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555건
-
- 김찬순(金燦淳)
- 김찬순(1809~?)의 본관은 김해이다. 자는 명수(明修)이고 호는 유헌(幽軒)이다.부 : 金尙白조 : 金海中증조 : 金賁載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다.
- 2020-02-24 | NO.420
-
- 김천수 ⾦天洙 광무 4년(1900) 10월∼광무 7년(1903) 8월
- 김천수 ⾦天洙 광무 4년(1900) 10월∼광무 7년(1903) 8월김천수(1860∼1908)의 본관은 광산(光⼭), 자는 성언(聖⾔), 아버지는 김영목(⾦永穆)이 다. 1876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877년 정시 병과에 급제하여 가주서를 시작으로 1880년 설서, 1881년 기사관, 1882년 별겸춘추, 1890년 돈녕부 도정, 1891년 대사 성, 1893년 이조참의, 1895년 시종원 좌시종, 1897년 광주(光州)군수, 1899년 경주 군수, 1900년 중추원 의관을 역임하였다. 1900년 10월 17일 나주군수로 임명되어 재직하다가 1902년 2월 17일 임기가 연장되어 1903년 8월까지 재직하였다. 관직에서 물러나 있다가 1907년 비서감 승을 역임하고 규장각기주관을 지냈으며 1910년 8월 훈3등을 받고 정2품으로 승급되었다. 나주객사 안에 1904년에 세운 「행군수김공천수 거사비」가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1-11 | NO.419
-
- 김춘경 ⾦春卿 성종 10년(1479) 3월 4일∼성종 14년(1483)
- 김춘경 ⾦春卿 성종 10년(1479) 3월 4일∼성종 14년(1483)김춘경(1441∼1517)의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명중(明仲)이다. 아버지는 문과에 급제 하고 승문원판교를 지낸 김인민(⾦仁民)이다. 1462년 문과에 급제하여 1464년 사간원 정언을 시작으로 성균관 직강, 예조정랑, 경상도 경차관, 의금부 경력, 사헌부 집의를 거쳐 1479년 2월 나주목사로 부임하여 1483년까지 역임하였다. 『성종실록』 3월 22일 기록을 보면, “김춘경은 지금 나주목사가 되었는데 또한 명성과 공적이 있다고 합니다.” 라고 왕에게 진언하는 내용이 있다. 이후 1484년 통훈대부 행 사헌부 집의를 거쳐 통정대부 장례원 판결사를 역임했다. 『금성일기』 「기해년 1479년」 기록에 “신임 목사 통훈대부 김춘경이 3월 4일 도임하였다.”라고만 되어 있다. 『금성읍지』에는 “기해(1479 년) 3월 4일에 도임하였으나 이임하여 돌아가는 일자는 기록이 없다.”고 기록되었다.다만 『금성일기』,『금성읍지』에서는 1481년(신축)부터 1507년(정묘)까지 26년간은 나주 목사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 확인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다른 관리들의 출입 기록도알 수 없다. 1480년(성종 11) 나주향교 생도 9명과 김춘경 목사의 아들까지 10명이 사마시에 급제하는 경사를 맞게 된다. 이때 나주향교의 교수였던 박성건(朴成乾, 1414∼ 1487)이 이를 기뻐하며 「금성별곡(錦城別曲)」을 짓는데 6장의 경기체가이다. 제3장에 “목사인 김춘경과 통판인 오한은 한때 뛰어난 인재로, 임금님의 근심을 나누어 주매, 천리 땅 한 고을을 능히 부지런하게 능히 검소하게 잘 다스리느니, 잘 하는 정치는 백성 들에게 재산을 얻게 하고, 잘 하는 가르침은 민심을 얻게 하고, 인자하다는 평판과 인자하다는 소문은, 그때마다 세 가지 기이한 일에 이르게 되도다.”라 노래하고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15 | NO.418
