주읍지(光州邑誌)》 등에 따르면 관직에 오래 머물지 않고 귀향하였다고 한다. 중종실록(明宗實錄)의 1542년(중종37) 기사에 유수를 형조좌랑(刑曹佐郞)이라 하였고, 명종실록(明宗實錄)의 1547년(명종 2) 기사에 예조정랑(禮曹正郞)이라고 한 것으로 보아, 유수가 형조좌랑과 예조정랑을 역임한 것으로 보인다.유수는 재주가 높고 문장이 능하여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가 유수를 위해 시를 써 칭송하였다. 
    2024-11-18 | NO.228
  • 유언술 兪彦述 영조 38년(1762) 11월 12일∼영조 40년(1764) 3월 6일
    유언술 兪彦述 영조 38년(1762) 11월 12일∼영조 40년(1764) 3월 6일유언술(1703∼1773)의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자는 계지(繼之), 호는 송호(松湖) 또는 지족당(知⾜堂), 서고(西皐)이다. 아버지는 진사 유복기(兪復基)이다. 1729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736년 알성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변가주서가 되었다. 1737년 부사 정, 1739년 김천찰방, 1741년 혜릉별검, 1744년 예조좌랑, 1745년 헌납, 1747년 평강현감, 1749년 경상도사, 1750년 사간, 1751년 보덕, 1752년 사간, 1753년 장악원 정, 1755년 봉상시정, 1756년 보덕을 지내고 1757년 문과 중시에 을과 2위로 급제하 였다. 1759년 회양부사, 1762년 병조참지를 지냈다. 1762년 10월 28일 나주목사에 제수되어 11월 12일에 부임하였다. 1763년(영조 39) 3월 4일 실록기록에 나주목사 유온술이 지극한 정성으로 정치를 하여 청렴과 간결으로 이름이 났다는 내용이 있다. 5월 18일 기록에 진휼 정사에서 가장 근면한 나주목사 유언술과 광주목사 정석교에게 특별히 표리(表裏)를 하사하라는 내용이 있다. 1765년 병조참판, 1765년 도승지, 1765년 동의금, 1768년 곡산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송호집』이 전한다. 『금성 읍지』에는 “임오(1762년) 11월 12일 부임하였고 갑신(1764) 3월 6일 대사간으로 자리를 옮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나주시 세지면 오봉리 길가에 「목사유공언술공적비」가 세워져 있다. 시호는 정헌(靖憲)이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1-05 | NO.227
  • 유여각 柳汝恪 인조 3년(1625) 12월 1일∼인조 5년(1627) 3월 27일
    유여각 柳汝恪 인조 3년(1625) 12월 1일∼인조 5년(1627) 3월 27일유여각(1589∼1643)은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수이(守⽽), 호는 명주(明州)이고 아버 지는 참찬 유간(柳澗)이다. 1613년(광해군 5) 증광시 문과에 을과 1위로 급제하였다. 이때 동생 유여항(柳汝恒)이 병과 4위로 함께 급제하였다. 1614년 홍문록에 뽑혀 홍문 관의 정자·박사, 시강원 겸 설서를 거쳐 1615년(광해 7)에는 광해군 생모 공빈김씨(恭 嬪⾦⽒)의 추숭을 위해 설치한 존숭도감낭청(尊崇都監郎廳)으로 일하였다. 이후 정언·부 수찬을 거쳐 사은사 김권(⾦權)을 따라 서장관으로 중국에 다녀왔다. 1617년(광해 9)부터 지평·부수찬·헌납·부교리·부수찬 등을 역임하던 중, 진위사(陳慰使)로 중국에 갔던 아버지 유간이 해로로 귀국 도중 배의 침몰로 죽게 되자 가자되었다. 1625년 10월 16일 나주목사에 제수를 받고 11월 15일 하직하고 12월 1일에 부임하여 1627년 3월 27일에 이임하였다. 목사 재임 중 1626년 4월에는 의병장 김천일(⾦千鎰)을 기리는 「창의사 김공 정렬사비」를 세웠다. 1628년 예빈시정, 동래부사를 역임하였다. 『금성읍 지』에는 “을축(1625년) 12월 1일 도임하였고, 정묘(1627년) 3월 27일에 체직되었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7 | NO.226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