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555
게시물 검색 폼
  • 박명손 朴命孫
    박명손(朴命孫,  ?)의 본관은 함양(咸陽)이고, 자는 자순(⼦順), 광주 출신이다. 아버지는 현령 박이공(朴以恭)이다. 1507년 증광시에 진사 합격하고, 1513년 계유 별시 문과에 3등 1위(탐화랑 探花郞)로 급제하였다. 1513년 검열을 시작으로 예문관 봉교, 사간원 정언, 사헌부 지평, 헌납, 장령과 평안도 어사, 사헌부 집의를 거쳤다.1523년(중종18)에는 질정관(質正官, 의심스러운 일을 물어 바로 알아오기 위하여 중국에 가는 임시 벼슬)으로 발탁되는 등 여러 분야의 능력을 인정받아 나라 안팎에서 활동하였다. 1524년(중종19)에는 평안도에 어사(御史)로 파견되었다.1529년 7월에 나주목사에 부임하였지만 1530년 12월에 병으로 사직하였다는 기록만 있을 뿐이다. 《금성읍지》에는 “기축년(1529) 7월에 도임하였고, 경인년(1530) 12월에 신병으로 체직되었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5 | NO.360
  • 박배 朴培 세종 23(1441) 1월 4일∼세종 25년(1443) 9월 4일
    박배 朴培 세종 23(1441) 1월 4일∼세종 25년(1443) 9월 4일박배(?∼1448)의 인적사항을 기록한 문헌은 확인이 어렵다. 실록에 의하면 1424년 3 월에 소윤(少尹) 벼슬을 하였으며, 1431년 사복시 관원, 1433년 호군, 1436년 3월 첨지중추원사로 삼았다. 1441년부터 1443년까지 나주목사를 거친 후 1446년 7월에는 충청도 처치사가 되었는데, 1448년 충청도 처치사로 재임 중 사망하였다. 『금성일기』 「신유년 1441년」에 “신임 목사 통정대부 박배가 신유(1441년) 1월 4일에 도임하였고, 「계해년 1443년」에 ”목사 박배가 9월 4일 사표를 내고 서울로 갔다.”라 되어 있다. 『금성읍지』에는 “신유(1441년) 1월 4일 도임, 계해(1443년) 9월 4일에 사임 상경하였 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5 | NO.359
  • 박봉주
    박봉주(朴鳳柱, 1868~1936) 호(號)는 초은(樵隱). 조선(朝鮮) 때 진사가 된 후 음보(蔭補)로 이조참판(吏曹參判)․장례원경(掌禮院卿)에 이르렀다. 1868년(고종 5)∼1936년 9월 29일. 일제 강점기 관료. 호는 초은(樵隱)이다. 본적은 전라남도 광주부(光州府) 남정(南町)이다.서창 동북쪽, 발산마을 뒷등에 조선말 이조참판을 지낸 박봉주 대감 저택터가 있다.1899년(광무 3) 12월 홍문관시독(弘文館侍讀)을 시작으로 1907년(융희 1)까지 중추원의관‧비서원승‧내장원경‧봉상사제조‧사직서제조‧궁내부특진관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1920년 송정금융조합 조합장, 1921년 호남물산주식회사 이사, 1923년 조선기업주식회사 상무이사와 전남번영회주식회사 사장 등을 지냈다. 1921년 4월부터 1924년 4월까지 조선총독부 중추원참의로 활동하였다. 1922년 전라남도 유도창명회(儒道彰明會)를 발기하고 부회장을 맡았다. 1923년 조선민립대학기성회 광주지부를 발기하고 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24년 신일본주의를 내걸고 참정권 운동을 펼친 국민협회 전라남도지부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29년 유교단체 대성원(大聖院) 전라남도 총지원장을 지냈다.*확인이 필요함
    2018-07-17 | NO.358
  • 박사룡(박사용)
    1. 湖節3下-170-2, 光州, 壬辰, 大駕扈從 -고정헌, 《호남절의록》(1799)2. 박사룡(朴士龍)은 광주(光州) 출신으로 자는 운보(雲甫), 호는 송창(松窓)이다. 본관은 순천으로 정국공신 순성군(順城君) 박이검(朴而儉)의 후손이다. 부친은 부장 박효항(朴孝恒)인데, 정사공신 순원군(順原君) 파주목사 박효립(朴孝立), 부장 박효관(朴孝寬), 女 (하시우夏時雨), 女 (박치화朴致華), 박효생(朴孝生)의 동생(처남)이다.박사룡은 고봉 기대승(奇大升, 1527~1572)의 문하에서 공부하였고, 친상 때 묘소 인근에서 초막 생활을 하여 효자로써 부역을 면제받았다. 임진란에 창의하여 의곡을 모집하는 데 앞장 서서 나주에 의곡도청을 세운 의곡장 기효증(奇孝曾, 1550~1616)의 휘하에서 행재소로 조납(漕納)하였다. 또한 대가(大駕)를 호종하여 호성원종훈(扈聖原從勳)의 녹권에 올랐다.지평 임위(林瑋)가 행장을 썼다.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장서각 《湖南節義錄》, 1799, 高廷憲禮. *주의 : 경북 영주 출신의 박사룡(朴士龍, 1563:명종 18~1657:효종 8). 자는 군언(君彦)이며 본관은  반남박씨로 어모장군 박담수(朴聃壽)의 여섯째아들. 1603년(선조36)에 무과 급제하여 벼슬이 만호를 거쳐 호군에 이르고, 만년에 가선계(嘉善階)에 올랐다. 망와(忘窩) 김영조(金榮租), 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 부훤(負暄) 황시(黃是) 등과 교분이 깊어 함께 수창(酬唱)했다.이 인물과 동명이인으로 거의 같은 시기의 사람이어서 자료에 혼동이 생길 수 있다.<선무원종공신> 동명이인 자료(https://blog.naver.com/win2u/221482864700)에 보면 광주의 박사룡은 부장으로 3등 102쪽 10행 4순번에 있고, 영주의 박사룡은 정로위(定虜衛<㝎)로 3등 146쪽 5행 3순번에 있다.*수정 2024.11.12.