-
- 김취문 ⾦就⽂ 명종 19(1564) 5월 3일∼명종 20년(1565) 9월 12일
- 김취문 ⾦就⽂ 명종 19(1564) 5월 3일∼명종 20년(1565) 9월 12일김취문(1509∼1570)의 본관은 선산(善⼭), 자는 문지(⽂之), 호는 구암(久庵)이며 아버 지는 이조참판 김광좌(⾦匡佐)이다. 여섯 형제 중 다섯째로 맏형 김취성(⾦就成)이 마을 뒷산에 지은 서산재(西⼭齋)에서 교육받았다. 1537년에 별시 병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들어와 형조좌랑과 예조좌랑을 역임하였다. 늙은 부모를 봉양하기 위하여 외직으로 나가 비안현감을 지냈다. 1544년 강원도도사, 1552년 영천군수, 1558년 사간원 사간, 1564년 3월 성주목사를 거쳐 5월 3일에 나주목사로 부임, 1565년 9월 12일 이임하여 성균관 사성으로 영전하였다. 1566년 의정부 검상, 사헌부 집의, 의정부 사인, 홍문관 교리, 사간원 사간, 1567년 의정부 사인, 1569년 대사간을 마지막으로 관직을 마쳤다. 문집으로 『구암집』이 있다. 시호는 처음에 정간(貞簡)이라고 했다가 뒤에 문간 (⽂簡)으로 바뀌었다. 아버지와 여섯 형제가 함께 서산사(西⼭祠)에 배향되어있다. 『금 성읍지』에는 “갑자(1564년) 5월 3일 도임하였고, 을축(1565년) 9월에 성균관에 제수 되었고 벼슬은 대간에 이르렀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15 | NO.417
-
- 김치원
- 김치원(金致謜 1562~?)의 자는 화제(和濟), 호는 수진당(守眞堂)이다. 현신교위(顯信校尉)를 역임했으며, 임진왜란 때는 권율장군을 도와 이치전투에서 공을 세웠던 인물이다. 湖節3上-021-3, 光州, 壬辰, 權慄參佐 -《호남절의록》(1799)칠계(漆溪) 김언거(金彦琚, 1503~1584)의 손자 김치원(金致謜 1562~?)은 ‘수진당(守眞堂)’을 경영하며 풍영정도 관리했다. 동악(東岳) 이안눌(李安訥, 1571∼1637)은 수진당이 풍영정 동쪽 산 기슭에 있다(堂在風詠亭東麓)고 적고 2수의 시를 남겼다.(題守眞堂/潭州錄)竹裏茅齋僻 苔庭絶點塵 煙沙一面水 花木四時春 耕釣堪終老 琴棋且樂眞 蕭然北窓下 方見葛天人夜宿仙滄里 林深草閣幽 芭蕉五更雨 蟋蜶一年秋 簪紱非吾好 丘園入客愁 遙知廣津畔 黍稷滿西疇/東岳集시애서 구원(丘園)은 언덕과 전원으로 은사(隱士)가 거처하는 곳을 말하는 데 수진당(守眞堂)을 두고 그는 말하고 있다.다른 비슷한 기록도 있다. 김치원(金致源)은 광주 출신으로 선무랑 군자감주부인 관포당(灌圃堂) 김광부金光符의 아들이다. 조선 선조(宣祖) 때 음사(蔭仕)하였다. 임진란(壬辰亂)이 일어나자 왜병을 격퇴하고자 투필종융(投筆從戎)하고 권율(權慄)의 막료로서 전투를 독전(督戰)하다가 커다란 상처를 입었으나 굴복하지 않고 공을 세웠다. 가산(家産)을 털어 군수(軍需)에 공급하였으며 세운 공으로 인하여 훈련첨정(訓練僉正)에 오르고 공훈이 기록되었다. [참고문헌] 전라남도지 또 임진왜란 때 도원수 휘하에서 활약했던 이세환(李世環)과 재종제 서암 이완근(李浣根)은 정충신(鄭忠信), 이충립(李忠立), 고성후(高成厚), 박대수(朴大壽), 김치원(金致源) 등은 광주팔장사(光主八壯士)의 한사람으로 꼽히고 있다.