    2020-04-02 | NO.357
  • 박사옥 朴師沃 정조 3년(1779) 4월 29일∼정조 4년(1780) 12월 20일
    박사옥 朴師沃 정조 3년(1779) 4월 29일∼정조 4년(1780) 12월 20일박사옥(1721∼1795)의 본관은 반남(潘南)이며, 자는 계심(啓⼼)이다. 아버지는 통훈대부 나주진관 병마절제도위 박필시(朴弼時)이다. 1741년 식년시 진사에 합격하여 1758 년 희릉참봉, 1760년 사옹봉사, 1762년 의영직장, 1763년 와서별제, 1764년 의금부 도사, 형조정랑, 1765년 은진현감, 1773년 서흥부사, 1775년 황주목사, 1777년 충주 목사를 역임하였다. 1779년 3월 21일 나주목사에 부임하였다. 이후 1783년 서원현 감, 1792년 부호군, 1793년 동돈녕, 1794년 가선대부, 부총관을 역임하였다. 『금성읍 지』에는 “기해(1779년) 4월 29일 도임하였고 경자(1780년) 12월 20일에 사직하였다.” 고 기록되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1-05 | NO.356
  • 박상 朴祥 중종 22년(1527) 4월∼중종 24년(1529)
    박상 朴祥 중종 22년(1527) 4월∼중종 24년(1529)박상(1474∼1530)의 본관은 충주(忠州)이며, 자는 창세(昌世), 호는 눌재(訥齋)로 기묘 사화 때 화를 입은 기묘명현 중 한 사람이다. 할아버지는 선천군수 박소(朴蘇)이고, 아버지는 진사 박지흥(朴智興)이다. 동생 박우(朴祐)는 문과에 급제하고 대사성에 올랐으며 그의 아들이 영의정 박순(朴淳)이다. 1496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501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교서관 정자로 보임 받고 관직을 시작했다. 승문원 교검, 시강원 사서, 병조좌랑을 지내고 1505년 외직으로 전라도사를 지냈다. 1506년 사간원 헌납, 한산군수로 옮겼으나 부모 봉양을 위해 임피현령으로 나아갔다. 1511년 수찬, 응교를 거쳐 담양부사에 부임했다. 1515년 중종반정으로 폐위된 단경왕후 신씨의 복위를 주장하다 남평의 오림역(烏林驛)으로 유배되나, 이듬해 방면되어 의빈부 도사, 장악첨정, 순천부 사를 역임하였다. 1519년 선공감정을 거쳐 상주와 충주의 목사, 사도시 부정이 되었 다. 1526년 문과 중시에 장원하였지만 1527년 나주목사로 좌천되었고, 1529년 병으로 사직하고 1530년 사망하였다.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저서로는 『눌재집』이 있다. 『금성읍지』에는 “정해(1527년) 4월에 도임하였고, 기축(1529년)에 고향으로 돌아갔 다.”는 기록이 있다. 시호는 문간(⽂簡)이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5 | NO.355
  • 박성동(朴成東)
    1894년의 동학운동 때는 동학의 핵심인물 3인 중의 한 사람인 손화중(孫華仲)이 광주에서 봉기할 때 박성동(朴成東)은 광주접주로 1894년 10월 전라도 광주에서 동학농민군을 이끌고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에 참여하여 4천명의 농민을 이끌었다는 기록이 있다.  -백년약사(상권)또 1894년 3월 말에 있었던 백산대회에 강대열, 박성동, 김우현 등이 농민군을 이끌고 참석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이미 광주에도 적지 않은 교도들이 존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2020-03-06 | NO.354
  • 박숙