- 2020-04-02 | NO.416
-
- 김태순(金泰淳)
- 김태순(1832~1897)의 본관은 김해이다. 자는 신여(信汝)이고 호는 백봉(白峯)이다.부 : 金尙烈조 : 金海中증조 : 金賁載외조 : 梁錫源처부1 : 權淳宗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다. 1882년과 1885에 光州牧에서 金泰淳에게 준호구를 발급해 주었다.
- 2020-02-24 | NO.415
-
- 김홍담
- 김홍담(金弘淡)의 본관은 광산이며 자는 자원子元, 幸州城戰(1593), 露粱海戰(1598)/ 宣武原從勳湖節2下-204-3, 光州, 壬辰, 一道擧義 -《호남절의록》(1799)*조선시대 1866년(咸豊 5년) 충훈부忠勳府에서 仁祖(1595~1649) 때 宣武功臣 金弘淡의 子孫 金東成 등 5인에게 각종 軍役을 부과하지 말 것을 명기한 계하절목啓下節目이 있다.
- 2020-04-02 | NO.414
-
- 김홍원 ⾦弘遠 광해군 7년(1615) 9월∼광해군 7년(1615) 12월
- 김홍원 ⾦弘遠 광해군 7년(1615) 9월∼광해군 7년(1615) 12월김홍원(1571∼1645)의 본관은 부안(扶安)이며, 자는 이중(⽽重), 호는 해옹(海翁)이다. 아버지는 부장(部將) 김경순(⾦景順), 아들은 순천부사를 지낸 김명열(⾦命說)이다. 1588년 식년 진사시에 합격하여 관직에 들어 온 뒤 1599년 금산군수, 1607년 원주 목사를 거쳐 1615년 윤8월 9일 나주목사로 부임하여 재임하다가 12월에 파직당하였 다. 파직 사유는 『인조실록』에 기록되길, “김홍원은 호남의 천얼(賤孽)로서 왜란 때 발신(發⾝)하여 외람되게도 높은 품계에 올랐는데, 혼조 때에 궁중과 결탁하고 권세있는 간신을 아비처럼 섬겼다. 그 뒤 나주에 제수되었는데, 이민(吏民)이 그가 관원이 된 것을 수치로 여겼으므로 할 수 없이 버리고 돌아왔다.”라고 되어 있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생하자 모아둔 곡식을 선조의 행재소(幸在所)인 의주로 보냈고,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전라도 전역에 격문(檄⽂)을 보내어 의병을 모은 후 추포(秋浦) 황신(⿈愼) 과 함께 전투에 참여하여, 남쪽으로 내려오는 일본군을 전라도 순창까지 추격하여 크게 무찔렀다. 황신이 이를 보고하여 선조가 김홍원에게 통정(通政)의 품계를 내렸다. 그 뒤로 1624년 회양부사, 1627년 담양부사를 역임하였다. 시문집으로 『해옹집(海翁 集)』이 있다. 『금성읍지』에는 “을묘(1615년) 9월에 도임하였고, 체직된 날은 기록되지 않았다.”고 되어 있으나 실록의 기록에 의하면 1615년 12월에 파직되어 이임한 것을알 수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17 | NO.413
-
- 김효성 ⾦孝誠 인조 27년(1649) 1월 15일∼인조 27년(1649) 6월 22일
- 김효성 ⾦孝誠 인조 27년(1649) 1월 15일∼인조 27년(1649) 6월 22일현감 김효성(1585∼1651)의 본관은 광주(光州)이며, 자는 행원(⾏源)이다. 아버지는 양양부사로 이조참판에 추증된 김수연(⾦秀淵)이다. 1613년 생원시에 합격한 후, 1615년 인목대비 관련 상소로 진도 유배되었다가, 1623년 청안현감이 된다. 1625년 전라도 검률, 1626년 호조좌랑, 1627년 형조좌랑, 1628년 호조정랑, 1632년 면천군수, 1634년 한성부 서윤, 1635년 형조정랑·군기시 첨정·중추부 경력, 1637년 여산군수, 1639년 남원부사, 1641년 죽산부사, 1644년 공주목사, 1646년 통정대부·부사과, 1647년 조사위장을 역임하다가, 1648년(인조 26) 12월 6일 금성현감에 제수되어 1649년 1월 15일에 부임하였으나 6개월 만인 6월 22일에 청주목사로 교체되었다. 대사헌에 추증되었다. 『금성읍지』에는 “기축(1649년) 1월 15일 도임하였는데 동년 6월 22일 체직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남구만(南九萬)의 『약천집(藥泉集)』에 그의 묘갈명이, 이단하(李端夏)의 『외재집(畏齋集)』에 그의 묘지명이, 조익(趙翼)의 『포저집(浦渚集)』과 조복양(趙復陽)의 『송곡집(松⾕集)』, 최기남(崔奇男)의 『구곡시고(⿔⾕詩稿)』에 그를 기리는 제문과 만사가 수록되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22 | NO.412
-
- 김희순(金禧淳)
- 김희순(1827~?)의 본관은 김해이고 자는 명집(明集), 호는 묵재(默齋)이다.부 : 金尙烈조 : 金海中증조 : 金賁載외조 : 梁錫源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다.
- 2020-02-26 | NO.411
-
- 나도규(羅燾圭)
- 나도규羅燾圭(1826~1885)의 본관은 나주이다. 자는 경문(敬文)이고 호는 덕암(德巖)이다. 당시 계촌면에 살았는데 오늘날 남구 석정동에 해당한다.부 : 羅禧集조 : 羅錫曾증조 : 羅弼殷처부1 : 李鉉臨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고 1880년 노사선생 襄禮 때 참석하였다.1880년 3월 25일에 奇陽衍에게 편지를 보냈다. 1883년 1월 13일에 광주 石亭에서 羅燾圭가 柏石軒 奇陽衍에게 편지를 보냈다.남덕정覽德亭을 경영했다.『덕암만록德巖漫錄』이 있다.덕암사상연구회에서 『덕암 나도규의 학문과 사상』(심미안, 2013)이라는 책을 안동교.박명희.김봉곤.김덕진.권수용 등이 펴냈다.
- 2020-02-26 | NO.410
-
- 남병선 南秉善 철종 4년(1853) 2월 15일∼철종 4년(1853) 11월 26일
- 남병선 南秉善 철종 4년(1853) 2월 15일∼철종 4년(1853) 11월 26일남병선(1808∼?)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원선(元善)이다. 이후 남상선(南相善)으로 개명하였다. 아버지는 봉사 남태순(南太淳), 아들은 공조판서 남일우(南⼀祐)이다. 1831년 식년시 진사에 합격하여 1836년 남부도사, 1839년 내섬봉사, 1840년 광흥봉 사, 1842년 광흥주부, 1843년 홍천현감, 1848년 금성현령·덕천군수, 1852년 선산부 사를 지냈다. 1853년 1월 15일 나주목사에 제수되어 2월 15일 부임하였다. 1853년 11월 14일 전세(⽥稅)와 대동(⼤同) 조운을 늦게 출발하여 얼어버려 나주목사 등을 나처하라는 비변사의 계에 따라 전교가 내렸다. 1856년 지조별제(紙造別提)·장악첨정, 1857년 순창군수, 1860년 재령군수·수원판관·해주판관 등을 역임하였다. 『금성읍지』에는 “계축(1853년) 2월 15일에 부임하였고 계축(1853년) 11월 26일에 세곡 조운선이 얼음에 갇힌 일로 파직을 당한다.”고 기록되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1-08 | NO.409
-
- 남언창 南彦昌 숙종 30년(1704) 5월 2일∼숙종 30년(1704) 8월 20일
- 남언창 南彦昌 숙종 30년(1704) 5월 2일∼숙종 30년(1704) 8월 20일남언창(1644∼ ?)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응숙(應叔)이다. 아버지는 통훈대부행 병조정랑 남명익(南溟翼)이다. 1675년 증광시 진사에 합격하고, 1681년 알성시 병과에 급제하였다. 1682년 가주서, 1684년 승문원 부정자·봉상시 직장, 1685년 예조좌 랑·고창현감, 1689년 병조좌랑·병조정랑·신창현감을 역임했다. 1692년 충청도사, 1696년 영암군수를 거쳐 1701년 경성판관이 됐다. 1704년 3월 8일 나주목사로 제수 되어 5월 2일 부임, 1705년 부사과·안악군수를 역임하였다. 『금성읍지』에는 “갑신 (1704년) 5월 2일 도임하였고 동년 8월 15일에 경기전 추석 제물을 보내는 것을 감독하지 않았다 하여 장계에 의하여 파직되었다.”고 기록되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22 | NO.408