    박숙(朴橚)의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전력부위(展力副尉) 를 지냈다. 전력부위는 조선시대 무신 종9품의 품계이다.湖節1上-079-2, 光州, 壬辰, 高敬命同倡 -《호남절의록》(1799)고경명의 장녀는 사인(士人) 박숙(朴橚)에게 출가하여 아들 하나를 두었는데, 이름은 박충렴(朴忠廉), 자는 효원(孝原)이다.고경명의병장은 1592년 5월 23일 유팽로·양대박 등과 담양의 추성관에서 회동을 갖고 추성창의(秋成倡義)를 합의하여 5월 29일 의병을 일으켰다. 추성창의란 의로운 일을 위하여 결기를 모은다는 뜻이다. 이 자리에는 고경명·고종후(高從厚)·고인후(高因厚) 3부자, 고경명의 조카 고성후(高成厚), 사위인 노석령(盧石齡)·박숙(朴橚)이 참여하였다. 고경명 장군이 금산의 왜적을 치게 되자 사위인 박숙(朴橚)에게 편지를 보내어 가족을 부탁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죽기를 각오하고 싸움을 준비한 것으로 읽혀진다.
    2020-04-02 | NO.353
  • 박숙무 朴叔楙 성종 25년(1494) 10월 29일∼?
    박숙무 朴叔楙 성종 25년(1494) 10월 29일∼?박숙무(1426∼1495)의 본관은 음성(陰城)이며, 자는 윤진(胤陳)이다. 함흥차사로 알려진 충민공 박순(朴淳)의 손자이며, 증참판 박흔(朴昕)의 아들이다. 문음으로 관직에 올랐다. 형은 문과에 급제하고 도승지와 대사헌을 지낸 박숙진(朴叔蓁), 동생 박숙달(朴叔 達)과 박숙창(朴叔暢)도 문과에 급제하였다. 1467년 건주위(建州衛)를 정벌한 공로로 사헌부감찰이 되었고, 1471년 장례원 사의를 지냈다. 1473년 고양군수로 진휼을 잘하여 우등으로 체임되었으며, 1492년 사도시 부정을 거쳐 1494년 10월 29일 나주목사에 부임하였다. 사헌부의 반대가 계속 있었으나 성종이 들어주지 않았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5 | NO.352
  • 박승남
    박승남(朴承男)의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교리(校理) 박맹지(朴孟智)의 후손이다. 부는 순릉참봉(順陵參奉) 박임(朴?)이고 자는 사옹원직장(司饔院直長) 박행(朴荇)이다.판관으로 김천일과 함께 진주성 전투에 참가했다. 경남 진주의 창열사(彰烈祠)에 배향되어 있다.湖節1下-100-2, 光州, 壬辰, 金千鎰同殉  -《호남절의록》(1799)
    2020-04-02 | NO.351
  • 박시생 朴始⽣ 단종 1년(1453) 1월 6일∼세조 2년(1456) 11월 6일 상경
    박시생 朴始⽣ 단종 1년(1453) 1월 6일∼세조 2년(1456) 11월 6일 상경박시생(1389∼?)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아버지는 전 광흥창부사 박양기(朴陽奇)이 다. 생원으로 1414년 알성시 을과에 급제하여 1427년 병조좌랑, 1435년 지청도군사를 역임하였다. 1431년 완성된 『태종실록』 편찬 작업에 편수관 중 기사관(記事官)으로 참여하였다, 또 김종직의 『점필재집(佔畢齋集)』 이준록 상(彝尊錄 上) 「선공사우 제삼 (先公師友 第三) 」편에 “박시생 밀양인인데, 공(김종직)과는 동갑(同甲)에다 같은 마을에 살았다. 일찍이 광주(廣州)와 나주의 목사를 지내고, 검공조참판(檢⼯曹參判)으로 작고하 였다.”라 되어 있어 광주목사와 검공조참판을 지낸 것을 알 수 있다. 『금성일기』 「계유년 1453년」에 “목사 중직대부 박시생이 1월 6일 도임하였다.”와 「병자년」에 “전임 목사 박시생이 가선 검교 호조참판이 되어 상경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금성읍지』 에는 “계유(1453년) 정월 6일에 도임하였고, 병자(1456년) 11월에 가선대부 검교 호조참판이 되어 상경하였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5 | NO.350
  • 박양동(朴陽東)
    박양동(1829~?)의 본관은 순천이다. 자는 이숙(而淑)이며 호는 관어(觀魚)이다.부 : 朴濟邦조 : 朴懿鉉증조 : 朴聖洌외조 : 金堯欽처부1 : 高濟儒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다.
    2020-02-27 | NO.349
  • 박언신
    박언신(朴彦信)의 자는 호중好仲 벼슬은 선무랑宣務郞으로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와 수문장守門將을 지냈다. 옥과玉果로부터 광주로 이사했다. 난계 박연의 후손으로 증조부 박맹우, 조부는 박곤, 부는 금흥이다. 임진왜란 어사공신御賜功臣으로 임진란 당시 여러 고을이 연쇄적으로 함락될 즈음 선조의 어가가 서쪽으로 몽진 행차할 때 의병 수백인을 거느리고 식량과 기계를 모아 제봉 고경명의 막부에 가 금산 접전에 적을 무수 베이고서도 전패함에 고경명과 함께 순절하셨다. 1606년에 어사공신록에 등재되어있다. 배는 경주김씨요 부는 金錫圭이다. 묘는 소지면 강동뒤 子坐 合窆 床石과 望柱가 있다. 字好中慷慨有大節平生以忠孝立志而壬辰之變倡義赴敵官之宣武郞軍資監主簿 -詳見壬辰功臣錄 湖節1上-052-2, 光州, 壬辰, 高敬命同殉 -《호남절의록》(1799)
    2020-04-02 | NO.348
  • 박원명
    서구 서창동에는 농민전쟁과 간접적으로 연결된 박원명(朴源明)의 무덤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원명은 농민전쟁의 발발 직전에 일어난 만석보 사건의 원흉인 조병갑이 군수에서 해임되자 그 후임으로 고부군수에 임명된 사람이다. 당시 그는 격렬한 고부 군민의 반발을 누그러뜨리는데 일정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매천야록> 권2에는 1894년의 일을 이렇게 적고 있다. "고부에서 민란이 일어나 군수조병갑이 도주하자 고종은 그를 체포하여 심문하라는 명을 내리고, 용안현감 박원명을 대신 그 직위에 임명하였다. 그리고 장흥부사리용태를 안핵사로 임명하였다. 조병갑은 고 군수조규순의 서자로, 그는 부임하는 곳마다 뇌물을 탐하고 가혹한 행위를 하였다. 계사년(1893)에 한해가 극심하여 기근이 들었지만, 그는 재결을 숨기어 세조와 함께 징수하므로 결국 민란이 발생하였다. 박원명은 대대로 광주에서 살았고 많은 재산도 모았다. 그리고 그는 기민한 재주가 있어 무슨 일이든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고, 또 그는 그곳에서 살고 있는 사람이어서 그곳 사정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민영준이 기용한 것이다."그러나 호남농민들의 날로 커져가는 항쟁의식을 꺾을 수는 없었고 이것이 몇 년 뒤 전면적인 농민전쟁으로 폭발했다. 그리고 광주에서 농민전쟁은 1894년 말과 이듬해 1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전개됐다. *박원명(朴源明, 1847~?) 자(字)는 덕홍(德弘). 본관은 충주이다. 전라남도 광주(光州)에서 살았다. 1885년(고종22)에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조선 때 7개 군(郡)의 수령(守令)을 역임한 후 중추원사(中樞院事)에 이르렀고, 제학(提學)에 추증되었다.  조긍섭(曺兢燮, 1873~1933)의 <암서집> 제32권 회와 조공 묘갈명〔晦窩曺公墓碣銘〕에는 박원명을 이렇게 적고 있다. 동학(東學)의 무리들이 들끓었을 때 공은 종족과 벗들을 달래어 거기에 물들지 않게 하였다. 고부(古阜) 군수가 재앙을 숨긴 것 때문에 난민(亂民)을 일어나게 했는데, 난민이 어지럽게 일어나자 군수가 달아나 버렸다. 조정에서는 용안(龍安) 현감 박원명(朴源明)에게 명하여 급히 가서 그 자리를 대신하게 했는데, 박원명은 공의 매부였다. 박원명이 수레를 갖추어 공을 맞이했는데, 공은 병 때문에 사양하다가 강권한 뒤에야 이르러 유세객 한 사람을 구하여 난민의 진중에 가서 조정의 덕의(德意)를 말하고 또 그들에게 음식을 대접하게 하였다. 난민이 이에 모두 해산하니, 공도 또한 이윽고 돌아와 병을 치료하였다.
    2018-06-27 | NO.347
  • 박원응(朴源應)
    박원응(1812~1898)의 본관은 충주이다. 자는 응지(應之)이며 호는 송음(松蔭)이다.부 : 朴寬休조 : 朴馨基외조 : 洪羲鼎처부1 : 閔百㤑처부2 : 李命九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다.
    2020-02-27 | NO.346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