-
- 남유 南瑜 선조 31년(1598) 8월 3일∼선조 31년(1598) 11월
- 남유 南瑜 선조 31년(1598) 8월 3일∼선조 31년(1598) 11월남유(1552∼1598)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공근(公瑾)이다. 아버지는 참의 남응 룡(南應⿓)이다. 1579년 무과에 급제한 뒤 부평현감이 되었다. 1598년 정유재란 중 나주목사로 있으면서 노량해전에 참전하였다가 적의 탄환을 맞고 순절하였다. 아들 남이 흥(南以興)도 무과에 급제하였고 정묘호란 때 전사하였다. 뒤에 좌의정에 추증되고,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에 훈록되었다. 숙종 때 정문(旌⾨)이 세워졌다. 『금성읍지』에는 “무술(1598년) 8월 3일 도임하였고 동년 11월에 노량해전 대첩에서 돌아오다 왜구의 조총에 맞아 죽었다. 참판을 증하였다. 숙종 때 공의 6대손 정주(正周)가 봉명사로 이곳에 머물면서 삼가 글을 지었는데, 때는 정유년(1717년. 숙종 43) 4월 15일이다.” 라고 되어 있어 이때에 정문이 세워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아들 남이흥과 함께 충남 당진 충장사(忠壯祠)에 배향되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17 | NO.407
-
- 남이공 南以恭 인조 1년(1623) 4월 21일∼인조 1년(1623) 윤10월 1일
- 남이공 南以恭 인조 1년(1623) 4월 21일∼인조 1년(1623) 윤10월 1일남이공(1565∼1640)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초명은 남이경(南以敬), 자는 자안(⼦安), 호는 설사(雪蓑)이다. 아버지는 남호(南琥)이며, 참판 남이신(南以信)의 동생이다. 1590년 증광시 문과에 장원급제한 뒤 1593년 세자시강원 사서, 지제교, 1594년 평안도 독운어사, 1595년 사헌부 지평, 1596년 사간원 정언, 헌납, 홍문관 부교리 겸 세자시강원 문학, 홍문관 교리 등을 역임했다. 1597년 사헌부 지평·도체찰사 종사관·성균관 전적, 1598년 이조좌랑, 1599년 이조정랑·홍문관 응교, 1608년 동부승지·형조참의, 1609년 대사간·이조참의·예조참의·홍문관부제학, 1613년 호조참판·도승지·예조참판, 1614년 병조참판을 역임하였다. 1615년 이원익과 더불어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해 평산, 해주 등에서 유배생활을 하다가 1621년 풀려나 1623년 4월 21일 나주목사로 임명받았다. 1625년 대사성·대사간·대사헌·함경도관찰사, 1628년 병조참판, 1629년 대사헌, 1637년 도승지, 1638년 이조판서, 1639년 대사헌·공조판서를 거쳤다. 저서로 『설사집』이 있다. 『금성읍지』에는 “계해(1623년) 5월 25일 도임하였고, 체직일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라고 되어 있지만 다음 목사가 1624년 2월에 부임하는 것으로 보아 1623년 연말까지 근무한 것으로 보인다. 나주목사 재임 시 객관 금성관 동쪽에 수련 당(睡蓮堂)을 건립하였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2024-10-17 | NO.406